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5.3℃
  • 맑음강릉 6.5℃
  • 맑음서울 8.7℃
  • 맑음대전 7.0℃
  • 맑음대구 6.0℃
  • 맑음울산 7.8℃
  • 맑음광주 9.2℃
  • 맑음부산 11.5℃
  • 맑음고창 7.9℃
  • 맑음제주 12.6℃
  • 맑음강화 7.4℃
  • 맑음보은 3.6℃
  • 맑음금산 3.7℃
  • 맑음강진군 5.5℃
  • 맑음경주시 4.4℃
  • 맑음거제 7.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앤트로픽과 오픈AI, 완전히 다른 재무 행보…앤트로픽 2027년 수익성 선점 vs 오픈AI 2026년 최대손실 전망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실리콘밸리 인공지능 업계의 선두주자, 앤트로픽과 오픈AI가 완전히 다른 재무 행보를 보이고 있다. The Wall Street Journal과 The Information에서 입수한 재무자료에 따르면, 앤트로픽은 2027년까지 손익분기점에 이르며 빠르게 수익성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오픈AI는 2026년에 최대 140억 달러의 손실이 예상되어 수익성 전환에 난항을 겪고 있다.

 

The Information, Wall Street Journal, Microsoft Financial Filings에 따르면, 앤트로픽은 2028년까지 최대 700억 달러(한화 약 95조원)의 매출과 170억 달러(약 23조원)의 현금 흐름을 전망하고 있다. 내부 전망에 따르면 2027년이 손익분기점으로, 오픈AI의 2029년 대비 2년 빠른 성과다. 이는 앤트로픽이 기업(B2B) 시장 중심의 엄격한 전략을 추구하며, 고객사 30만 곳 이상으로부터 매출의 약 80%를 창출하는 데 따른 성과다.

 

Paul Smith 앤트로픽 CSO는 "기업들은 뛰어난 성능과 동시에 안전성과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AI 솔루션을 필요로 하며, 이는 Claude가 제공하는 핵심 가치다"라고 강조했다.

 

앤트로픽은 Salesforce, Microsoft, Deloitte, Cognizant 등 글로벌 대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장해왔다. Salesforce는 2025년 10월 금융·헬스케어 등 규제산업을 타깃으로 하는 Agentforce 플랫폼에 Claude AI를 기본 모델로 채택했고, Microsoft는 9월부터 MS 365 및 Copilot에 앤트로픽 모델을 통합하며 생산성 자동화에 활용 중이다. Deloitte와 Cognizant 역시 각각 47만명 이상, 35만명 규모의 직원들에게 클로드Claude 기반 AI 도입을 추진 중이다.

 

Marc Benioff 세일즈포스 CEO는 "앤트로픽과의 협력으로 모든 기업이 신뢰받는 AI 생태계에서 혁신과 생산성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될 것이다"고 말했다.

 

재무 지표는 매우 고무적이다. 앤트로픽의 총이익률은 2024년 마이너스 94%에서 2025년 50%로, 2028년에는 77%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운영 효율화와 B2B 기반의 안정적 수익 모델 덕분이다. 특히 클라우드 API 사업은 2025년 약 38억 달러(약 5조원) 매출이 예상돼 오픈AI 동종 사업 매출 18억 달러를 두 배 이상 앞서고 있다. 개발자 전용 툴인 Claude Code는 2025년 하반기 기준 연간 매출 10억 달러(1조3000억원)에 육박하며 지속 성장 중이다.

 

투자자들의 신뢰도 높다. 2025년 9월 앤트로픽은 1,830억 달러(약 250조원) 가치평가 하에 130억 달러(약 18조원) 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으며, 향후 기업가치는 3000억~4000억 달러(약 410조~550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업계 애널리스트들은 내다보고 있다.

