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사외이사 평균보수 순위…삼성전자>SK하이닉스>SK텔레콤>포스코홀딩스>현대자동차>삼성물산 順

300大기업 사외이사 ‘억대 클럽’ 늘어…2023년 60명대→2024년 70명대
유니코써치, 2024년 기준 국내 주요 300大기업 사외이사 및 상근 감사 보수 분석
사외이사 평균 年급여, 2023년 5737만원→2024년 5859만원…3000만원대 급여 구간 最多
사외이사 급여 TOP10에 SK그룹 가장 많아…상근 감사 급여 억대클럽에 34곳 가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주요 300대 대기업에서 활동하는 사외이사의 작년 평균 급여는 재작년보다 2% 정도 늘어난 5800만원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대상 대기업 300곳 곳 중 작년 사외이사 평균 급여가 1억원이 넘는 회사는 15곳으로 이전해보다 3곳 늘었고, 억대 급여자에 속하는 인원도 재작년 60명대에서 작년에는 70명대로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또 삼성전자에서 감사위원을 겸하지 않는 일반 사외이사 3명의 평균 보수는 2억원대로 가장 높았다. 이외 300개 대기업 중 상근 감사에게 억대 급여를 준 곳은 34곳으로 이전해보다 7곳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업체 유니코써치(대표이사 김혜양)는 이달 2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국내 주요 300대 기업의 2024년 사외이사 및 상근 감사 보수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300개 기업은 15개 업종별 매출(2022년 별도 재무제표 기준) 상위 20개 기업씩 총 300개 상장사이다. 조사는 금융감독원에 제출된 각 기업의 사업보고서에 기재된 사외이사 보수 현황을 참고해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지난해 국내 300대 기업에서 활동한 사외이사 인원은 104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3년(1030명) 때보다 15명 많아진 숫자다. 보수 금액만 놓고 보면 사외이사는 크게 두 그룹으로 나뉜다. 한 그룹은 감사위원회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이고, 다른 그룹은 감사위원을 따로 맡지 않는 일반 사외이사 집단이다.

 

공시 서식 규칙에 사외이사 중 감사위원회의 감사위원 보수는 별도 기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작년 기준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는 687명으로 전체 사외이사의 65.7%를 차지했다. 이는 재작년 65.5%보다 소폭 늘어난 수준이다.

 

 

참고로 자산 2조원이 넘는 상장사 등은 감사위원회를 의무 설치해 사외이사 중 감사위원을 별도 두지만, 자산 2조원 미만이고 자산 총액 1000억원이 넘는 곳은 상근 감사 1명 이상만 두면 된다. 일부 기업은 사외이사와 감사를 동시에 두는 기업도 있다. 작년 기준 대기업 300곳에서 활약하는 상근 감사는 106명으로 지난 2023년 96명보다 10명 정도 많아졌다.

 

작년에 300대 기업에서 활약하는 1040명이 넘는 사외이사에게 지급한 지난해 연간 보수 총액은 612억원2199만원 수준이었다. 재작년 지급한 590억9424만원보다는 3.6%(21억원↑) 정도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사외이사 1인당 연간 평균 급여도 재작년 5737만원에서 작년에는 5859만원으로 2.1%(122만원) 소폭 상승했다.

 

조사 대상 300개 대기업의 재작년 대비 작년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많아진 곳은 144곳으로 절반에 육박하는 48% 수준을 보였다. 이와 달리 89곳(29.7%)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67곳(22.3%)은 재작년과 작년 사외이사 평균 급여가 동일했다. 전체적으로 보면 사외이사 보수를 올린 기업이 내린 곳보다 눈에 띄게 많아진 셈이다.

 

전체 사외이사를 유형별로 구분해 살펴보면, 감사위원을 겸하는 일반 사외이사 그룹의 작년 1인당 평균 보수는 6197만원으로 비(非) 감사위원 사외이사 그룹군 5208만원보다 990만원 정도 높았다. 2023년의 경우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는 6059만원, 비(非) 감사위원 사외이사는 5126만원 내외 수준이었다.

 

대기업 사외이사 타이틀을 갖고 있더라도 기업별 급여 수준은 극과 극을 달렸다. 지난해 기준으로 1040명이 넘는 사외이사 중 억대 이상 보수를 받은 인원 비율은 6.9% 수준을 보였다. 1년 전보다 0.5%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반면 연간 보수액이 2000만원 미만인 비율은 5.4%였는데, 이전해 7% 수준이던 것보다는 1.6%포인트 감소한 비율이다.

