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산업은행·SK하이닉스, 매출 'TOP10' 진입…하나캐피탈·OCI·우아한청년들·LS네트웍스·대방건설·두나무·삼양식품 등 500대 기업 '가입'

500대 기업, 33곳 물갈이…500대 기업 총 매출·영업익, 전년比 각각 5.3%·40.3%↑
삼성전자 부동의 1위…LG화학·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10위권 제외
하나캐피탈·OCI·우아한청년들·동국씨엠 등 33곳 500대 기업에 신규 진입
CEO스코어, 지난해 실적 공시 기업 대상 매출액 상위 500대 기업 선정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3곳이 교체됐다.

 

하나캐피탈, OCI, 우아한청년들, 동국씨엠 등이 신규로 진입한 반면 폭스바겐그룹코리아와 SGC E&C 등은 제외됐다.

 

삼성전자는 매출 300조원대를 회복하며 부동의 1위 자리를 유지했고, 기아는 처음으로 100조원대를 돌파했다. 한국산업은행과 SK하이닉스는 매출 ‘톱10’에 신규 진입했고, LG화학과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은 탈락했다.

 

500대 기업의 지난해 총 매출은 4100조원을 넘어섰고, 총 영업이익은 280조원에 달했다.

 

11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금융통계정보시스템·공공기관‧지방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에 재무정보를 공개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매출액(연결기준, 지주사‧지배기업은 개별기준) 기준 국내 500대 기업을 선정했다.

 

올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에 진입하기 위한 매출 하한선은 1조3293억원으로 전년(1조2969억원)보다 324억원(2.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선정된 500대 기업의 지난해 매출은 총 4110조8281억원으로 전년(3902조6278억원)보다 208조2003억원(5.3%) 늘었고, 영업이익도 283조3173억원으로 전년(201조8878억원)보다 81조4295억원(40.3%) 확대됐다.

 

삼성전자는 500대 기업 가운데 부동의 1위 자리를 유지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매출은 300조8709억원으로 전년(258조9355억원)보다 41조9354억원(16.2%) 증가하며 2022년 말 이후 다시 매출 300조원대를 회복했다.

 

이어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각각 매출 175조2312억원과 107조4488억원으로 2, 3위를 차지했다. 두 회사의 합산 매출액은 282조6800억원에 달했으나, 삼성전자와 비교하면 18조1909억원 가량 적은 수준이다. 이어 한국전력공사(4위)와 LG전자(5위) 등 ‘탑5’ 기업들의 순위는 지난해와 동일했다.

 

500대 기업 상위 10개 기업에는 한국산업은행과 SK하이닉스가 신규 진입했다. 한국산업은행은 지난해 영업수익 71조3000억원으로 전년보다 22조8714억원(47.2%) 증가하면서 매출 순위가 12위에서 6위로 상승했다.

 

SK하이닉스도 지난해 매출 66조1930억원으로 전년보다 무려 33조4273억원(102.0%) 늘어나며 매출 순위가 25위에서 7위로 올라서며 10위권에 안착했다.

 

반면, LG화학과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은 매출 10위권에서 제외됐다. LG화학은 지난해 매출이 하락하면서 매출 순위도 7위에서 12위로 5단계 떨어졌다.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의 경우, 합병으로 소멸됐다.

 

 

500대 기업에 신규 진입한 기업은 33곳으로 전년(42곳)보다 9곳 줄었다. 하나캐피탈, OCI, 우아한청년들, 동국씨엠, LS네트웍스, 대방건설, 두나무, 삼양식품, 삼성금거래소, 에스엠상선 등이 약진하며 500대 기업에 새로 이름을 올렸다.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LS I&D, 엠에스오토텍, HD현대아로마틱스, 메가존클라우드, 이마트에브리데이는 올해 500대 기업에서 제외됐다.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과 HD현대아로마틱스, 이마트에브리데이는 합병으로 소멸됐고, LS I&D와 엠에스오토텍은 지배기업으로 조정되면서 제외됐다. 메가존클라우드의 경우, 보고서 미제출로 제외됐다.

 

500대 기업 가운데 지난해보다 매출 순위가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씨에스윈드, 한국금거래소쓰리엠, 우미건설 등 7곳으로 나타났다. 이들 기업은 500대 기업 순위가 100단계 이상 상승했다.

 

씨에스윈드는 지난해 매출이 3조725억원으로 전년(1조5202억원)보다 1조5523억원(102.1%) 가량 증가하며 매출 순위도 428위에서 238위로 190단계 상승했다.

 

한국금거래소쓰리엠도 3조9197억원으로 전년(1조8607억원)과 비교해 2조590억원(110.7%) 늘어나면서 매출 순위가 357위에서 193위로 164단계 상승했다. 우미건설의 경우, 지난해 매출 2조934억원으로 전년(1조3524억원)보다 7410억원(54.8%) 확대되며 매출 순위가 483위에서 325위로 158단계 상승했다.

