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5 (금)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1000大 기업 영업益 순위…SK하이닉스·삼성전자·기아·현대차·HMM 順

2024년 1000大기업 영업益 148조…SK하이닉스, 사상 첫 1위
CXO연구소, 2000년~2024년 25년간 1000大 상장사 영업손익·당기손익 경영 내실 분석
작년 1000大기업 영업益 역대 最高 기록…지난해 영업이익률은 7%대 수준 머물러
삼성전자, 2년째 영업익 1위 놓치고 올해도 위태…순익은 2000년 이후 연속 1위 유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매출 1000대 상장사의 작년 개별(별도) 재무제표 기준 영업이익은 150조원에 육박하며 지난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률은 7%대 수준에 머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기준 영업이익이 1조원 넘는 ‘영업이익 1조 클럽’에 가입한 기업 숫자는 1년 새 6곳 늘어 29곳으로 많아졌지만, 재작년 대비 작년에 영업이익이 감소하거나 적자를 본 기업은 1000곳 중 절반 정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국내 상장사 중 영업이익 최고 자리에 SK하이닉스가 사상 첫 등극할 때 삼성전자는 2년 연속 영업이익 1위 자리를 놓쳐 희비가 엇갈렸다.

 

다만, 삼성전자는 지난 2000년부터 25년간 당기순이익 최고 자리를 지켜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00년~2024년 국내 매출 1000대 상장사 영업손익 및 당기손익 현황 분석’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1000대 상장사는 각 년도 매출 기준이고, 매출을 비롯해 영업 및 당기손익은 개별(별도) 재무제표 기준이다.

 

2024년 국내 매출 1000대 기업의 영업이익 규모는 148조2865억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0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재작년 기록한 영업이익 76조9245억원보다 1년 새 70조원 이상 증가했다. 최근 1년 사이 국내 10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이 92.7%나 껑충 뛰었지만, 이는 기저효과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지난 2023년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한 주요 기업들이 큰 폭으로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전체 영업이익이 100조원 이하로 급감한 데 따른 반사 효과로, 지난해에는 이로부터의 회복이 두드러지면서 전년 대비 큰 폭의 증가율을 나타낸 것이다.

 

 

지난해 국내 10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매출 대비 영업이익 비중을 나타내는 영업이익률은 7.4% 수준으로 7%대에 머물렀다. 이 수치는 2000년부터 2024년까지 25개년도 중 상위 10번째에 해당해 중간 수준에 불과하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체격(體格)과 체력(體力)이라면, 영업이익률은 근력(筋力)에 비유될 수 있다.

 

한마디로 지난해 1000대 기업은 체격과 체력은 강화됐으나 근력의 강도는 평이한 수준에 머문 셈이다.

 

국내 1000대 기업의 전체 영업이익은 지난 2000년 당시만 해도 약 28조원에 불과했으나, 2017년에는 129조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00조원대에 진입했다. 이듬해인 2018년에는 138조원으로 늘었고, 2021년에는 145조원 수준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2022년(106조원)에 이어 2023년에도 하락세가 이어지며 영업이익은 감소세를 보였고, 지난해에는 다시 반등하며 오름세로 전환됐다.

 

지난해 1000대 기업 중 영업적자를 기록한 곳은 129곳으로, 전년(142개사) 대비 13곳 줄었다. 2024년 기준으로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했거나 적자를 본 기업은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493개사로 집계됐다. 반면, 나머지 507곳은 영업이익이 증가하거나 흑자 전환에 성공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0대 기업 중 지난해 기준 영업이익 톱5에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기아 ▲현대차 ▲HMM 순으로 이름을 올렸다.

 

무엇보다 지난해 국내 1000대 기업 가운데 영업이익 1위에 SK하이닉스가 오르며 주목을 끌었다. 이 회사가 영업이익 부문에서 정상을 차지한 것은 지난 2012년에 SK그룹 계열사로 편입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특히 SK하이닉스는 지난 2023년에 4조6721억원 넘는 영업적자를 보던 것에서 작년에는 21조3314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으로 흑자 전환과 동시에 1위로 등극해 화제를 모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기준 SK하이닉스에 이어 영업이익 2위로 밀려났는데, 재작년에도 현대차에 1위 자리를 내준 데 이어 2년 연속 선두 자리를 놓친 쓴맛을 봤다. 삼성전자는 과거 2008년에도 포스코에 영업이익 1위를 놓친 적이 있다.

