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6 (화)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8월 25일 리눅스 탄생 34주년…"1만239줄의 취미 코드에서 3400만 줄 글로벌 인프라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991년 8월 25일, 핀란드의 21세 컴퓨터 과학도 리누스 토르발스는 comp.os.minix 뉴스그룹에 “그냥 취미일 뿐, GNU처럼 크고 전문적이지 않을 것”이라며 새로운 운영체계 개발 소식을 전했다.

 

34년이 흐른 지금, 리눅스는 전 세계 IT 인프라의 핵심으로 등극했다. 초기 0.01 버전의 1만239줄짜리 코드는 이제 3400만줄이 넘는 커널로 성장했고, 2만5000명 이상의 개발자들이 글로벌 오픈소스 혁신의 주역이 되었다.

 

슈퍼컴퓨터와 클라우드, 글로벌 IT의 표준

 

CyberPress, GBHackers, HowToGeek, SUSE, StatCounter, TOP500 Project, SQMagazine, LinuxInsider 등의 보도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기준 세계 상위 500대 슈퍼컴퓨터의 100%가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로 작동하고 있다. 이는 2017년 이후 깨지지 않는 기록이다.

 

미국의 프론티어, 유럽의 LUMI, 중국의 Sunway TaihuLight 등 주요 슈퍼컴퓨터 모두 최적화된 리눅스 배포판으로 운영되며, 이는 고성능 컴퓨팅(HPC) 영역에서 벤더 종속과 비용 절감, 그리고 커뮤니티 기반의 혁신이 실시간으로 이뤄진 덕분이다.

 

클라우드 시장 역시 리눅스가 독점하다시피 한다. Q2 2025 기준, 글로벌 클라우드 워크로드의 49.2%는 리눅스 기반이다. AWS의 EC2 인스턴스는 83.5%, 마이크로소프트 애저는 61.8%, 구글 클라우드 VM은 91.6%가 리눅스 기반 OS로 구동된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시장에서 Kubernetes의 96% 이상이 리눅스에서 살아 움직인다.

 

모바일과 IoT, 눈에 보이지 않는 리눅스의 확장


안드로이드도 리눅스 커널 기반으로, 2025년 기준 30억대 이상 기기가 돌아간다.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72%가 안드로이드로 움직이며, 리눅스 기반 OS 누적 점유율은 80%에 달한다.

 

스마트TV, 라우터, 스마트워치, 냉장고 등 일상 기기의 내장 시스템 68%도 리눅스 기반이다. 자동차, 산업용 제어기, 사물인터넷(IoT)까지 임베디드 리눅스 시장은 53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있다.

 

시장 성장과 기업 도입, 그리고 미래

 

2025년 엔터프라이즈 리눅스 시장 규모는 144억 달러로 전망된다. 더 넓게 보면, 리눅스 운영체제 시장 전체는 2024년 109억4000만 달러에서 2034년 412억7000만 달러로 연평균 14.2%씩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측된다. 포춘500 기업 중 72.6%가 핵심 워크로드를 리눅스에서 처리한다. 공공 IT 프로젝트의 48.9%가 리눅스를 채택했고, 교육 시스템 31개국에서 리눅스 랩톱이 필수로 지정됐다.

 

개발자 사이의 리눅스 활용률은 78.5%에 달하며, 데스크톱 점유율도 꾸준히 상승 중이다. 스탯카운터(StatCounter)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 데스크톱 시장점유율은 3.9~4.1%, 미국은 5%를 넘었다. IoT와 자동차, 의료 등 신사업 분야로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리눅스 전문가 구인 공고는 1년간 31% 증가했으며, 산업계는 리눅스를 “대안보다 10배 더 안전한 시스템”으로 평가한다. 커널에는 매 릴리즈마다 1만줄 이상의 신규 코드를 반영하는 등, 세계에서 가장 활발히 발전 중인 OS임을 입증한다.

 

오픈소스 협업이 만든 혁신적 파워


리누스 토르발스가 취미로 시작한 작은 프로젝트는 수십억명을 떠받치는 ‘보이지 않는 인프라’로 성장했다. 앞으로 인공지능, 엣지 컴퓨팅, 컨테이너화 등 신기술 영역에서 리눅스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전신마비 남성, 뉴럴링크 뇌 칩으로 ‘인생 재설계’…대학생·사업가로 변신한 미래의 사이보그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18개월 전 수영 사고로 어깨 아래가 완전히 마비됐던 애리조나에 거주하는 29세의 놀랜드 아르보(Noland Arbaugh) 씨가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뉴럴링크(Neuralink)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뇌 칩 이식 수술로 삶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2024년 1월 아르바우는 뉴럴링크의 임플란트를 처음으로 인간에게 이식받은 사례가 됐으며, 현재는 컴퓨터와 가전제품을 생각만으로 제어하고 비디오 게임을 즐기는 대학생이자 사업가로 거듭났다. 뉴럴링크의 공식발표와 포춘(Fortune)지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 기기는 그의 삶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았다. 아르보는 이제 하루 최대 10시간 동안 임플란트를 사용해 컴퓨터를 제어하고, 마리오 카트(Mario Kart)를 비롯한 비디오 게임을 하며, 텔레비전이나 공기청정기 같은 가전제품을 생각만으로 관리하고 있다. 뉴럴링크 임플란트는 그의 운동 피질에 1000개 이상의 전극을 연결하여 뇌 신호를 분석, 디지털 기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아르바우는 현재 하루 최대 10시간 이 장치를 활용하며, 아리조나 커뮤니티 칼리지에서 신경과학 전공을 위한 예비 과목을 수강 중이다. 그는 “내 삶에 다시

[빅테크칼럼] 삼성전자·존스홉킨스大 “공학의 노벨상 품었다”…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 세계 100대 혁신 기술에 선정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삼성전자와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 응용물리학연구소가 공동 개발한 차세대 펠티어 냉각 기술이 2025년 ‘R&D 100 어워드’에서 세계 100대 혁신 기술로 선정됐다. 1963년 제정된 이 상은 ‘공학의 노벨상’, ‘산학 혁신의 오스카상’으로 불리며, 매년 과학기술 분야에서 실용성과 혁신성을 겸비한 100대 기술을 엄선한다. 이번 수상은 삼성 연구진과 글로벌 산학 협력의 우수성을 다시 한번 증명했다. 이번 기술은 기존 냉매 기반 냉각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친환경 고효율 반도체 박막 펠티어 소자를 최초로 개발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나노공학 기반의 ‘CHESS’ 박막 소재를 활용, 냉매 대신 전기만으로 냉각을 구현하면서 기존 대비 약 75% 냉각 효율을 향상시켰다. 또한, 소형화와 경량화 효과로 소재 사용량을 1/1000 수준으로 줄여 생산 비용과 환경 영향을 대폭 감소시켰다. 펠티어 기술은 전류가 흐르는 반도체 소자의 한 쪽은 냉각되고 다른 쪽은 발열하는 원리를 활용한 친환경 냉각 방식이다. 전통적 냉매를 사용하지 않아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대체 기술 수요에 부합하며, 빠르고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해 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