[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올해 30대 그룹 신규 선임 사외이사 중 검찰 출신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관료와 학계 출신 비중도 크게 감소한 가운데, 재계 출신 사외이사가 그 자리를 채우며 급증했다. 여성 신규 사외이사 비중 또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5월 27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자산순위 상위 30대 그룹 중 1분기 보고서를 제출한 239개사 사외이사 876명을 분석한 결과, 올해 신규 사외이사는 총 152명이었다. 이 중 전직 관료 출신은 39명(25.7%)으로, 지난해 215명 중 66명(30.7%)에 비해 5%포인트 감소했다.
관료 출신 중에서도 검찰 출신의 감소가 가장 두드러졌다. 지난해 신규 사외이사 중 11명(16.4%)이 전직 검찰 인사였는데, 올해는 3명(7.7%)에 불과했다. 이 중 1명은 복수 기업에 중복 선임됐기에 실제 신규 인물은 NH투자증권의 오광수 전 검사장과 SK디앤디·카카오게임즈의 노정연 전 검사장 2명뿐이다.
대통령실 출신은 한 명도 없었다. 반면 국세청(8명), 사법부(6명), 기획재정부(5명) 순으로 관료 출신 선임이 많았다. 특히 기재부 출신은 작년엔 전체의 7.6%였는데 올해는 12.8%로 비중이 높아졌다.
재계 출신 사외이사는 그 어느 때보다도 크게 늘었다. 지난해 215명 중 38명(17.7%)에서 올해는 152명 중 52명(34.2%)으로 급증했다. 절대 수도 늘었지만 비율은 두 배 가까이 증가한 셈이다.
이와 달리 학계 출신 사외이사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해 68명(31.6%)에서 올해는 35명(23.0%)으로 8.6%포인트 줄었다.
그룹별로 보면, 관료 출신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CJ그룹이었다. 올해 9개 계열사에서 신규 선임된 사외이사 7명 중 6명(85.7%)이 관료 출신이다. 지난해(6명 중 5명)에 이어 올해도 관료 출신 중심의 선임이 이어졌다. 이에 따라 전체 사외이사에서도 28명 중 19명(67.9%)이 관료 출신으로 채워졌다.
신세계그룹과 두산그룹은 각각 5명의 신규 사외이사를 영입했는데, 이 중 3명이 관료 출신이었다. 전체 사외이사 기준으로 신세계는 20명 중 13명, 두산은 25명 중 10명이 관료 출신으로 구성됐다.
삼성그룹은 올해 신규 사외이사 9명 중 5명이 관료 출신으로, 이 중 3명은 모두 기획재정부 출신이다. 이호승 전 청와대 정책실장(삼성바이오로직스),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삼성생명), 김상규 전 감사원 감사위원(삼성중공업)이 해당된다. 삼성은 16개 계열사 63명의 사외이사 중 절반이 넘는 32명이 관료 출신인데, 올해는 검찰 출신을 단 한 명도 추가 선임하지 않았다.
한화그룹은 10명의 신규 사외이사 중 4명이 관료 출신이다. 그룹 전체로는 12개 계열사 45명 중 14명(31.1%)이 관료 출신 인사들이다.
신규 사외외사 구성에서 가장 뚜렷한 변화는 롯데그룹에서 나타났다. 16개 계열사 63명의 사외이사 가운데 16명이 신규 인사인데, 이 중 14명이 재계 출신이다. 지난해엔 신규 26명 중 2명만 재계 출신이었고, 11명이 전직 관료였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백복인 전 KT&G 대표(롯데렌탈), 조웅기 전 미래에셋증권 부회장(호텔롯데), CJ제일제당 마케팅 부문장 및 서울시립교향악단 대표를 역임한 손은경씨(롯데웰푸드) 등이 있다.
한편, 올해는 여성 사외이사 비중도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올해 신규 152명 중에서 28명(18.4%)이 여성으로, 이로써 전체 사외이사 876명 중 192명(21.9%)이 여성으로 채워졌다. 이는 개정 자본시장법 시행 이후 3년 새 54.8% 증가한 것으로, 조사 이래 최고치다.
지난해와 비교해도 여성 사외이사는 47명이 늘었다. 여성 사외이사 비율은 2022년 15.4%, 2023년 18.5%, 2024년 20.3%에 이어 올해 21.9%까지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