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5.5℃
  • 맑음서울 12.6℃
  • 맑음대전 14.2℃
  • 맑음대구 15.4℃
  • 맑음울산 16.2℃
  • 맑음광주 13.9℃
  • 맑음부산 17.9℃
  • 맑음고창 14.0℃
  • 맑음제주 17.1℃
  • 맑음강화 12.7℃
  • 맑음보은 12.7℃
  • 맑음금산 11.9℃
  • 맑음강진군 15.1℃
  • 맑음경주시 16.0℃
  • 맑음거제 15.2℃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자사주 비중, 가장 많이 증가 기업 TOP5…영풍>신세계>셀트리온>LG>미래에셋 順

50대 그룹 핵심 계열사 자사주 보유율 97%..소각은 10%도 안돼
2022~2024 3년간 2265개 상장사 현황 분석
핵심 계열사 보유 비중, 상장사 평균(73.6%) 크게 상회…경영권 방어 수단 활용
영풍·신세계·셀트리온 증가, 효성·현대百·네이버 감소…자사주 보유율 최고는 롯데지주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50대 그룹의 지배구조 핵심 계열사들이 최근 3년간 자사주 보유량을 꾸준히 늘려온 반면, 자사주를 실제로 소각한 곳은 보유 기업의 1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 핵심 계열사의 자사주 보유 비율은 97%로 전체 상장사 평균(73.6%)을 크게 웃돌아 자사주가 경영권 방어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 최근 3년 동안 자사주 보유 비중을 가장 많이 늘린 그룹은 영풍, 신세계, 셀트리온 순이었으며 효성, 현대백화점 등은 자사주 보유 비율이 오히려 감소했다.

 

6월 24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동안 비교 가능한 2265개 상장사(코스피 791개, 코스닥 1474개)의 자사주 보유 및 소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자사주를 보유한 곳은 총 1666개사로 전체의 73.6%에 달했다. 반면 자사주를 소각한 기업은 142개사(코스피 75개 9.5%, 코스닥 67개 4.5%)로 평균 8.5%에 불과했다.

 

자사주 보유 기업 수는 2022년 1601개사에서 지난해 1666개사로 소폭 증가한 데 비해, 자사주를 소각한 기업은 2022년 49개사(3.1%)에서 2023년 95개사(5.9%), 지난해 142개사(8.5%)로 증가해 3년 새 2배 이상 늘어났다. 그러나 이 기간 매년 자사주를 소각한 기업은 단 13개사(코스피 10개, 코스닥 3개)에 불과해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자사주를 보유한 기업들의 전체 평균 자사주 비중은 2022년 3.0%에서 지난해 말 3.3%로 0.3%포인트(p) 증가했으며, 자사주의 총 가치는 2022년 말 58조4694억원에서 지난해 말 기준 64조4580억원으로 1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사주를 보유한 상장사 중 자산 기준 50대 그룹의 지배구조 핵심 계열사 64곳의 현황을 별도로 분석했다. 그 결과 2개 기업을 제외한 96.9%(62개사)가 자사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상장사 평균(73.6%)보다 23.3%p 높은 수치로, 자사주가 경영권 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이들 50대 그룹 핵심 계열사의 자사주 보유 비중은 평균 4.7%로, 전체 상장사 평균(3.3%)보다 1.4%p 높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약 42% 더 많은 수준이다. 이들이 보유한 자사주의 총 가치는 지난해 말 기준 34조9658억원으로, 전체 상장사 자사주 가치의 54.2%에 해당했다.

 

2022년 이후 50대 그룹의 지배구조 핵심 계열사 중 자사주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영풍그룹이다. 핵심 계열사인 고려아연이 경영권 분쟁으로 자사주 비중을 0%에서 12.3%까지 끌어올리면서 무려 11.2%p 상승했다. 지주사격인 영풍은 자사주 비중을 6.6%로 유지하고 있다.

 

두 번째는 신세계그룹으로, 지주사인 신세계의 자사주 비중이 2022년 0.1%에서 2024년 10.9%로 늘어났다.

 

세 번째는 셀트리온그룹으로, 셀트리온이 2022년 2.1%에서 꾸준히 자사주를 매입해 2024년 말 기준 5.5%로 확대, 3.4%p 상승했다.

 

이어 LG그룹의 지주사인 LG가 자사주 비중을 1.4%에서 3.9%로 2.5%p 높였으며, 같은 기간 미래에셋그룹도 미래에셋증권이 23.7%에서 24.9%로 자사주 비용을 1.2%p 끌어올렸다.

 

이들 자사주 보유 비중 상위 5개사 중 실제로 자사주를 소각한 기업은 고려아연과 셀트리온, 미래에셋증권 3곳이었다.

 

 

반면, 이 기간 지배구조 핵심 계열사의 자사주 보유량이 감소한 그룹도 10곳에 달했다.

 

가장 큰 폭으로 자사주를 줄인 그룹은 지난해 형제 간 계열분리가 있었던 효성이다. 효성은 2022년 자사주 비중이 5.5%였으나 지난해 말 0.1%로 5.4%p 감소했으며, 이 중 절반은 소각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음은 현대백화점그룹으로, 현대백화점이 자사주 절반을 소각하면서 자사주 비중이 6.6%에서 3.4%로 3.2%p 줄었다.

