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美 백악관·빅테크 CEO 'AI위협' 공동대응··· AI는 국가안보·中투자 차단

해리스 美부통령 주재···바이든도 깜짝 등장
백악관 "AI 위협 대응··· 25개 연구소 설립"
반도체·전기차 이어…美, AI기술 '중국 봉쇄'
美 첨단기술 리더십 확보 총력...월가자본 中투자 차단할 듯

미국 백악관이 인공지능(AI)의 위협을 막고, 국가안보차원의 AI기술의 향후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빅테크 CEO들과 만남을 가졌다. [게티이미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백악관이 인공지능(AI)의 위협을 막고, 국가안보차원의 AI기술의 향후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빅테크 CEO들과 만남을 가졌다.

 

4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 루스벨트룸에서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빅테크 최고경영자(CEO)들과 민관 합동 인공지능(AI) 대책회의를 열었다.

 

기업 측에서는 순다르 피차이 구글 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 챗GPT 개발사인 오픈AI 샘 올트먼 CEO, 다리오 아모데이 앤스로픽 CEO 등 CEO 4명이 참석했다. 백악관에서는 제프 자이언츠 대통령 비서실장,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레이얼 브레이너드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을 비롯해 핵심 참모진이 총출동했다.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장관도 배석했다.

 

2시간의 회의 후에 이 자리에 깜짝 방문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AI 발전 이점을 실현하려면 개인, 사회, 국가 안보에 미치는 위험을 줄여야 한다"며 "AI 시스템이 악의적 공격에서 안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다분히 중국을 견제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또 AI 기술에 대한 국가안보차원에서의 잠재력과 위험성을 바이든 대통령이 들여다보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 백악관은 이날 "책임감 있는 AI 연구 개발(R&D)을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투자를 시행한다"며 "국립과학재단은 새로운 국립 AI 연구소들을 설립하기 위해 1억4000만 달러(약 1700억원)의 기금을 투입한다"고 뉴욕타임스가 보도했다.

 

새 기금으로 미국 전역에 25개의 연구소가 설립될 예정이며,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AI 개발사들이 동종 업계가 개발한 AI를 서로 점검하는 공개 평가도 도입할 예정이다.

 

앞서 미국은 작년 10월 대중 반도체 수출통제 조치를 시행하면서 미·중 간 기술 패권 전쟁의 포문을 열었다. 반도체 장비 강국인 네덜란드와 일본도 수출통제에 합류시켰다. 또 총 520억달러 규모 미국 반도체법에 근거해 보조금을 받은 기업에 대해서는 중국에 첨단 반도체 설비투자를 제한하는 가드레일(안전장치)을 설정했다. 미국은 AI, 양자, 컴퓨팅 분야로 수출통제 대상을 확대하는 규제도 조만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조만간 미국 월가 자본이 AI기술을 비롯해 중국 첨단산업에 투자하는 것도 사실상 차단한다는 방침이다. 나아가 백악관은 이날 AI와 기계학습, 통신기술, 반도체, 청정에너지, 생명공학, 양자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중국을 제치고 차세대 국제표준을 주도하기 위한 국가 전략을 발표했다.

 

반도체, 전기차에 이어 AI같은 첨단기술분야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봉쇄 법안을 미국 의회도 쏟아내고 있다. 척 슈머 미국 상원 원내대표와 민주당 소속 상임위원장들은 지난 3일 반도체과학법의 연장선에서 중국으로 첨단기술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중국 경쟁 2.0'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美에너지부에 슈퍼컴 7대 구축·6G 통신 추진…미국내 반도체 리더십 강화 기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선도기업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 아래, 첨단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와 차세대 6G 통신망 구축을 추진하며 미전역의 첨단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최초의 개발자 행사(GTC)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장과 미국 내 반도체·통신 산업 회복을 동시에 노리는 모양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0월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 기조 발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AI 슈퍼컴퓨터 구축으로 핵심 연구 역량 강화 엔비디아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인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 quantum 기반 AI 슈퍼컴퓨터 7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각각 강력한 연산 능력을 갖춘 양자컴퓨팅 시스템으로, 핵무기와 핵 에너지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며, 미국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의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황 CEO는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역량을 에너지 증진과 국방 강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게임체인저'"라고 평가했다. 6G 통신망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