 

2002년부터 2024년까지 23년간 연속으로 매출 1위를 유지해 온 삼성전자로서는 영업이익 부문에서 다소 체면을 구긴 셈이다. 삼성전자 역시 2023년 별도 기준 11조5262억원의 영업손실을 보이다 2024년에는 12조3610억원 넘는 흑자로 돌아섰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지난해 별도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매출 덩치는 SK하이닉스보다 3배 이상 컸지만, 영업이익에서는 거꾸로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보다 앞섰다”며 “SK하이닉스 영업이익률이 38.3%에 달한 반면, 삼성전자는 5.9%에 불과한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 1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만 놓고 보더라도 SK하이닉스는 6조7633억원으로, 삼성전자(1조4692억원)보다 4배 이상 차이난다”며 “이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도 SK하이닉스가 영업이익 1위를 수성할 가능성이 높아 삼성전자로서는 올 하반기에 수익성 강화를 위한 전략 마련에 집중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작년 기준 영업이익 1조원 이상을 기록한 이른바 ‘영업이익 1조 클럽’ 기업은 29곳으로, 재작년 23곳보다 6곳 많아졌다. 

 

작년 기준으로 새롭게 1조 클럽에 진입한 기업은 11곳이었고, 5곳은 탈락했다. 지난해 영업이익 1조 클럽에 신규 입성한 기업 중 영업손실에서 영업이익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한 곳에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함께 한국전력공사(한전)도 포함된 것으로 파악됐다. 한전은 2023년 6조 5039억원 규모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는데, 2024년에는 3조 1666억원의 이익으로 돌아서며 영업내실 성적이 크게 좋아졌다.

 

 

이외 ▲HMM(23년 5647억원→24년 3조4897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5190억원→1조4997억원) ▲현대해상(9816억원→1조4018억원) ▲메리츠금융지주(3357억원→1조2203억원) ▲셀트리온(6384억원→1조2110억원) ▲크래프톤(8116억원→1조2085억원) ▲삼성증권(6620억원→1조1054억원) ▲키움증권(4723억원→1조247억원)은 최근 1년 새 ‘영업이익 1조 클럽’에 새로 신고했다.

 

이와 달리 ▲SK㈜(23년 1조5504억원→24년 9983억원) ▲S-Oil(1조 3508억원→4195억원) ▲SK이노베이션(1조2354억원→4932억원) ▲KT(1조1853억원→3464억원) ▲한국금융지주(1조1488억원→6207억원)는 지난해 영업이익 1조 클럽에서 빠졌다.

 

지난해 영업이익 1조 클럽에 가입한 기업 중 전년 대비 영업이익 증가율이 100% 넘는 곳은 5곳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도 최근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할 것인지를 놓고 이슈의 중심에 서 있는 HMM이 517.9%로 가장 높았다.

 

이어 ▲메리츠금융지주(263.5%↑) ▲한화에어로스페이스(188.9%↑) ▲키움증권(116.9%↑) ▲한국가스공사(113.3%↑)가 1년 새 영업이익이 배(倍) 이상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 삼성전자, 2023년 10조 넘는 영업적자에도 배당금 커 25년간 순익 1위 자리 지켜

 

영업이익과 함께 지난해 1000대 기업 전체 당기순이익(순익) 규모도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000대 기업 전체 순익은 134조4629억원으로 이전해 103조5714억원보다 30% 정도 증가했다. 매출에서 차지하는 당기순익 비중을 의미하는 당기순익률도 2023년 5.6%에서 작년에는 6.7%로 1년 새 1.1%포인트 상승했다. 6%대 수준인 지난해 1000대 기업 당기순익률은 2000년 이후 7번째로 높은 편에 속했다.

