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신규 상장으로 1조 주식갑부 누구?…100억 넘는 슈퍼리치만 124명

CXO연구소, 작년 신규 상장된 상장사 149곳 대상 주식재산 100억 넘는 주주 조사
MZ세대 주식부자도 24명 입성…단일종목 중 ‘시프트업’에서만 6명 나와 最多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4년 한국거래소에 신규 상장한 상장사 중 개인주주 주식평가액이 1조원 넘는 재벌급 수준의 거부(巨富)가 탄생했다.

 

주식재산 1000억 클럽(1000억원~1조 미만)에 가입한 슈퍼부자도 8명 나왔다. 또 작년에 150여 곳의 신규 상장사 중 지난 7일 기준으로 주식평가액이 100억원 넘는 주식부자만 해도 120명 이상 탄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여기에는 1980년 이후 출생한 MZ세대만 해도 20명 넘었는데, 올해 기준 30대인 젊은 슈퍼리치도 6명 포함된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2024년 신규 상장한 상장사 대상 주식평가액 100억 넘는 주식부자 현황 조사’ 결과에서 도출된 것이라고 11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지난해 1월부터 12월 사이 코스피와 코스닥 등에 신규 상장한 149개 상장사의 개인주주이다.

 

주식평가액은 2월 7일 종가(終價) 기준으로 계산해 100억원 넘는 주식부자 현황을 파악했다. 주식평가액은 신규 상장한 단일종목 1곳에 대해서만 계산이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150여 곳의 작년 신규 상장 주식종목 중 이달 7일 종가 기준으로 주식평가액이 100억원 넘는 주식부자는 124명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주식평가액으로 구분해보면 1조원이 넘는 1명을 포함해 1000억원 이상은 모두 9명이었다. 이어 ▲500억원~1000억원 미만 20명 ▲300억~500억 25명 ▲100억~300억 70명으로 조사됐다. 10억~100억원 사이 주식가치를 보인 주주도 149명으로 파악됐다.

 

 

이달 7일 기준으로 주식재산이 1조원 넘는 주식갑부에는 게임업체인 ‘시프트업’ 김형태 대표이사가 이름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김 대표이사는 시프트업 종목의 주식을 2266만 1370주를 보유한 최대주주이다. 시프트업의 이달 7일 종가 기준 6만700원으로 곱한 김 대표이사의 주식평가액은 1조3755억원으로 평가됐다. 다만, 작년 7월 11일 첫날 상장될 당시 주식평가액 1조6089억원과 비교하면 14.5% 하락했다.

 

흥미로운 점은 김형태 대표이사는 과거 엔씨소프트 아트디렉터(AD)로도 재직한 바 있었다는 점이다. 이달 7일 기준 엔씨소프트 최대주주인 김택진 대표이사의 주식재산은 4507억원 수준이다. 과거 월급쟁이였던 김형태 대표이사의 주식재산은 재직 당시 오너인 김택진 대표이사보다 배 이상 많아져 눈길을 끌었다. 엔씨소프트를 나와 시프트업 회사를 차린 것이 김형태 대표이사 입장에서는 부(富)의 대역전을 이뤄내는 전환점이 된 셈이다.

 

김형태 대표이사를 포함해 시프트업에서만 이달 7일 기준 주식가치가 100억원 넘는 주식부자는 모두 6명이나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는 ▲민경립(36세) 589억원 ▲이형복(48세) 330억원 ▲조인상(44세) 182억원 ▲채지윤(41세) 163억원 ▲이동기(43세) 105억원 순으로 높았다.

 

주식재산이 1000억원~1조원 사이에 해당하는 1000억 클럽에는 8명이 포함됐다.

 

여기에는 ▲박동석 산일전기(7566억원) ▲김병훈 에이피알(5917억원) ▲강은숙 산일전기(4027억원) ▲백종원 더본코리아(2629억원) ▲이성호 씨메스(1256억원) ▲공경철 엔젤로보틱스(1061억원) ▲박영근 탑런토탈솔루션(1046억원) ▲이돈행 넥스트바이오메디컬(1000억원) 대표이사가 이달 7일 기준 주식평가액 1000억원 이상을 기록했다.

 

주식재산 1000억 클럽에 가입한 8명 중 각 종목별로 지난해 상장 첫날 대비 이달 7일 기준으로 4명은 주식평가액이 증가한 반면 나머지 4명은 감소해 희비가 엇갈렸다.

