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한국 그룹 중 영업이익 1위는 'SK 최태원'…매출·당기순익·고용 1위는 '삼성 이재용'

SK 최태원, 작년 그룹 영업이익 1위…삼성전자 이재용, 매출·당기순익·고용 3개 종목 1위
CXO연구소, 92개 그룹 총수 대상 주요 13개 항목별 2024년 경영 성적 분석
고려에이치씨 박정석, 영업益 증가율 1위…미래에셋 박현주, 1인당 매출 最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4년 한 해 그룹 총수들은 경영 성적표를 받고 얼굴 표정이 어떻게 달라졌을까.

 

지난해 그룹 전체 매출을 비롯해 당기순이익(순익), 고용 3개 항목에서는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이끄는 삼성그룹이 1위를 유지했다. 그룹 전체 영업이익에서는 최태원 회장이 수장으로 있는 SK그룹이 삼성을 근소한 차이로 앞서며 처음으로 최고 자리에 등극해 눈길을 끌었다.

 

장병규 이사회 의장이 지휘하는 크래프톤그룹은 영업이익률과 순익률 2개 항목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은 그룹 매출 증가율에서 1위를 하며 외형 확장 폭이 가장 컸고, 박정석 고려에이치씨그룹 회장은 그룹 총수 중 영업이익 증가율이 가장 높으며 견고한 내실을 다져나간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24년도 그룹 총수 경영 성적 분석’ 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그룹 총수는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올해 발표한 공정자산 규모가 5조원이 넘는 92개 대기업 집단(그룹)이다. 그룹 경영 평가는 매출 규모를 비롯해 총 13개 항목이다.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총수로 활동 중인 삼성그룹은 지난해 기준 ▲그룹 전체 매출 ▲그룹 전체 당기순익 ▲그룹 전체 고용 3개 항목에서 1위를 지켜낸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이 올린 지난해 국내 계열사 그룹 전체 매출 규모는 399조6362억원으로 조사 대상 92개 그룹 중 가장 높았다.

 

그룹 전체 당기순익도 41조6022억원으로 국내 그룹 중에서는 삼성이 가장 컸고, 국내 전체 고용 인원도 28만4761명으로 최상위에 이름을 올렸다. 3개 항목 이외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023년 대비 2024년 그룹 전체 영업이익 증가율이 846.5%를 보이며 그룹 총수 중에서는 세 번째로 좋은 성적을 거뒀다. 삼성의 재작년 대비 작년 그룹 전체 영업이익 규모는 2조 8564억원 수준에서 27조352억원으로 1년 새 800%가 넘는 영업이익 증가율을 보였다.

 

2024년 기준 그룹 전체 영업이익은 최태원 회장이 총수로 있는 SK그룹이 삼성을 아주 근소한 차이로 제치며 가장 높은 곳에 올라섰다. SK는 지난해 그룹 전체 영업이익은 27조1385억원 수준이었다. 이는 삼성이 기록한 그룹 영업이익 27조352억원과 비교해 불과 0.4% 차이로 앞서는 금액이다. 그야말로 종이 한 장 차이로 작년에는 SK가 삼성을 앞서며 그룹 영업이익 부문에서 처음으로 왕관을 쓰며 뒷심을 발휘했다.

 

이러한 배경에는 SK 계열사 중 한 곳인 SK하이닉스(21조3314억원) 영업이익이 삼성 핵심 기업인 삼성전자(12조3610억원)보다 9조원 가까이 높아진 것이 결정적이었지만,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SDI 두 회사에서 2023년 대비 2024년 기준 1년 새 감소한 영업이익 규모만 1조9596억원이나 되다 보니 그룹 영업이익 규모에서 삼성은 SK에 근소한 차이로 추월당했다.

 

그룹 영업이익 항목과 함께 ‘그룹 전체 순이익 증가율’에서도 최태원 회장은 1위를 차지했다. SK의 지난 2023년 그룹 전체 순익은 6582억원으로 1조원에도 미치지 못했었다. 하지만 작년에는 18조3595억원 이상으로 1년 새 2689.1%나 퀀텀점프했다.

