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그룹 총수 44명, 2Q 주식재산 증가율 순위 TOP5…박정원·이웅열·정몽준·구자은·김홍국 順

그룹 총수 44명, 주식재산 16조↑…이재용 회장 주식평가액 1위
CXO연구소, 44개 그룹 총수 올 2분기(3월말 대비 6월말)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그룹 총수 44명 중 41명 2분기 주식평가액 증가…박정원 두산, 130% 육박 상승해 눈길
김범수 카카오·정몽준 HD현대, 2분기 주식재산 兆 단위 증가…서정진, 10조 클럽 재입성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국내 주요 그룹 총수 중 상당수가 올 2분기 주식성적표를 받고 함박웃음을 지었다. 44개 그룹 총수 중 90% 이상이 올 2분기(3월 말 대비 6월 말) 주식평가액이 늘었기 때문이다. 조사 대상 44개 그룹 총수의 올 2분기에 증가한 주식평가액만 해도 16조원을 넘어섰는데, 주식재산 증가율만 해도 30% 가까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분기에 0.3% 정도 쪼그라든 것에 비하면 대반전을 보였다.

 

특히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올 2분기에만 3조원 넘게 주식재산이 가장 많이 불어나며 6월 말 기준 주식가치는 15조원대로 독보적 1위 자리에 올랐다. 이외 김범수 카카오·정몽준 HD현대 그룹 총수도 2분기에만 주식재산이 조(兆) 단위로 증가했고,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은 최근 3개월 새 주식가치가 배(倍) 이상 증가해 주목을 끌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주식재산 10조 클럽에 재입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3일 ‘2025년 2분기(3월 말 대비 6월 말 기준) 주요 그룹 총수 주식평가액 변동 조사’ 도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가 관리하는 대기업집단 중 올 6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 넘는 그룹 총수 44명이다.

 

주식재산은 총수가 상장사 지분을 직접 보유한 경우와 함께 비(非) 상장사를 통해서 우회적으로 해당 그룹 상장 계열사 지분을 보유한 주식 현황도 포함했다. 비상장사의 경우 해당 회사 지분을 50% 이상 보유한 경우로 제한해 조사가 이뤄졌다. 우선주도 이번 조사 범위에 포함됐다. 주식평가액은 지난 3월 31일(3월 말)과 6월 30일(6월 말) 종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44개 그룹 총수의 올해 3월 말 주식평가액은 57조9152억원이었는데, 지난 6월 말에는 73조9314억원으로 높아졌다. 올 2분기 기준 44개 그룹 총수의 주식재산만 16조원 넘게 늘어난 것이다. 증가율로 보면 27.7%로 껑충 뛰었다. 이는 지난 1분기 때 주요 그룹 총수 주식재산이 0.3% 떨어진 것과 비교하면 주식시장 온도가 확 달라졌다.

 

특히 44개 그룹 총수 중 41명이나 올 2분기 주식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 총수 10명 중 9명꼴로 올 2분기 주식재산이 불어난 셈이다.

 


◆ 박정원 두산 회장, 128% 넘게 상승…이웅열(코오롱)·정몽준(HD현대)·구자은(LS) 회장 70% 이상 증가

 

올 2분기 기준 국내 44개 그룹 총수 중 주식평가액 증가율 1위는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박 회장의 올 3월 말 주식평가액은 3822억원 수준이던 것이 지난 6월 말에는 8734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4912억원 이상 크게 불었다. 2분기 주식가치 증가율만 해도 128.5%나 퀀텀점프했다.

 

박정원 회장은 6월 말 기준 두산과 두산에너빌리티 등 4개 주식종목에 대한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중에서도 박 회장은 두산 보통주에 대한 주식가치가 가장 컸다. 박정원 회장은 두산 종목의 주식을 지난 3월 말까지 126만 2574주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6월 말에는 127만 4870주로 다소 많아졌다.

 

주식수가 증가해 주식평가액이 늘기도 했지만, 두산의 주가 상승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두산의 지난 3월 31일 주가는 29만 2500원에서 6월 30일에는 65만 6000원으로 최근 3개월 새 124.3%나 상승하며 박 회장이 보유한 주식재산도 크게 늘었다.

