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재벌 주식증여액 상위 TOP10…김승연·이명희·조석래·구본준·정지선·최윤범·정몽익·정몽진·김범수·허창수 順

50대그룹 중 36곳, 지난 1년 새 지분 변동…신세계, 경영권 승계 완료
이명희 신세계 총괄회장, 자녀 정용진·유경에게 지분 전량 넘겨
김승연 한화 회장, 김동관·동원·동선에게 증여…3남 ㈜한화 지배력 24.0%p↑
KCC 정몽진·몽익 회장, 상대 부인과 자녀에게 ‘교차증여’
CEO스코어, 대기업집단 중 총수 있는 상위 50대그룹 오너일가 주식 변동내역 조사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총수가 있는 자산 상위 50대 그룹 중 지난 1년 새 상속·증여 등으로 지분변동이 있었던 그룹은 삼성.현대차 등 14곳을 제외한 36곳으로 나타났다.

 

이명희 신세계그룹 총괄회장은 자신이 보유한 ㈜신세계 지분 전량(약 1751억원)을 딸인 정유경 신세계 회장에게 증여함으로써 경영권 승계를 끝냈고, 김승연 한화 회장은 ㈜한화 보유주식 절반가량(약 4087억원)을 김동관·동원·동선 3형제에게 증여해 이들의 지배력을 높였다.

 

최근 1년 새 주식을 가장 많이 매수한 인물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으로, 정 회장은 어머니인 이명희 총괄회장이 보유중이던 2251억원 규모 ㈜이마트 보통주 전량을 매수해 경영권 승계를 마무리지었다.

 

7월 3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2025년 지정 대기업집단 92곳 중 총수가 있는 상위 50개 그룹의 오너일가 보유주식 변동내역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최근 1년 새 50대그룹 오너일가는 상속·증여를 통해 약 9783억원 규모의 보유주식을 처분했다.

 

조사대상 그룹 중 가장 많이 주식을 증여한 곳은 한화다. 한화 김승연 회장은 본인이 보유한 ㈜한화 보통주 848만8970주(4087억원 규모)를 지난 4월 3남에게 증여했다. 장남인 김동관 부회장이 363만8130주(1752억원 규모)로 가장 많았고, 차남 김동원 사장과 삼남 김동선 부사장은 각각 242만5420주(1168억원 규모)를 증여받았다. 이로써 김동관·동원·동선 3형제의 ㈜한화 지배력(한화에너지㈜ 보유분 포함)은 기존 18.8%에서 42.8%로 24.0%p 상승했다.

 

이명희 신세계그룹 총괄회장은 두 번째로 많은 주식을 증여했다. 이 총괄회장은 지난 5월 본인이 보유한 ㈜신세계 보통주 전량 98만4518주(지분율 10.2%)를 딸인 정유경 신세계 회장에게 증여했다. 이 총괄회장이 정 회장에게 증여한 주식은 1751억원 규모다. 이 증여로 정유경 회장의 ㈜신세계 지분율은 18.6%에서 29.2%로 10.6%p 증가했다.

 

세 번째는 효성그룹이었다. 조석래 고(故) 효성그룹 명예회장이 보유한 공덕개발㈜, 효성중공업㈜, 효성투자개발㈜, 효성티앤씨㈜, 효성화학㈜ 잔여재산 상속이 마무리됐다. 부인인 송광자 여사가 공덕개발㈜ 보통주 3만4000주(490억원 규모)와 효성투자개발㈜ 보통주 400주(1억원 규모)를 상속받았다.

 

또 차남 조현문 전 효성 부사장이 효성중공업㈜ 보통주 13만9868주(470억원 규모), 효성티앤씨㈜ 보통주 14만5719주(430억원 규모), 효성화학㈜ 보통주 4만7851주(23억원 규모)를 상속받았다.

 

고(故) 구본무 LG그룹 선대회장의 동생인 구본준 LX그룹 회장은 올해 3월 본인이 보유한 ㈜LG 보통주 157만3000주(1057억원 규모)를 장남 구형모 LX MDI 사장에게 증여했다. 구본준 회장은 지난해 9월 본인이 보유한 ㈜LG 보통주를 구형모 사장에게 증여했다가 같은 해 12월 증여를 취소했다.

 

이후 같은 달 다시 증여했다가 올해 3월 또다시 취소했다. 지난해 9월부터 올해 3월까지 두 차례 증여와 취소를 반복한 것은 ㈜LG 주가가 계속해서 하락하자 증여세 규모를 줄이기 위해 증여 취소를 반복한 것이다. 실제 ㈜LG 주가는 지난해 9월 8만원대를 유지하다가 올해 3월 6만원대로 떨어졌다.