 

영업이익이 크게 증가한 것이 그룹 전체 순익에도 영향을 미친 셈이다. 18조원이 넘는 그룹 전체 당기순익 규모만 놓고 보면 삼성과 현대차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이와 함께 SK는 작년 그룹 전체 매출(205조6752억원)에서는 3위를 기록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작년 그룹 전체 매출(292조1195억원)과 그룹 전체 당기순익(23조7712억원), 고용(20만3915명) 항목에서 삼성 다음으로 2위를 기록했다. 재작년에 1위를 차지했던 그룹 전체 영업이익은 작년(18조5333억원)에는 SK와 삼성에 이어 3위로 순위가 다소 밀려났다.

 

◆ 크래프톤 장병규, 그룹 영업이익률·순익률 2개 항목서 톱 차지…문주현 엠디엠 회장은 1개만 1위 지켜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익, 고용 4개 항목과 달리 각종 증가율 등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총수는 따로 있었다. 그룹 매출 증가율과 영업이익 증가율에서는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과 박정석 고려에이치씨 회장이 각각 톱(TOP) 자리를 차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중 조현범 회장이 이끄는 한국앤컴퍼니그룹의 재작년 매출 외형은 4조2239억원 수준이었는데, 작년에는 8조4668억원으로 1년 새 그룹 매출 덩치가 100.4% 수준으로 배(倍) 이상 커졌다. 여기에는 지난해에 한온시스템을 품은 것이 주효했다. 한온시스템의 작년 매출만 해도 3조6252억원을 기록하며 같은 그룹 계열사 중 외형 덩치가 가장 컸다.

 

아시아나항공 등을 품은 조원태 한진 회장(54.9%)과 장세주 동국제강 회장(52%)은 매출 증가율 부문에서 각각 2~3위에 랭크했다.

 

 

박정석 회장이 총수로 활약하고 있는 고려에이치씨는 재작년 대비 작년 그룹 영업이익은 453억원 수준에서 7029억원으로 1450.3%나 수직상승하며 그룹 영업이익 증가율 1위를 차지했다. 여기에는 고려해운과 고려에이치씨 두 회사의 역할이 컸다.

 

재작년까지만 해도 고려해운은 영업손실 금액만 411억원을 넘어섰고, 지주사인 고려에이치씨는 387억원 수준의 영업이익을 보였다. 이후 1년이 지난 작년에 고려해운은 4113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으로 껑충 뛰었고, 고려에치씨도 2450억원이 넘는 이익을 기록하며 그룹 전체 영업이익 증가율이 1년 새 1000% 이상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우오현 SM(삼라마이다스)그룹 회장 역시 재작년 931억원이던 영업이익이 작년에는 1조561억원으로 영업이익 증가율만 해도 1034.1%로 1000%를 상회하며 관련 항목에서 그룹 총수 중 넘버2를 기록했다.

 

그룹 영업이익률과 순익률에서는 장병규 크래프톤 의장이 두 항목에서 1위를 거머쥐었다. 크래프톤의 작년 그룹 전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7512억원, 1조2083억원으로 매출 대비 영업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인 영업이익률은 43.9%나 차지하며 그룹 총수 중에서는 가장 좋은 성적을 거뒀다.

 

이어 이정훈 전(前) 빗썸홀딩스 의장이 총수로 있는 빗썸(39.7%)과 유정현 이사회 의장이 이끄는 넥슨(32.8%)도 지난해 그룹 총수 중 영업이익률 톱3에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참고로 그룹 영업이익률과 함께 그룹 순익률 1~3위도 동일했다. 지난해 총수가 있는 그룹의 당기 순익률은 크래프톤(50%)>빗썸( 44.8%)>넥슨(41.2%) 순으로 그룹 전체 순익률이 40%대로 높은 편에 속했다.