 

박정원 회장을 포함해 올 2분기에 60% 이상 주식재산이 늘어난 총수만 해도 5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그룹 총수에는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 ▲정몽준(HD현대) 아산재단 이사장 ▲구자은 LS 회장 ▲김홍국 하림 회장 ▲정지선 현대백화점 회장이 이름을 올렸다.

 

이중 이웅열 명예회장의 주식재산은 올 2분기에 99.8%로 수직상승했다. 이 명예회장의 지난 3월 말 평가액은 2054억원 수준이었는데, 6월 말에는 4105억원을 넘긴 것으로 계산됐다. 3개월 새 늘어난 주식가치만 2051억원을 넘어섰다. 특히 이웅열 명예회장은 올해 초 주식재산이 1474억원 수준이었는데 1분기에 39.3%나 올랐었는데 2분기에도 100% 가까이 다시 상승해 이목을 끌었다.

 

이 회장은 ㈜코오롱 종목을 비롯해 ▲코오롱생명과학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글로벌 4곳에서 지분을 쥐고 있다. 이 중에서도 ㈜코오롱의 주가가 올해 초 1만4060원→3월 말 2만1550원→6월 말 5만900원으로 거침없이 우상향 곡선을 그리면서 이 명예회장의 주식가치도 올 초 1000억원대에서 6월 말에는 4000억원대까지 높아졌다.

 

HD현대그룹 총수인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의 주식재산도 올 2분기에만 78.6% 수준으로 고공행진했다. 정 이사장의 주식재산은 지난 3월 말 기준 1조5233억원에서 6월 말에는 2조7209억원으로 불어났다. 이러한 배경에는 정몽준 이사장이 보유한 HD현대 보통주 1주당 주식가치가 7만2500원에서 12만9500원으로 늘어난 것이 주효하게 작용했다.

 

구자은 LS 회장도 올 2분기에만 73.9%나 상승해 주목을 끌었다. 구자은 회장은 3월 말 대비 6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523억원에서 2648억원으로 달라졌다. 구 회장은 ▲LS ▲INVENI ▲LS에코에너지 세 종목에서 주식을 갖고 있는데, 이중 LS 종목에서만 올 2분기에 1000억원 이상 불어나며 주식재산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이외 김홍국 하림 회장(69.3%)과 정지선 현대백화점 회장(66%)도 올 2분기 주식평가액이 60%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월 말 대비 6월 말 기준 김홍국 회장의 주식재산은 1360억원에서 2303억원으로 높아졌다. 같은 기간 정지선 회장은 3864억원에서 6413억원으로 커졌다.

 

특히 김홍국 회장의 경우우 하림지주 종목의 보통주 1주당 주가가 3월 말 5590원에서 6월 말 9570원으로 오른 것이 주효했고, 정지선 회장이 보유한 현대지에프홀딩스 주가도 5130원에서 8960원으로 눈에 띄게 상승한 것이 주식평가액 증가로 이어졌다.

 

 

44개 그룹 중 올 2분기 기준 주식재산 증가액이 가장 컸던 총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재용 회장의 주식재산은 지난 3월 말에는 12조2312억원 수준이었는데, 6월 말에는 15조2537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3조225억원 수준으로 가장 많이 불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2분기 주식평가액 증가율만 해도 24.7%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김범수 카카오 창업자(2조2026억원↑)와 정몽준 아산재단 이사장(1조1976억원↑)도 올 2분기 주식평가액이 조(兆) 단위로 증가했다. 이중 김범수 창업자의 주식재산은 3월 말 4조1249억원에서 6월 말 6조3275억원으로 53.4%나 상승했다.

 

이어 최태원 SK 회장(9734억원↑)과 방시혁 하이브 이사회 의장(9666억원↑)은 올 2분기에 1조원 가깝게 주식가치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이동채 에코프로 창업자는 지난 3월 말 1조2449억원이던 것이 6월 말에는 1조1547억원으로 최근 3개월 새 900억원 이상 주식평가액이 쪼그라져 울상을 지었다. 7.2% 수준으로 주식평가액이 떨어졌다. 여기에는 에코프로 보통주 1주당 주가가 3월 31일 4만9650원에서 6월 30일 4만5150원으로 낮아지다 보니 이동채 창업자의 주식재산 하락도 피하지 못했다.