 

증가율로만 보면 이돈행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대표이사가 가장 크게 웃었다. 앞서 종목은 작년 8월 20일에 처음 상장됐다. 상장 첫날 이돈행 대표이사의 주식가치는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의 보통주 1주당 주가가 2만3700원으로 마감해 507억원 수준으로 평가됐었다. 그러던 것이 지난 7일에는 1주당 주가가 4만6750원으로 크게 오르면서 이돈행 대표이사의 주식재산도 상장 첫날 대비 97.3%나 껑충 뛰어 1000억원대 주식부자 대열에 합류했다.

 

이성호 씨메스 대표이사도 작년 10월 24일 첫날 상장 때는 725억원 수준이었는데, 이달 7일에는 1200억원 이상 기록하며 73.2%나 주식재산이 크게 불었다.

 

박동석 산일전기 대표이사를 비롯해 박 대표이사의 배우자인 강은숙 주주도 지난해 7월 29일 첫날 상장일 대비 이달 7일 기준 37.5%나 올라 미소를 지었다. 작년 상장 첫날인 7월 29일 기준 박동석 대표이사의 주식가치는 5504억원, 강은숙 주주는 2929억원 수준이었다. 이달 7일 기준 박동석 대표이사 부부의 합산 주식평가액만 해도 1조원을 넘어섰다.

 

 

이와 달리 공경철 엔젤로보틱스 이사회 의장의 작년 3월 26일 상장 첫날 주식평가액은 2253억원이었는데, 이달 7일에는 1061억원으로 감소했다. 11개월 새 52.9%로 반토막 넘게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돈 빽햄 논란으로 이슈가 불거졌던 더본코리아 백종원 대표이사의 주식평가액도 41.8%나 내려앉았다. 지난해 11월 6일 상장 첫날 때만해도 백 대표이사의 주식재산은 4519억원으로 5000억원을 넘봤지만, 불과 3개월 새 2000억원대로 내려앉아 울상을 지었다.

 

김병훈 에이피알 대표이사의 주식가치도 작년 2월 27일 첫 상장일 때는 7889억원 수준을 보였는데, 거의 1년여 새 25%의 지분 가치가 사라져 5000억원대로 감소했다.

 

이달 7일 기준 주식재산이 800억~900억원대를 보이며 1000억원에 초근접한 주주도 5명으로 조사됐다.

 

여기에는 ▲황희종 삼현(988억원) ▲남명용 루미르(917억원) ▲문승호 에이치브이엠(882억원) ▲김재학 하이젠알앤엠(839억원) ▲최영섭 차이커뮤니케이션(820억원) 대표이사가 속했다. 이중 상장 첫날 1000억원 넘는 주식평가액을 보인 주주에는 ▲황희종 삼현(1175억원, 3월21일 상장 첫날) ▲남명용 루미르(1126억원, 10월21일) ▲최영섭 차이커뮤니케이션(1571억원, 9월27일) 대표이사가 포함됐다.

 

작년 신규 상장으로 주식부자 100억 클럽에 가입한 124명을 출생년도별로 살펴보면 1970년대생이 36명으로 최다였다. 이어 ▲1960년대생 34명 ▲1980년대생 24명 ▲1950년대생 14명 ▲1950년 이전 출생자 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 이후 태어난 MZ세대 중에서도 올해 기준 30대인 젊은 주식부자도 6명이나 탄생했다. 이들 중에는 5900억원이 넘는 주식재산을 보유한 김병훈(37세) 에이피알 대표이사의 주식가치가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1000억원에 육박한 황희종(36세) 삼현 최대주주를 비롯해 ▲황승종(39세) 삼현(637억원) ▲민경립(36세) 시프트업(589억원) ▲정지성(39세) 에스오에스랩(523억원) ▲김영준(36세) 노머스(494억원) 대표이사 등이 이름을 올렸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최근에 게임과 IT 업종 등을 중심으로 상장을 통해 부(富)의 엘리베이터를 타는 신흥 젊은 부자들이 많이 생겨나는 추세”라면서 “상장한 회사의 기업 가치를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시키려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젊은 기업가 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 국평 아파트 사려면 '14억5981만원' 1년새 25.5% 상승 …매매가는 서초구·전세가는 강남구 가장 높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해 1분기 서울의 '국민평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년새 25%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국민평수(국평)’로 불리는 전용면적 84㎡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와 전세 보증금 수준을 분석한 ‘아파트 다방여지도’를 첫 공개했다. ‘아파트 다방여지도’는 국토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추출한 서울 자치구별 평균 매매가와 평균 전세 보증금 수준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제작한 지도다. 평균 시세를 기준(100%)으로 봤을 때, 100%보다 높으면 해당 지역의 시세가 평균보다 높다는 의미이다. 이는 다방이 매달 연립∙다세대 원룸 전∙월세 수준을 분석해 공개하는 ‘다방여지도’의 아파트 버전이다. 1분기(1~3월) 다방여지도에 따르면, 서울 지역 아파트 전용면적 84㎡의 평균 매매가는 14억5981만원, 평균 전세보증금은 6억5292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각각 매매가격은 25.5%, 전세보증금은 2.3% 증가한 수치다. 자치구 중 평균 매매가 1위는 서초구(28억8074만원)이며, 전세보증금 1위는 강남구(9억9590만원)로 각각 집계됐다. 서초구에 이어 매매가격은 강남구 173%, 송파구 1