 

 

특히 300대 기업 중 평균 보수가 1억원을 넘긴 곳의 사외이사 인원은 재작년에는 12개 기업에 64명(6.2%)이었는데, 작년에는 15곳에 72명(6.9%)으로 60명대에서 70명대로 달라졌다. 지난해 사외이사 급여 억대 클럽에 가입한 15곳 중 5곳은 SK그룹 계열사로 그룹 중에서는 가장 많았다.

 

억대 이상 급여를 받은 사외이사 인원을 제외하고 작년 기준 300대 기업의 사외이사 급여 구간별 인원 비율을 천만원 단위로 살펴보면 ▲9000만원대(9000만원~1억원 미만) 6%(2023년 5.2%) ▲8000만원대 9.6%(10.4%) ▲7000만원대 10.9%(10.4%) ▲6000만원대 11.2%(8.9%) ▲5000만원대 9.4%(11.7%) ▲4000만원대 14.6%(13.6%)로 파악됐다.

 

3000만원대는 17.4%(16.5%)로 재작년에 이어 작년에도 가장 많았다. 이외 2000만원대는 8.6%(10.1%)이었고, 1000만원대 이하는 5.4%(7%)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5000만원 이상 보수를 받은 사외이사 인원 비중은 작년 기준 53.9%으로, 이전해 52.8%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작년 기준 회사별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가장 곳은 기업은 ‘삼성전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회사는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작년 한 해 총 6명의 사외이사에게 11억원이 넘는 보수를 지급했다. 산술적인 1인당 평균 급여액은 1억 8333만원으로 국내 대기업 중에서는 가장 높았다.

 

이어 ▲SK하이닉스(1억5933만원) ▲SK텔레콤(1억5676만원) ▲포스코홀딩스(1억2700만원) ▲현대자동차(1억2000만원) ▲삼성물산(1억1420만원) ▲SK가스(1억1225만원) ▲NAVER(1억1200만원) ▲SK이노베이션(1억1200만원) ▲현대모비스(1억820만원) ▲CJ대한통운(1억467만원) ▲삼성생명(1억365만원) ▲삼성바이오로직스(1억250만원) ▲LG전자(1억200만원) ▲SK네트웍스(1억50만원) 등도 지난해 기준 사외이사 보수 1억 클럽에 가입했다.

 

이중 CJ대한통운은 재작년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7475만원이었는데 1년 새 2990만원 많아져 1억 클럽에 입성했다. 이외 삼성생명(2023년 9013만원), 삼성바이오로직스(8925만원), 현대모비스(9560만원)도 재작년 기준 사외이사 평균 급여는 1억원 미만이었는데, 작년에 사외이사 평균 급여 1억 클럽에 이름을 올렸다.

 

 

사외이사를 세분화해 감사위원을 겸하지 않는 사외이사의 평균 보수만 따로 떼어놓고 살펴보면 ‘삼성전자’에서 2억원 이상 보수를 받은 사외이사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이 회사의 작년 사외이사는 6명이었는데 이 중에서도 감사위원을 겸하지 않는 일반 사외이사 3명에게 총 7억4000만원의 보수를 지출해 1인당 평균 급여액이 2억4667만원으로 국내 기업 중 가장 높았다.

 

하지만 3명 모두 실제 2억원대 보수를 지급받았는지 여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3명 중에서도 어떤 사외이사는 3억원 이상도 높게 받을 수 있는 반면 다른 이는 1억원대로 낮게 받는 등 경우의 수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같은 삼성전자 사외이사 중에서도 감사위원을 겸하는 다른 3명의 사외이사 작년 평균 보수는 1억2000만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에서 지난해 활약한 6명의 사외이사 중에도 3명의 보수는 2억5000만원에 근접해 국내 최고 수준의 급여 대우를 받았지만, 나머지 3명은 1억2000만원으로 달랐다.

 

삼성전자 일반 사외이사 다음으로 SK텔레콤에서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 4명의 평균 급여는 1억5825만원으로 넘버2를 차지했다.

 

이어 ▲SK하이닉스 감사위원(1억5750만원) ▲SK텔레콤 일반 사외이사(1억5000만원) ▲SK하이닉스 일반 사외이사(1억4800만원) ▲현대자동차 일반 사외이사(1억3800만원) ▲포스코홀딩스 감사위원(1억2800만원) ▲포스코홀딩스 일반 사외이사(1억2500만원) ▲SK이노베이션 일반 사외이사·SK네트웍스 일반 사외이사(각각 1억2100만원) ▲삼성전자 감사위원 겸임(1억2000만원) 순으로 작년 사외이사 유형별 급여 톱10에 이름을 올렸다.