 

이외 박찬구 금호석유화학 회장(171억원↓)과 이순형 세아제강 회장(93억원↓)도 올 2분기 주식재산이 5~7%대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박찬구 회장은 올 3월 말 대비 6월 말 기준 주식가치가 2461억원에서 2290억원으로 하락했고, 이순형 회장은 1816억원에서 1723억원으로 감소했다.

 

◆ 2025년 6월 말 주식재산 1조 클럽 가입 총수 16명…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10조 클럽 재가입

 

지난 6월 말 기준 조사 대상 44개 그룹 총수 중 주식재산 1조 클럽에는 16명이 이름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3월 말 조사 때보다 1명 늘어난 숫자다.

 

6월 말 기준 주식재산 1위는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15조2537억원)이 차지했다. 이재용 회장의 주식재산은 올해 초 11조9099억원에서 3월 말에는 12조2312억원으로 높아지더니, 지난 6월 말에는 15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는 이 회장이 보유한 삼성물산 주가 상승 영향이 큰 역할을 했다. 이재용 회장은 삼성물산 주식을 6월 말 기준 3388만220주를 갖고 있는데, 이 종목의 올 3월 말 대비 6월 말 기준 보통주 주가가 11만6900원에서 16만1400원으로 38.1%나 상승했다. 이재용 회장이 보유한 삼성물산 종목에서의 주식평가액만 올 2분기에 1조5076억원(3월 말 3조9605억원→6월 말 5조4682억원) 이상 많아진 것이다.

 

삼성생명에서 보유한 주식평가액도 올 2분기에만 9291억원 이상 늘었다. 이 회장이 보유한 삼성생명의 올 2분기 주식가치 증가율만 해도 53.7%나 됐다. 반면 삼성전자에 대한 주식평가액 증가율은 3.5%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단일 종목만 놓고 보면 이재용 회장은 삼성전자에서만 지난 6월 말 기준 5조원대 주식가치로 가장 높았지만, 올 2분기 주가 증가율은 5%에도 미치지 못해 증가세는 다소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TOP3에는 각각 2위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10조2345억원), 3위 카카오 김범수 창업자(6조3275억원) 순으로 주식재산이 높았다. 이중 서정진 회장은 올해 초만 해도 주식재산이 10조4308억원으로 주식재산 10조 클럽에 이름을 올렸지만, 지난 3월 말에는 9조7770억원으로 10조 클럽에 탈락했었다. 그러다 2분기에 다시 10조2345억원을 기록하며 10조 클럽에 재입성했다. 셀트리온 보통주 1주당 주식가치는 하락했지만, 서 회장이 보유 주식수를 늘리면서 주식재산 10조원을 넘긴 것으로 파악됐다.

 

김범수 창업자는 지난 3월 말 4조1249억원에서 6월 말에는 6조3275억원으로 증가하며 1분기 때와 마찬가지로 올 2분기에도 총수 주식재산 3위를 지켜냈다. 김 창업자의 경우 카카오의 보통주 1주당 주가가 올해 3월 말 대비 6월 말에 3만9100원에서 6만원으로 53.5%나 상승해 주식재산도 4조원대에서 6조원대로 높아졌다.

 

4~6위권에는 각각 ▲4위 정의선 현대차 회장(4조3158억원) ▲5위 방시혁 하이브 의장(4조637억원) ▲6위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2조8578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중 정의선 현대차 회장은 지난 3월 말 대비 6월 말 기준 주식재산이 13.6% 증가했고, 방시혁 의장은 31.2%나 불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장병규 의장은 8.5% 정도 주식가치가 상승했다.

 

이외 ▲7위 정몽준(HD현대) 아산재단 이사장(2조7209억원) ▲8위 최태원 SK 회장(2조6586억원) ▲9위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2조2581억원) ▲10위 이재현 CJ 회장(2조196억원) ▲11위 구광모 LG 회장(1조9976억원) ▲12위 김남정 동원 회장(1조8747억원) ▲13위 조현준 효성 회장(1조8201억원)▲14위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1조6090억원) ▲15위 방준혁 넷마블 이사회 의장(1조2852억원) ▲16위 이동채 에코프로 창업자(1조1547억원)도 올 2분기에 주식재산 1조 클럽에 합류했다.

