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유용 의혹에 美검찰 '문제점' 포착?…개인저택 '프로젝트 42'뭐길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SNS, 커뮤니티]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연방검찰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유리로 된 자택을 짓는데 회삿돈을 유용했다는 의혹이 불거지자 조사에 착수, 문제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19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 뉴욕 남부연방지검은 테슬라가 머스크의 저택뿐만 아니라 2017년부터 CEO인 머스크에게 제공해 온 개인적 특혜에 대한 범죄 혐의점을 찾기 위해 조사했고, 검찰청은 문제점을 찾았다고 전했다.

 

앞서 지난달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가 테슬라의 인력과 재원을 투입해 자신이 사용할 집을 건설하려 했는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검찰은 수사 범위를 머스크의 다른 회사 등으로 확대해 조사 중이다. 이는 연방 검찰이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머스크의 행동에 더 광범위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잠재적인 형사 고발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WSJ는 분석했다.

 

연방 검찰은 이와 함께 테슬라가 주행거리로 소비자들을 속였는지, 자율주행시스템인 ‘오토파일럿’ 성능을 과장했는지도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이 주시하고 있는 것은 머스크가 CEO로 누리는 특전에 관한 내용을 제때 적절하게 공개했는지 여부다. 특전에 대한 시비는 있을 수 있지만 이를 공개하지 않은 것은 주주의 이익에 위반돼 사법처리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프로젝트 42'라고 명명된 이 프로젝트는 텍사스주 오스틴의 테슬라 본부 인근에 특수한 유리 구조물을 짓는 비공개 프로젝트다. 이 주택은 거대한 유리 상자를 연상시키는 외관으로, 주문된 특수유리 가격만 수백만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7월 WSJ이 입수한 렌더링 이미지에는 애플의 맨해튼 5번가 매장처럼 넓은 유리 상자 모양 건물에 침실과 욕실, 주방이 포함된 주거 공간이 그려져 있었다.주거 공간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자 머스크가 회삿돈으로 개인 저택을 짓고 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머스크는 이 프로젝트에 테슬라 직원들을 비밀리에 투입했고, 테슬라를 통해 집에 사용될 특수 유리를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테슬라 이사회는 머스크가 어느 정도까지 관여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에 착수했었다. 다만 이사회의 조사 결과는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1일(현지 시각) 프로젝트42 자료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테슬라 내부에서 프로젝트42는 머스크의 집으로 여겨진다"며 "테슬라 이사회와 변호사가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정밀 조사를 벌였다"고 보도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도 해당 주택 건설 프로젝트와 관련해 테슬라가 공시 의무를 어겼는지 조사 중이다. 미 금융감독 규정에 따르면 상장기업은 거래 규모가 12만 달러(약 1억6000만원) 이상인 거래 중 임원을 포함한 특수관계자와 이해관계가 걸린 거래는 공시해야 한다.

 

또 상장기업은 최고 경영진에게 제공되는 특전과 기타 개인적 특혜의 총액이 1만 달러(1300만원) 이상인 경우 이를 공시해야 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