 

 

이밖에 KCC그룹 형제는 각자의 아내와 자녀에게 보유 계열사 주식을 ‘교차증여’했다. 먼저 정몽진 KCC 회장이 남동생인 정몽익 KCC글라스 회장의 부인 곽지은 씨에게 본인이 보유하고 있던 ㈜KCC글라스 보통주 6만3876주(25억원 규모)를 증여했다. 이어 정몽진 회장은 정목익 회장과 곽지은 씨 사이에서 난 자녀 2명(정한선·연선)에게 ㈜KCC글라스 보통주를 각각 13만973주(50억원 규모)와 12만7565주(49억원 규모) 증여했다.

 

이어 정몽익 회장 전처인 최은정 씨 사이에 둔 자녀 3인에게는 이보다 적은 양의 ㈜KCC글라스 주식을 증여했다. 정선우(4만7910주, 18억원 규모), 정수윤(4만7910주, 18억원 규모), 정제선(2만5936주, 10억원 규모) 3인의 주식 합계는 12만1756주(46억원 규모)다.

 

반대로 정몽익 KCC글라스 회장은 정몽진 회장의 장녀 정재림 KCC 상무에게 본인이 소유한 ㈜KCC 보통주 3만5729주(111억원 규모)를 증여했다. 정몽진 회장 장남 정명선 씨에게는 ㈜KCC 보통주 3만5728주(105억원 규모)를 증여했다.

 

조사대상 오너일가 중 최근 1년간 주식을 가장 많이 매수한 인물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다. 정용진 회장은 어머니인 이명희 총괄회장이 보유하고 있던 ㈜이마트 보통주 전량인 278만7582주(지분율 10.0%)를 사재를 투입해 매수했다. 해당 지분 인수에는 약 2251억원이 들어갔다. 주식 매수로 정용진 회장의 ㈜이마트 지분율은 기존 18.6%에서 28.8%로 10.2%p 상승했다.

 

이어 주식 매수 2위는 넥슨 총수인 유정현 엔엑스씨 의장의 두 딸 김정민과 김정윤 씨가 차지했다. 김정민 씨와 김정윤 씨는 본인들이 지분 50%씩을 소유한 유한책임회사 ‘와이즈키즈’의 3200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지난해 8월 참여했다. 이어 올해 4월 와이즈키즈의 유상증자에 또다시 참여해 100억원을 투자했다. 김정민, 김정윤 자매가 와이즈키즈의 두 번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투입한 금액은 각각 1650억원씩이다.

 

주식 매수 규모 상위 4·5위엔 조현준 효성 회장과 조현상 HS효성 부회장 형제가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8월 조현준 회장은 조현상 부회장이 보유한 ㈜효성 보통주 133만7684주(688억원 규모)를 매수했고, 조현상 부회장은 조현준 화장이 소유한 ㈜HS효성 보통주 123만587주(689억원 규모)를 매수했다.

 

이번 조사에서 조사대상 오너일가 중 기타 친인척 및 기타 친인척이 보유한 계열사는 제외했다. 또 무상감자, 무상증자, 분할설립, 액면분할, 주식의 종류변경, 주식교환, 청산종결, 합병소멸, 현물배분, 회사분할, 증여/수증 이후 취소 건으로 변동한 경우는 제외했다. 비상장기업 중 단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는 자본총계(직전 연도)를 발행주식수로 나눠 평가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10대 그룹 美 생산법인 자산, 8년 새 7배로 '폭증'…삼성>SK>LG>현대차 順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출범한 지난 2017년 이후, 국내 10대 그룹의 글로벌 생산기지 중심이 중국·베트남 등지에서 미국으로 급격히 쏠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내 자국우선주의, 보호무역주의 심화로 국내 10대 그룹의 미국 내 생산법인 자산이 8년 새 7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반면, 값싼 인건비를 강점으로 그동안 국내 기업의 글로벌 생산기지 역할을 해왔던 중국과 베트남 등은 미국에 밀려 증가폭이 급격히 둔화됐다. 10월 2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트럼프 1기 미 행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말 대비 2024년 말의 국내 10대 그룹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를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해외 생산법인 자산 규모는 2016년 말 209조1608억원에서 2024년 말 490조7083억원으로 8년 만에 281조5475억원(134.6%)이나 급증했다. 특히 이번 조사 결과 미국이 중국, 베트남 등을 제치고 국내 기업의 최대 생산기지로 급부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1기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강도 높은 투자유치 기조로 인해 국내 주요 기업들이 대미 생산라인 투자를 대폭 확대했기 때