 

그룹 1인당 매출은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36억3500만원)이 가장 높았다. 그룹 1인당 영업이익과 그룹 1인당 순익은 각각 문주현 엠디엠그룹 회장(9억4100만원)과 정춘보 신영그룹 회장(6억1500만원)이 1위를 기록했다. 이중 문주현 회장은 지난 2023년 조사 때 ▲그룹 매출 증가율 ▲그룹 1인당 매출액 ▲그룹 1인당 영업이익 ▲그룹 1인당 순익 4개 항목에서 1위를 했었는데, 2024년에는 1인당 영업이익만 수성하고 나머지는 3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올해 공정자산 순위 상위 4개 그룹 총수만 따로 살펴보면 2023년 대비 2024년 그룹 매출 증가율을 비롯해 영업이익 증가율과 순익 증가율 3개 항목에서 최태원 SK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 정의선 회장이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구광모 LG 회장은 그룹 영업손익은 2년 연속 적자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했고, 그룹 전체 당기손익도 지난해 순손실로 전환해 우울한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최태원 회장이 이끄는 SK의 그룹 매출 증가율은 2.4%(2023년 200조9306억원→2024년 205조6752억원)에 불과했다. 소폭에 그친 매출 증가율과 달리 그룹 영업이익 증가율 598.7%(3조8841억원→27조1385억원), 그룹 순익 증가율 2689.1%(6582억원→18조3595억원)로 눈에 띄게 폭풍 성장했다.

 

정의선 현대차 회장은 ▲매출 증가율 2.4%(285조2336억원→292조1195억원) ▲영업이익 증가율 2.8%(18조259억원→18조5333억원) ▲순익 증가율 15.9%(20조5149억원→23조7712억원) 수준으로 소폭이지만 모두 우상향으로 움직였다.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은 그룹 매출(358조9158억원→399조6362억원)은 11.3% 수준으로 소폭 증가할 때 그룹 영업이익(2조8564억원→27조352억원)은 846.5%나 크게 증가했다. 반면 그룹 전체 순익(43조5071억원→41조6022억원)은 4.4% 수준으로 소폭 하락세로 나타났다.

 

구광모 LG 회장은 그룹 매출은 1년 새 3.6%(135조4005억원→140조2076억원) 수준으로 소폭 상승했다. 이와 달리 그룹 영업손익은 2년 연속 적자(-3861억원→ -5328억원)를 보였고, 그룹 순익도 재작년 2조1415억원이던 순이익이 작년에는 8707억원 넘는 당기순손실의 쓴맛을 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최근 2년 연속으로 삼성은 그룹 영업이익 규모에서 1위 자리를 놓쳤고, LG는 지난해 그룹 영업손익과 당기손익이 적자를 기록해 다소 침울한 한 해를 보냈다”며 “특히 2025년은 삼성이 그룹 영업이익 1위를 재탈환 할 것인지, SK그룹이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에 힘입어 2년 연속 1위를 지켜낼 것인지가 초미의 관심사”라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커브레(Coffee+Bread)족’ 공략해야 카페 성공…이지브루잉·폴 바셋∙이디야, 베이커리 메뉴 차별화로 활로찾는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베이커리가 커피 프랜차이즈 업계의 새로운 경쟁력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 중심에는 커피와 빵을 단순한 조합이 아닌 하나의 라이프스타일로 소비하는 ‘커브레족’(Coffee+Bread)이 있다. 빵을 커피 경험을 완성하는 핵심 요소로 여기는 그들이 업계에 새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커브레족’의 등장은 1인 가구 증가와 함께 간편한 식사를 선호하는 식문화의 서구화와도 맞닿아 있다. 소비자들의 변화와 맞물려, 커피 품질이 상향 평준화된 카페 시장에서는 완성도 높은 베이커리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했다. 이에 업계는 베이커리 브랜드와 협업하거나 자체 디저트 라인업을 강화하는 등 이들을 공략하기 위한 다각적인 전략을 펼치고 있다. 본아이에프 이지브루잉 커피, 베이커리 메뉴로 ‘생(生)식빵 맛집’ 등극 때로는 주력 메뉴만큼이나 잘 만든 하나의 메뉴가 브랜드 전체의 매력을 끌어올리고, 새로운 흥행을 끌어내는 기점이 되기도 한다. 특히 ‘커브레’ 트렌드 속에서, 커피 전문점에서 선보인 완성도 높은 베이커리 메뉴가 입소문을 타며, 브랜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본죽으로 잘 알려진 국내 대표 외식 프랜