 

지난 2000년 당시만 해도 1000대 기업 전체 순익은 9000억원 정도 당기손실을 기록했었다. 그러다 2017년에 106조원으로 순익 100조원 시대를 처음 열었고, 2021년에는 127조원을 기록한 바 있다.

 

 

당기순익 1조 클럽에 가입한 곳은 2023년 19곳에서 2024년에는 29곳으로 10곳 많아졌다. 작년에 순익 1조 클럽에 신규 가입한 곳 중 1조원 이상 순익이 증가한 곳은 3곳 있었다. 대표적으로 SK하이닉스는 2023년에 순손실만 4조8361억원이었는데, 2024년에는 17조6403억원 넘는 순익으로 180도 달라졌다. 이어 ▲현대자동차(4조8975억원↑) ▲HMM(2조6458억원↑) 두 곳도 순익이 최근 1년 새 1조원 이상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00년부터 2024년 사이 25년간 당기순익 1위를 지켜내오고 있다. 특히 지난 2023년에 10조원 넘게 영업손실을 보는 상황에서도 순익이 가장 높은 배경에는 배당금 수익금으로만 29조원을 넘어선 것이 주효했다. 재작년과 작년 기준 삼성전자의 별도 기준 당기순익은 각각 25조3970억원, 23조5825억원 수준이었다.

 

지난해 순익 1조 클럽에 이름을 올린 곳 중 2023년 대비 2024년 순익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HMM’인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회사는 2023년 1조 254억원이던 것이 작년에는 3조6712억원으로 1년 새 258%나 순익이 상승했다.

 

이외 ▲메리츠금융지주(241.2%↑) ▲삼성SDS(176.4%↑) ▲POSCO홀딩스(102.8%↑) 세 곳도 순익 1조 클럽에 포함된 기업 중 2023년 대비 2024년 순익 증가율이 100%를 넘어섰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개별(별도) 기준 영업손익 현황은 각 기업의 법인세를 산정할 때 기준이 되는 출발점과도 같다”며 “지난해 정부가 SK하이닉스로부터 3조원이 넘는 법인세를 거둬들인 반면, 삼성전자는 재작년에 이어 작년에도 실질적으로 법인세를 내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어서 국가 세수 곳간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매출 1위 기업인 삼성전자가 높은 영업이익을 실현해 주주와 투자자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주가를 상승시키는 동시에 세수 증가에 기여하는 것도 우리나라 경제 살림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세계 최슬림' 허상 벗겨진 中 폴더블폰…실측 결과 '삼성 폴드7'이 진짜 얇았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국내외 폴더블폰 제조사들의 '두께 전쟁'이 과열되는 가운데, 실측 결과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7이 현존하는 주요 폴더블폰 중 가장 얇은 제품으로 밝혀졌다. 그간 "세계에서 가장 얇다"는 홍보전략을 앞세운 중국 폴더블폰들은 실제로는 공식 수치보다 0.14㎜~0.62㎜ 두꺼운 것으로 드러나 소비자 신뢰에 큰 타격을 입었다. 한국소비자중심기업협회 측 관계자는 "중국 폴더블폰은 공식보다 최대 0.62㎜까지 두꺼웠다. 현존 폴더블폰 중 삼성 Z 폴드7이 유일하게 공식보다 얇은 실측 결과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소비자중심기업협회 실측…"아너·화웨이·비보·샤오미, 모두 광고보다 두꺼워" 한국소비자중심기업협회가 2025년 7월 국내외 대표 폴더블폰 5종을 초정밀 외측 마이크로미터로 직접 쟀다. 측정 방식은 일반 소비환경과 동일하게 화면 보호필름을 포함한 상태에서 제품을 접었을 때의 두께를 잰 것이다. 그 결과, 공식 사양과 달리 중국 주요 브랜드 대부분이 실측에서는 오히려 더 두꺼웠다. 아너의 '매직 V5'는 공식 두께 8.8㎜보다 0.54㎜ 두꺼운 9.34㎜, 비보 X 폴드5(9.77㎜), 샤오미 믹스폴드4(9.61㎜), 화웨이 메이트