 

반면 오픈AI는 소비자 중심 전략에 무게를 두며 매출 130억 달러(약 18조원), 매주 8억명의 사용자 기반에도 불구하고, 인프라 확장에 따른 비용 등으로 인해 2025년 3분기에만 120억 달러 이상의 손실을 기록했다. 2026년 손실은 14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9년에도 누적 손실이 1150억 달러(약 15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오픈AI는 2027년까지 1000억 달러(약 135조원) 매출 달성을 목표로 하지만 수익 전환 시점을 2029년으로 예측하고 있어, 앤트로픽과 상당한 격차가 있다. 이는 오픈AI가 소비자 중심 구독 모델과 대규모 브랜드 파워에 기반한 성장 전략을 고수하는 데 따른 결과로, 반대급부로 고비용 인프라와 확장성 문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앤트로픽의 기업 고객 중심, 반복 매출 기반 비즈니스 모델이 AI 산업 내 지속가능한 수익성과 장기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있어 중요한 롤모델로 평가하고 있다. 규제 강화와 인프라 비용 증대가 업계의 마진 압박을 심화하는 상황에서, 앤트로픽의 안정적, 안전성 강화 AI 전략이 미래 AI 벤처 기업의 성공 청사진으로 떠오르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헬스케어 시장에 출사표…"챗GPT 週 8억명 건강비서 도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AI 혁신을 선도하는 오픈AI가 헬스케어 분야에 본격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개인 건강 비서와 건강 데이터 통합 서비스 등 소비자용 헬스케어 도구 개발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며, 이를 위해 의료 및 건강 관련 핵심 인재 영입과 업계 협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로이터, 비즈니스 인사이더, 아크리브에 따르면, 오픈AI는 2025년 6월 미국 최대 의료 분야 네트워크 플랫폼 '독시미티' 공동 창업자이자 의사인 네이트 그로스를 헬스케어 전략 책임자로 영입한 데 이어, 8월에는 메타(페이스북)의 인스타그램에서 제품 총괄 경력을 가진 애슐리 알렉산더를 건강 제품 담당 부사장으로 데려왔다. 이들 리더십 하에 오픈AI는 의료 진단 보조부터 신약 개발 AI 도구 협력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챗GPT 이용자 규모는 주간 8억명에 육박하며, 상당수가 의료 관련 질문을 하고 있다. 샘 올트먼 CEO도 “건강 관리 분야에서 GPT 기술이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헬스케어 시장 진출은 단순한 AI 인프라 공급을 넘어, 의료 현장과 소비자에 직접 다가가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최근 오픈AI는 케냐 의

[빅테크칼럼] 테슬라 전기차 핵심 임원 대거 퇴사, 왜?…사이버트럭·모델Y 판매 부진이어 경영까지 '빨간불'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전기차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점해온 테슬라에서 주요 전기차 사업 핵심 임원들이 잇달아 퇴사하고 있어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사이버트럭과 모델Y, 모델3 등 주력 차량을 총괄하며 테슬라의 미래 전략을 이끌던 간판 임원들이 한꺼번에 회사를 떠나면서 조직 내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판매 부진과 맞물려 경영 불확실성 확대로 해석된다. 로이터, 블룸버그,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사이버트럭 개발과 양산을 책임졌던 시단트 아와스티는 8년간 몸담은 테슬라를 떠난다고 2025년 11월 9일 본인의 링크드인 계정을 통해 밝혔다. 아와스티는 2017년 인턴으로 입사해 사이버트럭 프로젝트를 주도했으며, 지난 7월부터는 주력 세단 모델3 담당으로 이동해 있었다. 같은 날 모델Y 담당 임원 이매뉴얼 라마키아도 8년간 근무를 마치고 퇴사 소식을 전했다. 두 임원 모두 구체적인 퇴사 이유나 향후 행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임원 퇴사는 2024년부터 이어진 경영진 및 기술 인력들의 대거 이탈 현상의 연장선상에 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부사장 데이비드 라우가 AI 기업 오픈AI로 이직했으며, 로봇 사업부 옵티머스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