한미글로벌-따뜻한동행, 산불 피해 지역에 '드림하우스' 공간복지 지원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사회복지법인 따뜻한동행(이사장 김종훈)이 PM(건설사업관리) 전문기업 한미글로벌과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국수나무와 함께 경북 의성군 산불 피해 지역의 마을 공동시설 복구 지원을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따뜻한동행은 지난 3월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피해를 입은 경북∙경남 지역의 장애인 복지시설 및 마을 공동시설을 대상으로 ‘드림하우스’ 공간복지 지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1차 모집을 통해 경북 의성군 내 두 곳의 경로당이 수혜 시설로 선정되었으며,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해 신속한 복구 작업을 펼쳤다. 특히 화재로 외벽과 창호 등이 심각하게 훼손된 경로당은 이재민들의 대피 및 임시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어 긴급 복구가 절실한 상황이었다. 따뜻한동행은 한미글로벌과 국수나무와 협력하여 ▲외벽 균열 보수 및 난연 페인트 시공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냉난방 설비 교체(창호, 전기배선 등) ▲휴게공간 보수 ▲유니버설 디자인(범용 디자인) 적용 등 안전성과 쾌적성을 높이는 맞춤형 복구 작업을 실시했다. 의성군청 통합돌봄과 손창원 과장은 "화재로 삶의 터전을 잃고 큰 불편을 겪었던 주민들이 기대 이상으로 빠르게 복구된 공간

[랭킹연구소] "월세 평균 70만원, 강남구 90만원, 서초·용산·성동 82만원"…서울 25개구 연립·다세대, 월세·전세 가격 순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지역 연립·다세대 원룸(전용 33㎡ 이하) 평균 월세가 7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강남구가 90만원, 이어 서초구, 용산구, 성동구가 82만원으로 서울 평균 월세를 훨씬 웃돌았다. 4월 24일 다방은 올해 3월 기준 서울 지역 연립·다세대 원룸의 25개 자치구별 전월세 수준을 분석한 '다방여지도'를 발표했다. 이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추출한 자치구별 평균 월세와 평균 전세 보증금을 서울 지역 평균과 비교해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제작한 자료다. 서울 평균 시세를 기준(100%)으로 봤을 때, 100%보다 높으면 해당 자치구의 원룸 시세가 평균보다 높다는 의미다. 전월세 전환율을 반영한 보증금 1000만원 기준의 평균 월세와 평균 전세 보증금을 산출해 제작했다. 평균 월세의 경우 월세 보증금 1억원 미만의 거래를, 평균 전세 보증금의 경우 모든 전세 거래를 집계했다. 다방에 따르면 3월 서울 연립·다세대 원룸의 보증금 1000만원 기준 평균 월세는 70만원으로 나타났다. 전세 보증금은 평균 2억902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한 달 전보다 월세는 평균 3만원(4.6%), 전세는 367만원(1.8%) 각각 오

대선후보들은 어디에 살까?…한동훈·홍준표·김동연·이재명 '강남·분당' vs 김문수·이준석 '관악·노원'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차기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의 거주 아파트가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후보들의 부동산 자산은 단순한 재산 공개를 넘어, 각자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 그리고 정책적 시각까지 드러내는 창이다. 이재명, 김동연, 김문수, 홍준표, 한동훈, 이준석 등 여야 주요 대선후보 6인의 거주 아파트 현황과 특징을 심층 분석했다. ◆ 이재명, 분당 1기 신도시 ‘양지마을 금호1단지’…재건축 호재로 시세 급등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위치한 ‘양지마을 금호1단지’ 전용 164㎡ 아파트를 부인 김혜경 씨와 공동명의로 보유하고 있다. 이 아파트는 1992년 입주를 시작해 재건축 연한을 넘긴 상태로, 최근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로 지정되며 시세가 크게 뛰었다. 2024년 12월 기준 동일 면적이 27억5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재명 후보가 1998년 3억6600만원에 매입한 이 아파트는 약 24억원의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는 ‘재건축 대박’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분당선, 중앙공원, 초등학교 인접 등 입지 프리미엄도 두드러진다. ◆ 김문수, 관악구 ‘은천2단지’…검소함 드러내는 중저가 실용형 선택