 

세 번째는 네이버로, 총 주식의 8.6%에 해당하는 1406만7367주의 자사주 중 2023년 164만491주, 2024년 397만1586주를 각각 소각해 자사주 비중이 2.6%p 낮은 6.0%로 나타났다.

 

50대 그룹의 지배구조 핵심 계열사 중 자사주 보유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롯데지주로, 32.5%를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태영그룹 지주사인 티와이홀딩스가 29.8%, 미래에셋생명과 미래에셋증권이 각각 26.3%, 24.9%였으며 SK그룹의 지주사인 ㈜SK가 24.8%로 집계됐다.

 

또 두산그룹의 지주사인 두산(18.2%), KCC그룹의 KCC(17.2%), 금호석유화학그룹의 금호석유화학(16.0%), GS그룹의 E1(15.7%), 삼천리그룹의 삼천리(15.6%) 순으로 자사주 비중이 높았다.

 

그러나 이들 기업 중 2022년 이후 자사주를 실제로 소각한 곳은 미래에셋증권, SK, 금호석유화학 단 3곳뿐이었다.

 

한편, 코스피 상장사 중 자사주 비중이 40%를 초과한 곳은 ▲일성아이에스(48.8%) ▲조광피혁(46.6%) ▲델코웨어(44.1%) ▲부국증권(42.7%) 등 4곳이며, 코스닥에서는 ▲매커스(41.1%) 한 곳만이 40%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말도 탈도 많은 교촌치킨, 이재명 대통령 '꼼수 인상' 저격…APEC·슈링크플레이션·배달료 '또 교촌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1일 국무회의에서 슈링크플레이션, 즉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 용량을 줄이는 이른바 ‘꼼수 인상’ 문제를 강력히 지적하며 치킨업계가 크게 긴장하고 있다. 특히 교촌치킨이 대표적 사례로 거론되면서, 국내 외식업계에 파장이 커지고 있다.​ 교촌치킨은 올해 9월 일부 순살 메뉴의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대폭 줄이면서도 가격은 변동하지 않아 소비자 기만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닭다리살만 사용하던 주재료에 안심살을 섞은 것도 가격 인상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 같은 ‘슈링크플레이션’ 행위는 국감에서 여야 의원들에게 질타를 받았고, 대통령실과 공정거래위원회,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정부 부처가 대책 마련에 나서게 된 배경이다.​ 소비자들은 교촌의 부도덕한 가격 인상 행태에 “교촌이 또 교촌했다”며 강한 불만과 배신감을 표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불매운동 움직임과 소비자 신뢰 저하로 이어져 교촌 브랜드의 시장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는 10월 23일 결국 순살 메뉴 중량과 주재료 구성을 원상복구시키는 결정을 내렸으나, 이 과정에서 국민 신뢰와 브랜드 이미지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었다.

‘필코노미’ 트렌드 확산에 CJ온스타일 라방 채팅 수 18만건 '역대 최대'∙∙∙3Q 모바일 라방 거래액 63%↑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CJ온스타일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이하 라방)가 ‘기분이 소비를 이끈다’는 ‘필코노미(Feelconomy)’ 트렌드 속에서 역대 최대 수준의 고객 참여를 이끌어냈다. CJ온스타일은 10월 모바일 라방 채팅 수가 18만 건에 육박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8월 초대형 모바일 라이브쇼 론칭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이번 성과는 라부부 등 팝마트와의 협업과 셀럽·인플루언서 100인이 추천하는 상품을 큐레이션한 하반기 최대 쇼핑 축제 ‘컴온스타일’ 흥행이 고객 공감과 활발한 라방 채팅 참여를 이끌어냈다. 특히 지난 17일 진행된 팝마트 라부부∙크라이베이비 라방에는 2만 건의 채팅이 쏟아지기도 했다. 또한 기은세∙박세리 등 셀럽 MC를 중심으로 ‘토크 예능형 라방’을 확대해 시청자가 콘텐츠에 공감하고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점도 성과를 견인했다. 채팅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앱 체류시간과 구매 전환율도 동반 상승, CJ온스타일의 3분기 모바일 라방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62.8% 증가했다. 라방 채팅창이 서로의 감정을 나누는 교감의 장으로 발전한 사례도 있다. 평일 오전 10시에 방송되는 대표 유아동

LG에너지솔루션-美 South8 테크놀로지스,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 개발 나선다…"영하 60도 초저온 극한 환경에서도 작동"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항공우주용 배터리 시장으로 고객 및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한다. 12일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사우스8 테크놀로지스(South8 Technologies, 이하 사우스8)와 ‘항공우주용 배터리 셀 연구 및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우스8은 전 세계 최초로 리튬이온 배터리용 액화 기체 전해질을 개발한 미국 스타트업이다. 지난해 미국 타임(TIME)지 선정 ‘2024년 200대 발명품’ 중 하나로 꼽힐 만큼 혁신성을 인정받은 기술이기도 하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계약을 통해 항공우주용 배터리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액화 기체 전해질’로 극저온 항공우주용 배터리 공동 개발… 사우스8과 협력 강화 사우스8의 ‘액화 기체 전해질’은 영하 20도 부근에서 정상적인 작동이 어려운 기존 액체 전해질과 비교해 어는점이 훨씬 낮아 우주와 같은 영하 60도 이하 극한의 저온 환경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물리적 충격을 받거나 급격한 온도 변화 상황에서 배터리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도 있다. 만약의 경우 전지 내부의 액체 용매가 급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