셀트리온홀딩스, 셀트리온 주식 매입 ‘7000억원’ 규모로 확대…"합병 따른 저평가 요인 3분기에 해소, 4분기부터 정상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셀트리온그룹 지주회사(이하 지주사)인 셀트리온홀딩스(이하 홀딩스)는 올해 7월 주주들과 약속한 5000억원대 대규모 셀트리온 주식 매입을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매입 규모를 약 7000억원 규모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28일 밝혔다. 홀딩스는 지난 7월 수익성 개선 및 자회사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대규모 셀트리온 주식 매입 계획을 밝히고, 이달 말까지 약 4000억원 규모의 셀트리온 주식을 매입을 진행중이다. 홀딩스는 현재 진행중인 약 1500억원 규모의 주식 취득이 완료되면 바로 약 2880억원 규모의 추가 매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추가분까지 매입이 끝나면, 홀딩스가 지난 5월에 앞서 취득한 약 1200억원 규모의 주식을 포함해 올해에만 총 8000억원이 넘는 셀트리온 주식을 취득하게 된다. 홀딩스는 셀트리온이 건실한 사업 펀더멘털에도 불구하고 셀트리온헬스케어(소멸법인)와 합병을 진행하면서 단기 원가율 상승 및 무형자산 상각 등으로 영업이익의 일시적 압박을 받고 있다고 판단해, 주주가치 제고와 셀트리온의 저평가 최소화를 위해 주식 장내 매입을 지속해 왔다. 홀딩스의 추가 주식 취득은 올해 3분기를 기점으로 셀트리온이 합병에 따른 영

LG에너지솔루션, 세계 최초 ‘5분 배터리 진단 서비스’ 혁신...중고 전기차 시장 신뢰도↑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5분 전기차 배터리 진단 서비스’인 ‘비원스(B.once)’를 2025년 10월 27일 공식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단 한 번의 진단만으로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의 잔존 용량, 전압, 온도 등 핵심상태를 최대 5분 만에 신속·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혁신적인 평가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배터리 평가 방식: 퀵 스캔 & 파워 스캔 비원스는 진단 방식에 따라 ‘퀵 스캔’과 ‘파워 스캔’ 두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퀵 스캔’의 경우, 온보드 진단기(OBD)를 연결하고 시동만으로 5분 내 배터리 상태를 간편 진단한다.​ ‘파워 스캔’은 50~80% 구간 실제 충전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도화된 분석을 제공하며, 충전 종료 후 30분 내로 평가서 발급이 가능하다. 특히 타사 서비스가 최소 5일 주행데이터를 요구하는 것과 달리, 짧은 시간에 객관적·정밀 진단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압도적 기술력과 객관성 LG에너지솔루션은 전 세계에서 1만건 이상의 배터리 관리 및 진단 특허를 통해 구축된 독보적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설계 역량을 바탕으로 비원스를 개발했다. 회사는

[랭킹연구소] '준오헤어 대박' 이을 헤어 프랜차이즈에 PEF '러브콜' 후끈…차홍·리챠드·마끼에·아이디·박승철·로이드밤·리안·이가자 順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종화 기자]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들이 국내 미용실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준오헤어 인수 성공을 계기로 제2의 대박 브랜드를 찾는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2024년 국내 미용실 프랜차이즈 전체 시장은 지속 성장중이며, 한류 문화 확산과 K-뷰티 붐에 힘입어 글로벌 진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블랙스톤이 지난 2025년 9월 준오헤어의 경영권을 약 5600억원에 인수하며 기업가치를 8000억원으로 평가한 바 있는데, 이에 힘입어 미용실 프랜차이즈 업계 전반에 걸쳐 글로벌 자본의 대규모 유입이 본격화하는 양상이다.​ 준오헤어는 1982년 창립 이래 전국 180여개 매장과 3000여명의 직원을 거느린 국내 최대 프리미엄 미용실 브랜드로, 지난해 기준 매출 약 3000억원과 EBITDA(상각전영업이익) 370억원을 기록했다. EBITDA 대비 멀티플이 20배에 근접하는 고평가를 받으면서, 부동산 장부가액 2000억원을 제외해도 13배 이상의 이익 배수가 인정받고 있다.​ 주목할 점은 글로벌 PEF들이 현지에서 이미 자리 잡은 미용실 브랜드를 해외 진출의 교두보로 삼아 기업가치를 대폭 끌어올릴 전략을 모색 중이라는 것이다. 준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