 

반면 엘앤에프, SK에코엔지니어링, 볼보그룹코리아 등 9곳은 500대 기업 순위가 100단계 이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엘앤에프는 지난해 매출 1조9075억원으로 전년(4조6441억원)보다 2조7366억원(58.9%) 감소하며 매출 순위가 158위에서 350위로 192단계 하락했다.

 

SK에코엔지니어링은 지난해 매출 1조6080억원으로 전년 보다 1조549억원(39.6%) 줄었고, 같은 기간 볼보그룹코리아 매출도 1조4494억원으로 6868억원(32.2%) 하락했다. 이에 따라 SK에코엔지니어링 매출 순위는 252위에서 415위로 163단계 떨어졌고, 볼보그룹코리아 매출 순위도 313위에서 467위로 154단계 하락했다.

 

이외에도 자이에스앤디의 지난해 매출이 1조5782억원으로 전년 보다 7964억원(33.5%) 줄며 매출 순위가 282위에서 425위로 143단계 하락했고, 에코프로비엠도 지난해 매출이 2조7668억원에 그치며 전년 보다 4조1341억원(59.9%) 감소하며 매출 순위 118위에서 258위로 140단계 하락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KAI·우리금융·우항협·기보, 항공우주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금융지원 '맞손'…2조원 특화 금융상품 개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KAI(한국항공우주산업㈜)가 9일 우리금융그룹(이하 우리금융), 한국우주항공산업협회(이하 우항협), 기술보증기금(이하 기보)과 함께 ‘항공우주산업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국내 항공우주산업 생태계 강화에 나선다. 서울시 회현동 우리금융그룹 본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KAI 강구영 사장, 우리금융 임종룡 회장, 우항협 김민석 부회장, 기보 김종호 이사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은 급변하는 글로벌 기술환경 속에서 국내 항공우주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중소 협력 기업을 포함한 산업 전반의 자금 유동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추진 됐다. 협약을 통해 4개 기관은 총 2조원 규모의 금융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KAI·우항협과 협력하는 중소·중견 기업을 위한 실질적인 금융 인프라를 마련할 계획이다. KAI와 우항협은 이번 협약 체결로 협력기업 대상 금융지원 수요를 발굴하여 우리금융과 기보에 제공한다. 특히 KAI는 우리은행과 전자구매시스템 연계를 통해 협력기업과의 발주, 전자계약 등 기본적인 구매 정보를 우리은행에 제공하고 우리은행은 해당 정보만으로도 협력기업이 생산자금 대출을 지원받을 수 있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창립 84주년, 글로벌 하이테크 그룹으로서 혁신·역량 강화"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국앤컴퍼니그룹(회장 조현범)은 5월 10일 창립 84주년을 맞아 전 계열사 글로벌 임직원 5만여명에게 메시지를 전하고 장기근속·우수사원 등 2709명을 포상했다고 11일 밝혔다. 조현범 회장은 메시지에서 "프로액티브(Proactive) 혁신으로 대내외 위기를 극복하고, 우리가 새로운 질서를 만들자"며 "구성원들의 지혜·역량을 기반으로 산업 생태계 선순환 구축, 고용창출을 이뤄 국가 경제에 기여하자"고 강조했다. 조 회장은 “1941년 작은 타이어 회사로 출발한 한국앤컴퍼니그룹이 이제 5만여 임직원과 함께하는 글로벌 하이테크놀로지 그룹으로 성장했다”며 “한온시스템 인수를 통해 타이어·배터리·열관리로 이어지는 미래 핵심 포트폴리오를 완성하고, 글로벌 모빌리티 밸류체인을 확보했다”고 피력했다. 그는 이어 “미국발 통상 위기 속에서도 공장 증설 등 신속·구체적 실행을 통해 적절히 대응하고 있다”며 “모든 성과는 임직원들의 집중과 R&D 혁신, 현장 실행력이 함께 만들어낸 결과”라고 강조했다. 조 회장은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지금이 변화를 주도할 최적의 타이밍”이라면서 “우리가 만든 새로운 질서로 사회와 구성원들에게 그 성과를 돌

[랭킹연구소] 산업은행·SK하이닉스, 매출 'TOP10' 진입…하나캐피탈·OCI·우아한청년들·LS네트웍스·대방건설·두나무·삼양식품 등 500대 기업 '가입'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3곳이 교체됐다. 하나캐피탈, OCI, 우아한청년들, 동국씨엠 등이 신규로 진입한 반면 폭스바겐그룹코리아와 SGC E&C 등은 제외됐다. 삼성전자는 매출 300조원대를 회복하며 부동의 1위 자리를 유지했고, 기아는 처음으로 100조원대를 돌파했다. 한국산업은행과 SK하이닉스는 매출 ‘톱10’에 신규 진입했고, LG화학과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은 탈락했다. 500대 기업의 지난해 총 매출은 4100조원을 넘어섰고, 총 영업이익은 280조원에 달했다. 11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금융통계정보시스템·공공기관‧지방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에 재무정보를 공개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매출액(연결기준, 지주사‧지배기업은 개별기준) 기준 국내 500대 기업을 선정했다. 올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에 진입하기 위한 매출 하한선은 1조3293억원으로 전년(1조2969억원)보다 324억원(2.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선정된 500대 기업의 지난해 매출은 총 4110조8281억원으로 전년(3902조6278억원)보다 208조200

