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5℃
  • 구름많음강릉 10.7℃
  • 서울 8.2℃
  • 대전 8.4℃
  • 박무대구 4.5℃
  • 박무울산 6.7℃
  • 광주 9.7℃
  • 박무부산 10.5℃
  • 흐림고창 ℃
  • 구름많음제주 14.3℃
  • 흐림강화 5.5℃
  • 흐림보은 6.6℃
  • 흐림금산 6.4℃
  • 구름많음강진군 11.2℃
  • 구름조금경주시 4.0℃
  • 구름조금거제 11.5℃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8월 25일 리눅스 탄생 34주년…"1만239줄의 취미 코드에서 3400만 줄 글로벌 인프라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991년 8월 25일, 핀란드의 21세 컴퓨터 과학도 리누스 토르발스는 comp.os.minix 뉴스그룹에 “그냥 취미일 뿐, GNU처럼 크고 전문적이지 않을 것”이라며 새로운 운영체계 개발 소식을 전했다.

 

34년이 흐른 지금, 리눅스는 전 세계 IT 인프라의 핵심으로 등극했다. 초기 0.01 버전의 1만239줄짜리 코드는 이제 3400만줄이 넘는 커널로 성장했고, 2만5000명 이상의 개발자들이 글로벌 오픈소스 혁신의 주역이 되었다.

 

슈퍼컴퓨터와 클라우드, 글로벌 IT의 표준

 

CyberPress, GBHackers, HowToGeek, SUSE, StatCounter, TOP500 Project, SQMagazine, LinuxInsider 등의 보도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세계 상위 500대 슈퍼컴퓨터의 100%가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로 작동하고 있다. 이는 2017년 이후 깨지지 않는 기록이다.

 

미국의 프론티어, 유럽의 LUMI, 중국의 Sunway TaihuLight 등 주요 슈퍼컴퓨터 모두 최적화된 리눅스 배포판으로 운영되며, 이는 고성능 컴퓨팅(HPC) 영역에서 벤더 종속과 비용 절감, 그리고 커뮤니티 기반의 혁신이 실시간으로 이뤄진 덕분이다.

 

클라우드 시장 역시 리눅스가 독점하다시피 한다. Q2 2025 기준, 글로벌 클라우드 워크로드의 49.2%는 리눅스 기반이다. AWS의 EC2 인스턴스는 83.5%,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는 61.8%, 구글 클라우드 VM은 91.6%가 리눅스 기반 OS로 구동된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장에서 Kubernetes의 96% 이상이 리눅스에서 살아 움직인다.

 

모바일과 IoT, 눈에 보이지 않는 리눅스의 확장


안드로이드도 리눅스 커널 기반으로, 2025년 기준 30억대 이상 기기가 돌아간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72%가 안드로이드로 움직이며, 리눅스 기반 OS 누적 점유율은 80%에 달한다.

 

스마트TV, 라우터, 스마트워치, 냉장고 등 일상 기기의 내장 시스템 68%도 리눅스 기반이다. 자동차, 산업용 제어기, 사물인터넷(IoT)까지 임베디드 리눅스 시장은 5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있다.

 

시장 성장과 기업 도입, 그리고 미래

 

2025년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시장 규모는 144억 달러로 전망된다. 더 넓게 보면, 리눅스 운영체제 시장 전체는 2024년 109억4000만 달러에서 2034년 412억7000만 달러로 연평균 14.2%씩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된다. 포춘500 기업 중 72.6%가 핵심 워크로드를 리눅스에서 처리한다. 공공 IT 프로젝트의 48.9%가 리눅스를 채택했고, 교육 시스템 31개국에서 리눅스 랩톱이 필수로 지정됐다.

 

개발자 사이의 리눅스 활용률은 78.5%에 달하며, 데스크톱 점유율도 꾸준히 상승 중이다. 스탯카운터(StatCounter)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 데스크톱 시장점유율은 3.9~4.1%, 미국은 5%를 넘었다. IoT와 자동차, 의료 등 신사업 분야로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리눅스 전문가 구인 공고는 1년간 31% 증가했으며, 산업계는 리눅스를 “대안보다 10배 더 안전한 시스템”으로 평가한다. 커널에는 매 릴리즈마다 1만줄 이상의 신규 코드를 반영하는 등, 세계에서 가장 활발히 발전 중인 OS임을 입증한다.

 

오픈소스 협업이 만든 혁신적 파워


리누스 토르발스가 취미로 시작한 작은 프로젝트는 수십억명을 떠받치는 ‘보이지 않는 인프라’로 성장했다. 앞으로 인공지능, 엣지 컴퓨팅, 컨테이너화 등 신기술 영역에서 리눅스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AI 거품론 조목조목 반박 "우려할 것 없다"…엔비디아 젠슨 황, 자신감 표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AI 산업을 둘러싼 거품론과 엔비디아 위기설에 대해 젠슨 황 CEO가 강력히 반박하며 회사의 재무 건전성과 성장 가능성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혔다. 엔비디아는 2025년 3분기에 매출 570억 달러(약 83조4000억원)를 기록해 전년 대비 62% 급증, 순이익도 60% 증가한 319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역대급 실적을 내놓았으나, 주가가 하락세를 보이자 재고 증가와 매출채권 확대에 대한 우려를 정면 반박하는 7페이지 분량의 자료를 주주들에게 배포해 불안감을 잠재웠다.​ 엔비디아 측은 재고 증가가 수요 둔화에 따른 것이 아니라 4분기 신제품 블랙웰 출시에 대비한 선제적 물량 비축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매출채권 회수 기간도 53일로 과거 평균과 유사하고 연체는 미미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AI 관련 스타트업 투자에서 나오는 매출은 전체의 3~7%에 불과해 매출 부풀리기 논란도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해명을 내놨다. 한편, 소프트뱅크와 피터 틸이 보유하던 엔비디아 주식을 전량 매각한 데 대해서도 "개인 투자 결정이며 회사 내부자들의 판단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직원 간담회에서 시장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이슈&논란] 머스크 떠난 미국 정부효율부, 슬그머니 '해산'…242조원 연방예산 절감 주장에 검증은 '미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대표 구조조정 기구였던 '정부효율부(DOGE)'가 공식 활동 종료 시한인 2026년 7월보다 8개월 빠른 2025년 11월 말 사실상 해산됐다. 23일 로이터의 보도에 따르면, 정부효율부 실질적 수장을 맡았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올해 5월 물러난 후 존재감이 급격히 희미해졌으며, 인사관리처(OPM)가 기능 대부분을 인수, 직원들도 주로 다른 부처로 재배치됐다.​ 정부효율부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후 출범해 강도 높은 연방정부 구조조정과 공무원 감축, 예산 삭감 작업을 예고했다. 머스크는 이 조직이 연방예산에서 1,750억 달러(한화 약 242조원)의 절감 효과를 낸 것으로 주장했으나, 이에 대한 세부 내역이나 검증 가능한 자료는 공개되지 않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합리적 검증이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정부 신규 채용 금지 및 인력 축소 정책을 강력 추진해 왔으며, 인력 감축은 이민, 국경 치안 등 필수 분야를 제외한 전반적인 부문에서 엄격히 적용됐다. 올해 3월 기준, 연방민간 인력은 약 230만명에 달했으나, 정부효율부 출범 이후 20만~50만명 규모의 감축 및 재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