 

 

이렇게 사외이사를 유형별로 나눠 억대 이상 급여를 받은 사외이사를 따로 파악해보면 모두 79명으로, 회사별로 살펴본 억대 급여 인원보다 5명 더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업종별 사외이사 1인당 평균 보수는 전자 업종에 있는 사외이사 59명이 한 명당 평균 8263만원을 받아 비교적 높은 급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통상사 7464만원 ▲정보통신 7363만원 ▲금융 7151만원 ▲석유화학 6997만원 ▲금속철강 6337만원 ▲자동차 5571만원 ▲제약 5152만원 순으로 작년에만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5000만원을 넘었다.

 

반면 패션 업종은 3095만원으로 조사 대상 주요 업종 중 작년 사외이사 평균 급여액이 가장 낮았다. 고무·플라스틱 업종도 지난해 평균 3961만원으로 사외이사 보수가 3000만원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외 작년 기준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4000만원대인 업종군에는 ▲기계 4985만원 ▲운송 4976만원 ▲건설 4838만원 ▲식품 4609만원 ▲광물 4431만원 등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업체 중 작년 기준 상근 감사 보수가 억대를 상회하는 곳은 34곳으로 조사됐다. 2023년 27곳보다 7곳 늘었다. 300개 대기업 중 작년도 상근 감사 연간 보수가 가장 높았던 곳은 ‘기업은행’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회사의 사업보고서에 의하면 상근 감사에게 1인당 평균 3억700만원 상당의 급여를 지급해 조사 대상 업체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포스코스틸리온(2억7300만원) ▲인디에프(2억7300만원) ▲동방(2억1700만원) ▲해태제과, 율촌화학(2억1000만원)은 작년 한 해 상근 감사 평균 급여가 2억원을 상회했다. 이어 ▲한전KPS(1억8000만원) ▲종근당(1억7100만원) ▲DN오토모티브(1억6800만원) ▲동부건설(1억6100만원) ▲한신공영(1억6000만원) 등은 지난해 기준 상근 감사 보수 상위 TOP 10에 포함됐다.

 

유니코써치 정경희 전무는 “대기업 중에서도 사외이사 급여는 억대 이상 주는 곳이 있는가 하면, 1000만원대로 주는 곳도 있어 회사별 편차가 크다”며 “사내이사 보수도 과거 보수 총액과 평균 정도만 공시해오다 일정 시점부터 5억원 이상 받는 경우 개인별로 공개해 온 것처럼 사외이사도 지배구조의 투명성 강화와 주주 신뢰 차원에서 개인별 급여를 공개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전국민 90% 10만원 소비쿠폰 "잠실주공5단지 주민도 받는다"…아파트 공시가 25억 받고, 30억은 못받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오는 9월 22일부터 대한민국 국민 90%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원씩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된다. 단,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 12억원 초과 또는 금융소득 합계액 2000만원 초과 가구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번 소비쿠폰은 내수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정부의 민생 회복 정책의 일환으로, 1차 때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했으나 2차는 고소득·고자산 가구를 걸러내어 혜택을 집중한다. 정부와 여당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차 소비쿠폰 지급 계획을 발표하며, 가구 단위 선정 기준을 세워 ‘2025년 6월 18일 기준 주민등록표에 등재된 가구원’을 대상으로 한다고 밝혔다. 배우자와 자녀가 주소지가 달라도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돼 있으면 동일 가구로 간주되며, 부모는 별도의 가구로 본다. 맞벌이 등 다소득원 가구는 가구원 수+1명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 합산액 기준이 완화된다. 재산세 과세표준은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비율(주택 60%)을 곱해 산정하는데, 예컨대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전용 82.61㎡ 아파트 공시가격 19억7200만원 기준으로 과세표준은 약 11억8300만원으로 기준선 12억원 미만이어서 2

[랭킹연구소] 이재용 주식재산 18조 돌파 ‘상속 이후 최고치’…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SDS·삼성E&A·삼성화재·삼성전자우 총 7개 보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주식부자 1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주식재산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만에 18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재용 회장이 부친인 고(故) 이건희 회장에게서 주식을 물려받은 이후 가장 높은 평가액이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재용 회장의 주식가치는 9월 11일 기준 18조1086억원으로 평가됐다고 12일 밝혔다.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달 11일 기준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S ▲삼성E&A ▲삼성화재 ▲삼성전자 우선주 이렇게 총 7개의 주식종목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7개 종목에 대한 올해 연초 기준 주식재산 가치는 11조9099억원 수준이었고, 1분기 때인 지난 3월 말에는 12조2312억원으로 12조원대 수준을 보여왔다. 이후 이재명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취임한 지난 6월 4일 기준 이재용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14조2852억원으로 높아졌고, 2분기 때인 6월 말에는 15조2537억원으로 높았다. 대통령 취임 50일 시점인 지난 7월 23일에는 16조2648억원으로 16조원대로 증가했다. 그러다 지난 11일에는 18조5157억원의 가치를