공영홈쇼핑 사장에 유통·방송 경력 전무한 정치인 내정 논란…정일영 "알박기 인사 중단하라" 강력 비판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정부가 지분 50%를 보유한 ㈜공영홈쇼핑의 신임 사장 인선을 둘러싸고 ‘알박기 인사’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유력 후보로 거론되는 이종훈 전 새누리당 의원이 유통·방송 분야 경력이 전무한 정치인 출신이라는 점에서,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내란은폐 및 알박기 인사 저지 특별위원회 위원장은 “국민을 무시하는 처사”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공영홈쇼핑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한국중소벤처기업유통원이 지분 50%를 보유한 공공기관으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판로 확대라는 공적 역할을 맡고 있다. 최근 사장 공모에는 18명이 지원해 서류심사를 통과한 5명, 면접을 거친 3명이 최종 후보로 압축됐다. 이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실과 법무부 인사정보관리관실이 인사 검증을 진행했고, 이종훈 전 의원이 유력 후보로 내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일영 위원장은 “공영홈쇼핑 사장 자리는 유통과 방송 등 전문성이 필수적인 자리임에도, 현 정부 인사라는 이유만으로 경력 없는 정치인을 내정하는 것은 명백한 알박기 인사”라고 지적했다. 그는 “새 정부 출범이 한 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권한대행 체제 하에 정부의 지분과 인사권을 근거로 사장 선임을 강행하는 것은 주권자

CJ프레시웨이 1분기 매출 7986억원·영업이익 106억원 기록…"경기 침체와 비수기 불구하고 견조한 실적"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CJ프레시웨이가 1분기 매출 7986억원, 영업이익 106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9.2%, 0.8% 증가한 수치다. 지속되는 외식 경기 침체와 계절적 비수기 영향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외식 식자재 및 식품원료 유통사업 매출은 3799억원이다. 해당 사업은 외식업체, 유통 대리점, 식품 제조사를 대상으로 한다. 1분기 성장세가 가장 눈에 띄는 사업 경로는 온라인이다. 온라인 주문에 친숙한 외식업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판매 상품 구색 확대, 배송 서비스 다각화 등을 추진했다. 그 결과, 온라인 채널 유통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배 증가하는 성과를 냈다. 수익성 중심의 외식 프랜차이즈 신규 수주도 실적에 기여했다. 급식 식자재 유통과 단체급식이 합쳐진 급식사업 매출은 4124억원이다. 영유아부터 시니어까지 생애주기별로 세분화된 급식 유통 경로 모두 고르게 성장했다. 사회변화에 발맞춰 아동 돌봄시설, 노인 이동급식업체 등 고객군 다각화에도 힘썼다. 단체급식 사업은 대형 사업장 중 하나인 인천공항에 프리미엄 푸드코트를 오픈하며 매출을 확대했고, 신규 수주액 또한 전년 동기 대비 65% 증가했다. CJ프레시

[랭킹연구소] 국내 특허등록 기업 순위 TOP10, 삼성전자·LG전자·현대차·SK하이닉스 順…상표권 최강자는 아모레퍼시픽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에서 가장 많은 특허권을 보유한 기업으로, 아모레퍼시픽은 최다 상표권 등록 기업의 자리를 지켰다. 특허청이 광복 80주년과 발명의날 60주년을 맞아 발표한 ‘특허·상표 다등록 권리자 조사’ 결과, 대한민국 산업계의 혁신과 브랜드 경쟁력의 현주소가 다시 한 번 확인됐다. 국내기업 중 특허 등록 1위는 단연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는 1969년 전자 사업에 진출한 이래 반도체와 모바일 기기 등 첨단 산업을 선도하며, 지금까지 13만4802건의 특허를 등록했다. 이는 국내 전체 특허의 5%에 달하는 수치다. 지난해에만 5255건의 특허를 추가하며, 기술 혁신의 아이콘임을 입증했다. 2위는 LG전자로 7만7802건(2.9%), 3위는 현대자동차로 5만4305건(2.0%)을 기록했다. 이어 4위는 SK하이닉스(3만9071건), 5위는 LG디스플레이(2만8544건)가 올랐다. 이들 기업은 반도체, 전자,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한국 산업의 핵심 축을 형성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6위는 포스코홀딩스, 7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위 LG화학, 9위 삼성SDI, 10위 삼성디스플레이로 나타났다. 상표권 분야에서는 아모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