 

공정위가 지정하는 대기업집단의 그룹 총수가 아니어서 이번 조사에서는 공식적으로 제외됐지만,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은 지난 6월 말 기준 주식평가액이 10조9965억원으로 국내에서 이재용 회장 다음으로 두 번째로 주식재산이 높은 주식부자 명단에 포함됐다.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은 지난 3월 말 11조9251억원이던 주식재산은 최근 3개월 새 9285억원 감소(7.8%↓)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때 이재용 회장의 주식재산을 역전 시킨 적도 있었던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은 올 2분기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27.9% 정도 격차가 다시 벌어졌다.

 

이외 올 5월 말 기준 주식재산이 5조원이 넘는 주요 주주 중에서는 홍라희 리움 명예관장(6조1618억원)과 함께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6조178억원),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5조1578억원)도 이름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은 4조7280억원으로 주식재산 5조 클럽에는 진입하지 못했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올 1분기 때만 해도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전쟁, 미중 갈등 장기화 등 전세계 무역 갈등으로 국내 주식시장도 침체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됐지만 올 2분기 국내 주식시장은 훈풍이 불었다”며 “특히 그룹 총수가 보유한 140여 개 주식종목 중 90% 이상이 올 2분기 주식가치가 오른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주변 온도 낮춘다는 도시숲, 폭염 속 숲세권·공세권 아파트 '눈길'…조망∙산책∙휴식까지 청약경쟁 '후끈'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계속되는 폭염 속에서 공원 인근 아파트들이 주목받고 있다. 공원과 같은 도시숲은 주변 온도를 낮추는데 효과적인 데다 쾌적한 주거 환경까지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산림청 자료를 보면, 도시숲은 주변 온도를 약 3~7℃ 낮추고, 습도는 약 9~23% 높여 도시 열섬현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공기 중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차단해 일반 미세먼지는 약 25.6%, 초미세먼지는 약 40.9%까지 줄이는 효과가 있다. 산업단지와 주거지 사이에 완충숲을 만든지 10년 후에는 산업단지의 미세먼지는 32%가 줄어들었고, 주거지역에도 46.8%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실제 주거 환경을 쾌적하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하는 만큼 공원 인근 아파트는 가치가 높게 나타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세종 나성동 일원 ‘나릿재마을2단지 세종 리더스포레(‘21년 6월 입주)의 전용면적 84㎡는 올해 4월 11억5,000만원에 거래돼 지난해 같은 기간 실거래 가격(9억원) 대비 약 2억5,000만원 올랐다. 이 단지는 단지 바로 옆에 아이뜰어린이공원이 있으며 나성동독락정역사공원, 세종중앙공원, 어리연수변공원 등

삼표그룹, 자립준비청년의 안정적 기반 마련 '앞장'…은평구와 주거환경개선 지원사업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표그룹과 은평구청이 자립준비청년들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생활하고 자립적인 삶을 구축할 수 있도록 힘을 합쳤다. 건설기초소재 전문기업 삼표그룹(회장 정도원)이 은평구청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들의 주거환경 개선을 지원한다고 12일 밝혔다. 자립준비청년은 보호시설 퇴소 후 대체로 임대주택과 노후화된 주택에서 홀로서기를 시작한다. 어린 나이에 생활비와 교육비, 취업 준비 등의 필수 비용 마련에도 벅차기에 곰팡이로 얼룩진 벽지, 장판 교체, 단열, 방수 처리 등 기본적인 집수리나 유지 비용에 어려움을 토로하는 것이 대다수다. 따라서 시설 퇴소 초기 정착을 위한 임대주택 지원제도, 초기 지원 물품도 제공하고 있지만 그 이후의 주거 상황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제도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삼표그룹은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자립준비청년들의 생활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은평구와 함께 주거환경 개선 사업을 진행, 총 1000만원의 후원금을 전달하기로 했다. 후원금은 자립준비청년 10명을 대상으로 화장실 수리, 보일러 교체 등 실질적인 주거 환경 개선에 사용될 예정이다. 유용재 삼표그룹 사회공헌단 상무는 “이번 주거환경개선 지원을 통해 자립준