[이슈&논란] 교촌이 또 교촌했다…중량축소로 ‘꼼수인상’ 이어 배달비 2000원 인상 "소비자 불신 증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교촌치킨이 연이어 소비자의 신뢰를 저버리는 가격 정책으로 논란이 커지고 있다. 먼저 지난 9월 11일 교촌치킨은 순살치킨 메뉴의 조리 전 중량을 기존 700g에서 500g으로 28.6% 줄이고, 닭다리살만 고수하던 원재료를 일부 닭가슴살 혼합으로 변경해 사실상 ‘슈링크플레이션’(양 축소 인상) 논란에 휩싸였다. 이러한 중량 축소와 원재료 변경은 소비자에게 사전 고지 없이 진행됐고, 닭가슴살 혼합으로 질적 하락 우려가 크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어 9월 19일부터는 서울 지역 교촌치킨 가맹점주들이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 같은 배달앱을 통한 주문 가격을 기존 대비 2000원씩 대폭 인상했다. 대표 메뉴 허니콤보는 2만3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올라 배달앱 주문 시 3만원에 육박하는 가격이 현실화됐다. 서울 내 가맹점의 90% 이상이 이 가격 인상에 동참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교촌치킨 본사와 서울 지역 가맹점주간 협의에 따른 조치다. 다만 매장 내 주문과 교촌 전용 앱 주문 가격은 종전과 동일하게 유지돼, 배달앱 이용 소비자가 ‘역차별’을 받는 구조가 형성됐다. 가격 인상의 배경으로는 배달앱 수수료 부담이 가장 큰

[이슈&논란] "유명인 사칭 광고 등 AI 온라인 사기, 꼼짝마"…구글·한국소비자원, AI 사칭·사기광고 계정정지 단속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국소비자원과 글로벌 온라인 플랫폼 구글이 손잡고 인공지능(AI)으로 생성된 유명인 및 전문가 사칭 광고 등 온라인 사기성 광고 근절을 위한 자율규제 협력에 나섰다. 소비자원은 2025년 9월 29일 이 협력을 통해 유튜브, 구글 플레이 등 구글이 운영하는 주요 플랫폼에 게시된 광고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부당광고가 의심될 경우 즉각 구글에 신고해 차단 요청을 한다고 밝혔다. 소비자원의 전담 인력과 시니어소비자지킴이, 대학생 광고감시단 등 국민 참여 채널이 함께 활동하며, 구글은 사기성 광고가 확인되면 해당 광고는 신속 차단하고 반복 위반 광고주에 대해서는 계정을 정지하는 엄격 조치를 시행한다. 이에 따라 올해 들어 구글이 전 세계적으로 2024년 한 해 동안 3920만개 이상의 광고주 계정을 정지시키고, 51억건 이상의 부정 광고를 차단한 것으로 알려져 온라인 광고 시장의 투명성이 크게 강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인공지능을 통한 유명인 사칭 광고, 심지어 검증되지 않은 과장·허위 광고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소비자 피해가 심화되는 가운데, 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 특허청 등 정부 부처와의 지속적 협업으로 법적·제도적 대응도 강화되