[랭킹연구소] 세계 최고 암 병원 TOP10에 한국 병원 3곳 포함…삼성서울병원·서울아산병원·서울대병원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2026년 세계 최고 전문 병원 순위를 발표한 결과, 암 분야 세계 톱10 병원 중 한국 병원 3곳이 이름을 올려 주목받았다. 삼성서울병원은 미국의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 MD앤더슨 암센터에 이어 3위를 기록했고, 서울아산병원이 4위, 서울대병원이 8위에 올랐다. 이 같은 성과는 한국 의료진의 높은 임상 역량과 첨단 의료기술 도입, 환자 중심 의료 서비스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반영한다. 이번 순위는 암을 포함해 내분비, 소화기, 신경, 비뇨기, 정형외과 등 12개 임상 분야별로 30여 개국 의료 전문가 수만 명의 평가를 토대로 글로벌 마케팅업체 스타티스타와 뉴스위크가 공동으로 집계했다. 암 분야 상위 10곳 병원 중 미국 병원이 4곳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 병원이 3곳, 프랑스·영국·캐나다 병원이 각각 1곳씩 포함됐다. 서울아산병원은 암 이외에도 내분비와 소화기 분야 각각 4위를 차지했으며, 신경·비뇨기·정형외과 등 6개 분야에서 톱10 안에 들며 다방면에서 강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은 암 분야에서 3위를 차지하는 동시에 소화기 5위, 비뇨기 10위권에 올랐으며, 2022년 기준

서울 아파트 분양 ‘반토막’에 대어가 온다…래미안 트리니원·아크로 드 서초·힐스테이트 이수·더샵 신풍역·상봉 아이파크 '주목'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 하반기 서울 아파트 분양 물량이 약 2600가구에 그칠 전망이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절반 이상 줄어든 수준으로, 서울 분양 시장의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 하반기 서울에서 분양 예정인 단지는 총 16곳, 9828가구다. 이 가운데 임대와 조합원 물량을 제외한 일반분양 가구는 2626가구에 불과해, 전년 동기 8651가구와 비교하면 69.65% 감소했다. 공급 위축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가 지난 7월 발표한 ‘6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서울의 분양 승인 및 착공 실적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올해 상반기 서울 분양 승인 누계는 6558가구로, 전년 동기 8231가구 대비 20.33% 감소했다. 같은 기간 착공 실적도 1만1183가구에서 1만736가구로 약 4% 줄었다. 이처럼 공급이 줄자 신규 분양시장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 하반기 청약을 진행한 단지들은 모두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7월 분양한 ‘리버센트푸르지오위브’는 191.35대 1, ‘오티에르포레’는 무려 688.13대 1에 달했으며, 8월 청약을 받은 ‘제기동역

[이슈&논란] 경제개혁연대 “DB 김준기, 20년 의결권 제한 조건 숨겨 증여…금감원, 5% 공시 위반 조사 촉구"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경제개혁연대(소장 김우찬 고려대 교수)는 9월 8일 금융감독원에 DB그룹 최대주주(김준기, 김남호, 김주원)의 5% 이상 대량 주식보유 공시 위반 혐의 조사 요청 공문을 발송했다. 해당 사안은 최근 9월 3일 여러 매체에서 “김남호 DB 명예회장, 20년 의결권 제한 풀렸다”는 기사로 처음 폭로됐다. 2004년 8월, 김준기 창업회장은 장남 김남호에게 동부정밀화학(현 ㈜DB) 주식 84만주를 증여하며 20년간 의결권을 제한하는 조건을 걸었고, 차녀 김주원에게도 비슷한 조건으로 44만8412주를 증여한 것으로 확인된다. 그 결과, 김남호 명예회장은 명목상 최대주주임에도 20년간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했으며, 실제 경영권은 김준기 창업회장이 유지해온 셈이다. 당시 김준기는 개인지분 46.21%에서 증여 이후 14.00%로 줄었으나, 의결권 제한 조건으로 실질적 경영권을 지속 장악했다는 해석이다. 현행 자본시장법 제147조는 상장법인 주식 5% 이상 지분 보유 시 5일 이내에 ‘보유주식 주요 계약내용, 의결권 제한조건, 기타 변동사항’ 등을 금융당국에 상세히 보고(공시)하도록 규정한다. 그런데 DB그룹은 대량보유보고서 어디에도 의결권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