유진그룹, 리츠 시장 진출…유진리츠운용, 국토부로부터 리츠 AMC 설립 인가 획득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유진그룹(회장 유경선)이 부동산 금융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유진그룹 계열 유진리츠운용(대표이사 권오정)은 지난 21일 국토교통부로부터 리츠 AMC(자산관리회사) 설립 인가를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유진그룹은 지난해 상반기부터 리츠 시장 진출을 추진해왔다. 기존 섬유 계열사인 유진한일합섬은 올해 2월, 70억 원 규모의 신규 출자를 단행했으며, AMC 설립 인가를 획득함에 따라 유진리츠운용을 100% 자회사로 편입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를 계기로 유진리츠운용은 디벨로퍼 중심의 사업 구조에 금융 기능을 결합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유진그룹은 기존 사업 구조에 부동산 금융을 더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계획이다. 특히 리츠를 통해 장기적인 수익 기반을 확보하고, 체계적이며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유진그룹은 기존 사업 구조에 부동산 금융을 더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방침이다. 특히 리츠를 통해 장기적 수익 기반을 확보하고, 체계적이고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유진그룹 관계자는 “유진리츠운용의 리츠 AMC 인가 획득을 통해 그룹의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국내

[랭킹연구소] 2025년 아파트(서울·경기도) 실거래 가격 순위 TOP30…압구정15·한남6·반포6·성수1·삼성1·용산1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올해들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1위는 한남동의 ‘한남더힐’(전용 243㎡)로, 175억원에 거래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와 고가 아파트 쏠림 현상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음을 실거래 데이터가 다시 한 번 입증했다. 2025년 1월 1일부터 4월 23일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자료를 바탕으로 아파트랩이 정리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1위는 한남동의 ‘한남더힐’(전용 243㎡, 175억원), 2위는 한남동 ‘나인원한남’(244㎡)이 158억원, 3위는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160㎡)가 135억원, 4위는 ‘나인원한남’(244㎡)이 119억원에 거래되며 상위권을 형성했다. 특히 한남동은 TOP10 중 6개 곳(한남더힐 3곳, 나인원한남 3곳)이 이름을 올리며 서울 부동산 시장의 ‘핵심’ '대장'임을 재확인했다. 반포동의 ‘아크로리버파크’와 ‘래미안퍼스티지’ 등 강남권 대표 단지들도 95억~100억원대의 실거래가로 상위권에 포진했다. 압구정동 ‘현대2차’와 ‘현대1차’ 등 압구정 재건축 단지들도 90억원대의 실거래가를 기록하며 여전히 높은 인기를 보였다. 이번 실거래가 순위는 서울은 한남동

[랭킹연구소] 남녀간 근속연수 차이 적은 회사순위 TOP20…신한카드>에코플라스틱>대한항공>ABL생명>스탠다드차타드>KT&G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대기업 여성 평균 임금이 처음으로 남성의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근속연수와 비교하면 여전히 성별 임금 격차가 커서 여성의 직무 포지션과 승진 기회 확대 등이 과제로 남아 있다. 22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국내 500대 기업 남녀 직원 평균 연봉 및 근속연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24년 기준 여성 평균 연봉은 7405만원으로, 남성(1억561만원)의 70.1% 수준이었다. 이는 2023년의 68.6%에서 1.5%포인트(p) 높은 것으로, 2년 전(66.9%)에 비해서도 점진적으로 개선 추세다. 그만큼 매년 남녀 간 임금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따져보면 남녀 격차는 여전히 크다.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9.2년으로 남성(11.9년)의 77.3%에 해당하지만 연봉 수준은 70.1%에 그쳤다. 즉, 동일한 기간 근속했더라도 여성이 약 7%p 낮은 대우를 받고 있는 셈이다. 이는 대기업 여성 비율이 전체 직원의 26.4%에 불과한 데다, 그마저도 이들 대부분이 낮은 직급에 머무르고 있다는 현실을 방증한다. 조직 내 지위와 보상 체계에서의 성별 불균형이 여전하다는 뜻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