대웅제약 나보타, 중동 10개국 수출 ‘광폭행보’... 글로벌 신규 시장 공략 가속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대웅제약 고순도·고품질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가 신흥 미용·성형 시장으로 꼽히는 중동 지역에 대거 진출하며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최근 이라크·바레인과 연이은 수출 계약을 체결하며 중동(MENA) 20개국 중 10개국 진출을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대웅제약은 북미와 유럽, 중남미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 보툴리눔 톡신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데 이어 최근엔 중동을 나보타의 새로운 전략 지역으로 점찍고 국내 업체 중 가장 압도적인 속도로 공략에 나서고 있다. 지난 2020년 UAE를 시작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튀르키예, 이집트 등 5개국에 나보타를 출시했고 5개국에서 수출계약 체결 및 품목 허가를 완료하는 등 국내 업체 중 가장 많은 국가에 진출해 있다. 중동 지역은 OECD 조사에서 30세 미만 인구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인구 구조가 젊고, 종교적인 제약에도 불구하고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SNS 통해 미용·성형 트렌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어 폭발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시장조사기관 그랜드 뷰 리서치(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중동·북아프리카 미용성형 시장

"아기사자, 갤럭시 입고 프로데뷔 대박 기원"…삼성물산 갤럭시, 2년 연속 삼성라이온즈 신인 선수 '슈트' 협찬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남성복 갤럭시가 2년 연속으로 삼성라이온즈 신인 선수들의 슈트를 후원한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의 남성복 브랜드 갤럭시는 삼성라이온즈의 2025년 신인 선수 16명에게 클래식 감성을 모던하게 재해석한 ‘갤럭시 GX 루키 에디션 슈트’를 협찬한다고 29일 밝혔다. 갤럭시는 삼성라이온즈 신인 선수들의 새 출발을 응원하기 위해 네이비 색상의 ‘GX 루키 에디션 슈트’, 네이비 스트라이프 타이, 갤럭시 로고 부토니에를 준비했으며, 삼성라이온즈의 신인 선수들은 루키스데이 등 주요 행사에서 갤럭시 슈트를 단복으로 입고 참석한다. GX 루키 에디션 슈트는 양모의 고유한 탄력성을 극대화한 4방향(4way) 스트레치 기능 소재를 사용해 활동성과 편안함이 뛰어나고, 상·하체 근육이 발달한 운동선수들이 착용해도 세련된 테일러드 핏을 유지할 수 있는 제품이다. 갤럭시는 최근 수년 동안 한국의 프로야구가 젊은 세대를 주축으로 과거 대비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주목하여 슈트 후원을 기획했으며, 삼성라이온즈 정례 협찬을 기념하여 올해는 전국 매장에서 고객들과 함께 하는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갤럭시는 29일부터 내달 13일까지 전국 매장에서 루키즈 프로모션을 운

“음악의 열기와 책임있는 문화가 함께 한 축제”…한국필립모리스, 부산국제록페스티벌 '건강한 축제문화’ 실천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한국필립모리스(대표이사 윤희경)는 9월 26일부터 28일까지 부산 삼락생태공원에서 열린 2025 부산국제록페스티벌에서 ‘아이코스 부스’를 운영하고, 환경재단과 협력한 ‘쓰담필터X모두모아’ 플로깅 캠페인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 한국필립모리스는 즐거움과 책임이 공존하는 축제 문화를 실천하며 페스티벌에 참가한 많은 성인 관람객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먼저, 지역에서 활동하는40여명의 쓰담필터 크루가 축제장 곳곳에서 무단투기 쓰레기와 담배꽁초를 수거하며 “부산이 깨끗해지면 바다도 깨끗해진다”는 메시지를 전달했다. 한국필립모리스는 이를 통해 부산 지역 최초의 플로깅 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전개하며 축제와 함께하는 사회적 책임 실천의 의미를 더했다. 특히 이번 활동은 단순한 수거 활동을 넘어, 시민과 함께 깨끗한 축제 문화를 만들어가는 상징적 경험으로 의미를 남겼다. 현장을 찾은 많은 관람객들이 올바른 쓰레기 폐기 문화에 공감하며 자발적으로 행사장 뒷정리에 참여하는 모습도 보였다. 페스티벌 현장에서 아이코스 부스도 눈길을 끌었다. 단순한 팝업 공간을 넘어, 다양한 체험 요소를 통해 축제의 흥겨운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키는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