우미건설, 건설 정보 AI ‘린 GPT’ 개발…"언제 어디서나 건설 질문에 실시간 답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우미건설이 맞춤형 AI 챗봇 개발회사인 도슨티와의 협업으로 건설 정보 AI ‘린 GPT’를 개발했다. ‘린 GPT’는 시공, 설계, 안전 등 건설과 관련된 질문에 대해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답변할 수 있는 생성형 AI다. 우미건설은 ‘린 GPT’에 건축법, 산업안전보건법 등의 공공데이터와 자체데이터를 학습시켜 현장에서 필요한 질문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답변할 수 있도록 했다. 부서 간·회사 간 협업 비중이 높고, 데이터 형식이 다양해 디지털 정보 접근성이 낮은 건설업의 특수한 요구에 대응한 것이다. 실제로 삼성물산의 패브릭스 플랫폼(삼성SDS의 기업용 생성형 AI 서비스), 대우건설의 바로답(계약문서 분석시스템), GS건설의 Xi-Book(공사 기준 검색 프로그램) 등 많은 상위 건설사들이 자체 AI를 개발하고 있다. ‘린 GPT’는 외부 AI인 챗GPT와의 연결 기능 및 국가법령정보센터와 국가건설기준센터의 실시간 업데이트 정보도 제공한다. 우미건설은 ‘린 GPT’ 를 통해 본사와 현장 간의 정보 격차를 줄이고, 업무 속도 향상 및 시공 오류 감소는 물론, 안전성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미건설 건축본부 기술 담당 김

[이슈&논란] 왜 리플(XRP)은 트럼프 행정부 '전략비축 암호화폐'에서 제외됐을까…"규제 불확실성 별개, 질주는 진행형"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8월, 미국 백악관이 발표한 166쪽 분량의 '디지털 자산 정책 보고서'에서 리플(XRP)이 공식적으로 ‘전략비축 암호화폐’ 리스트에서 제외된 사실이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체인링크(LINK), 유니스왑(UNI) 등 주요 암호화폐들이 선정된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이번 정책 보고서는 암호화폐에 대한 미국 정부의 규제·육성 전략 방향뿐 아니라 블록체인·토큰화 증권·스테이블코인·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등 혁신과제 전반을 광범위하게 다뤘다는 점에서, 공식 리스트 배제는 상징적 의미가 더욱 크다. 리플(XRP) 정책 배제의 충격…법정 분쟁 여전 XRP의 전략비축 제외는 시장과 투자자들에게 충격 그 자체다. 개인 투자자 판매분에 대해 미국 법원이 '증권이 아니다'고 판결한 데 이어, 2025년 3월 SEC가 항소를 공식 철회하며 3년간의 '리플-SEC 소송전'에 마침표가 찍힌 바 있다. 그러나 백악관의 공식 보고서에서 XRP가 단 한 차례도 언급되지 않으면서 미국 정부가 리플을 장기적으로 비우호적 프로젝트나 이슈 자산으로 분류한

“단지보다 타운이 뜬다” 부촌 새로 쓰는 ‘브랜드 타운'…"생활인프라 집중되며 청약시장 인기"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분양시장에서 브랜드 단지가 모여 있는 이른바 ‘브랜드 타운’에 대한 선호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누구나 알 수 있는 브랜드 아파트가 대거 밀집되면서, 지역의 시세를 주도하는 새로운 부촌으로 자리매김하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보면 인천 연수구 송도동 일원 ‘송도 더샵 파크애비뉴(‘18년 11월 입주)’ 전용면적 84㎡는 3월 15억5,000만원에 거래돼 올해 인천에서 거래된 ‘국민평형’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22일 기준). 동기간 단지가 위치한 연수구에서 실거래된 동일 면적 아파트의 평균 가격은 6억1,953만원으로 이보다 약 2.5배 높은 금액에 거래된 셈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이 단지 반경 1km 내에 9개 단지, 6,000여 가구의 ‘더샵’ 브랜드 타운을 이루고 있다. 이는 지방도 마찬가지다. 전북 전주시 일원 ‘포레나 전주에코시티(‘23년 5월 입주)’ 동일 면적은 올해 5월 7억3,000만원에 거래돼 올해 전북에서 거래된 동일 평형 중 최고가를 기록했다. 동기간 단지가 위치한 전주시에서 실거래된 동일 면적 아파트 평균 가격은 3억6,177만원으로 이보다 2배 이상 높은 금액에 거래된 것이다. 단지가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