[이슈&논란] “4000억 생수전쟁 개막"…1위 제주삼다수 유통권 둘러싼 광동·풀무원·동화 3파전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광동제약의 수성이냐, 풀무원의 도전이냐, 동화약품의 다각화실험이냐. 삼파전 승부가 업계 판도 바꿀 것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가 국내 생수시장 점유율 1위인 제주 삼다수의 도외(제주도 외) 전체 유통권을 재입찰에 부친 결과, 입찰에는 광동제약·풀무원식품·동화약품 등 11개사가 참여하며 역대 최고 경쟁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입찰의 특이점은 기존 유통 한계를 넘어 이제 전국 모든 채널(오프라인·온라인·마트·편의점·SSM 등)로 유통권 범위가 대폭 확대됐다는 점이다. 그간 대형마트(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는 제주도개발공사가 직접 유통했으나, 내년부터는 대리점도 이들 채널까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지난해 기준 대형마트 유통매출은 약 930억원, 전체 입찰사업액도 전년에 비해 1000억원이 늘어난 4000억원 선으로 커졌다. 기존 강자와 신흥 도전자…업계 판도변화 예고 광동제약은 2013년부터 삼다수 전국 소매유통을 담당하며, 전체 매출의 33%(약 3200억원)를 삼다수에서 올리고 있다. 유통권 상실 시 전체 매출의 3분의 1 가량을 한 번에 잃게 된다. 풀무원식품은 이번이 첫 도전이다. 풀무

KT, 산업단지 재생에너지 직접 전력공급 본격화···제조업 RE100 대응 지원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KT(대표이사 김영섭)가 한국산업단지공단과 협력하여 추진해 온 재생에너지 직접 전력 거래(직접PPA) 사업이 본 계약 체결을 통해 본격적인 실행 단계에 돌입했다고 25일 밝혔다. KT 서부광역본부는 한국산업단지공단과 남동 산단의 수요기업 4개소와 직접 PPA 계약을 체결해 오는 8월부터 재생에너지 전기를 수요기업에 직접 공급할 예정이다. 해당 전력은 인천 남동 지식산업센터 옥상에 구축된 1.2MW 규모의 공공 태양광 설비를 통해 생산된다. 인천 남동 재생에너지 직접 PPA 사업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인천시의 지원을 기반으로 한국산업단지공단의 협력 아래 인천 테크노파크가 주관하는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운영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이 사업은 KT의 플랫폼 기술력과 산업단지공단의 공공 태양광 인프라를 결합한 모델로, 국내 제조업 현장의 탄소중립 전환과 RE100 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민관 협력의 실질적 성과다. 특히 공공기관이 직접 재생에너지 공급 주체로 참여한 국내 최초 사례로, 직접 PPA 제도 기반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T와 직접 PPA 계약을 체결한 수요기업은 ▲이오에스㈜ ▲보성금속공업 ▲한국소재㈜ ▲㈜화

[이슈&논란] 한국 타이어산업 제조·유통 1위 오너 조현범·김정규 ‘징역3년·법정구속’…대외신인도 하락·거버넌스 경고음 "K-타이어 입지 흔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김정영 기자] 국내 타이어 유통 1위 기업 타이어뱅크의 김정규 회장과 타이어 제조 1위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의 조현범 회장이 나란히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 구속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한국타이어산업을 대표하는 두 거물 오너의 중형은 단순한 개인 일탈을 넘어 대한민국 타이어 산업 경영구조의 문제와 시스템적 리스크의 민낯을 드러내고 있다.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 39억원 탈세로 항소심서 중형 2025년 7월 23일, 대전고등법원은 김정규 회장에게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조세) 등 혐의로 징역 3년, 벌금 141억원을 선고하고 법정 구속했다. 김 회장은 판매점 명의를 위장해 현금 매출을 누락, 약 39억원 상당의 종합소득세 등 각종 세금 탈루를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 등 조직적 조세회피 행태가 반복적으로 발생했다는 점, 그리고 본인이 실질적으로 대리점 소득을 모두 귀속시켜온 경영방식이 양형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쳤다. 한국타이어 조현범 회장, 200억원대 횡령·배임…1심서 법정구속 2025년 5월 29일에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한국타이어)를 지배하는 한국앤컴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