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포트녹스에서 금 찾는 중"…美 납세정보 이어 금 보유고까지 조사 '머스크의 전횡'

DOGE, 특정 납세자 계좌 열람 권한 요청...’무소불위’ 머스크
“포트 녹스에서 금을 찾고 있다”…보안상 방문 금지 시설 조사 예고
1974년·2017년에만 외부 방문객 허용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정부의 예산낭비를 조사중인 정부효율부(DOGE) 수장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번에는 정부의 금 보유고에 대한 조사를 시사했다.


머스크는 17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 “포트 녹스(Fort Knox)에서 금을 찾고 있다…”라고 적었다. 이어 “포트 녹스에서 금이 도난당하지 않았는지 누가 확인하느냐. 금이 거기에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그 금은 미국 대중의 것이다. 우리는 금이 거기에 아직 있는지 알고 싶다”고 밝혔다.

포트 녹스는 미국 켄터키주에 있는 육군 기지의 이름인데 이 기지 바로 옆에 재무부가 운영하는 금 보유고가 있어 같은 이름으로 불린다.

 

세계금협회에 따르면 미국의 금 보유량은 2024년 말 현재 8100t으로 세계 최대 규모다. 이 중 포트 녹스에만 절반이 넘는 4580t(약 1억4730만 온스)의 금이 저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시가인 온스 당 약 2900달러를 적용하면 4270억 달러(약 616조원)의 가치가 있다.

 

미국 정부는 이 금의 장부 가격을 온스당 42.22달러로 계산해 포트 녹스에 62억달러(약 9조원) 상당의 금을 보유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미국 정부의 금 비축분 상당수가 보관돼 있다보니 접근 자체가 엄격히 통제된다. 

 

이 때문에 미국 사회에서는 포트 녹스에 실제 금이 없다거나 금을 팔았다는 음모론이 종종 부상했다. 미국 정부는 1943년 당시 프랭클린 D. 루즈벨트 대통령이 포트 녹스를 방문한 뒤 1974년에 처음으로 의회 대표단과 기자들에게 시설을 개방했다. 또 트럼프 1기 때였던 2017년 당시 스티븐 므누신 재무부 장관이 켄터키 주지사, 의회 대표단과 함께 포트 녹스를 찾아 직접 내부를 확인했다.

 

즉 이미 확인 과정을 거쳤음에도 머스크는 "포트녹스에서 금이 사라졌을 수 있다"는 음모론을 들먹이며 자신이 다시 들여다보겠다고 한 셈이다.

 

랜드 폴 상원의원(켄터키) 역시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포트 녹스를 감사해 투명성을확보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폴 의원은 “어떤 사람들은 포트 녹스를 매번 감사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난 더 많은 햇살을 비추고, 더 투명하게 할수록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만 머스크의 이번 시도도 사법부에 의해 가로막힐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현재까지 머스크의 권한 남용에 이의를 제기한 소송만 약 20건에 달한다. 지난주에는 머스크와 DOGE의 재무부 데이터·시스템 접근 권한이 법원 결정으로 중단되기도 했다.

 

17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와 AP통신에 따르면 머스크의 DOGE는 최근 미국인 납세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 소속 직원을 IRS(미국 국세청)에 보냈다. IRS에는 미국 내 납세자들 주소와 사회보장번호, 세금 관련 정보, 은행 기록 등 방대한 분량의 개인정보 파일이 있다. DOGE는 특정 납세자 계좌 열람 권한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관계자와 머스크 반대론자들은 "연방정부 축소를 주도하는 정부효율부(DOGE) 수장 지위를 앞세워 가장 민감한 개인정보도 낱낱이 들여다보려는 시도"라며 "국민에 의해 선출되지도, 검증 절차를 밟지도 않은 개인이 무소불위 권한을 행사하는 것"이라면서 비난의 수위도 높이고 있다.

 

해리슨 필즈 백악관 부대변인은 "낭비와 사기, 남용은 너무 오랫동안 우리의 망가진 시스템에 깊이 자리 잡았다"며 "이를 분류하고 고치려면 시스템에 직접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국민은 정부가 세금을 어디에 썼는지 알 권리가 있기 때문에, DOGE는 사기를 밝혀내고 계속 주의를 기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머스크에게 잔뜩 힘을 실어줬다.

 

AP통신은 "납세 기록의 불법적 공개·노출은 특정인을 '악의적 표적'으로 삼거나, 사생활을 침해하는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미국 사회보장청의 국장 대행이 머스크의 '전횡'에 반발하며 지난 주말 사의를 표명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테슬라, 오토파일럿 치명사고로 4600억원 배상 첫 판결…"대규모 집단소송 가능성"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플로리다 연방 배심원단이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오토파일럿' 시스템을 둘러싼 2019년 치명적 사고와 관련해, 테슬라에 3억2900만달러(한화 약 4600억원) 배상을 명령했다. BBC, CNBC, CNN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법원에서 반자동(부분 자율) 운전자 보조기술 관련해 테슬라가 배상 책임을 공식적으로 진 첫 사례로, 자율주행차 산업과 교통안전법, 테슬라의 미래까지 미칠 파장이 상당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사고 경위 및 법원의 판단 2019년 4월 25일, 플로리다 키 라르고에서 조지 맥기가 운전하던 테슬라 모델S는 오토파일럿 모드로 주행 중 휴대폰을 줍기 위해 한눈을 판 사이 교차로를 시속 62마일(약 100km)로 진입해 정지 신호와 빨간 점멸등을 무시, 주차된 SUV(쉐보레 타호)를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당시 22세였던 나이벨 베나비데스 레온이 사망했고, 남자친구인 딜런 앙굴로는 수차례 골절과 뇌 손상, 심각한 정신적 트라우마를 입었다. 피해자 측 법률팀은 "테슬라가 오토파일럿을 고속도로 전용으로 설계했음에도 불구, 일반도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방치했다"며 "마케팅에서도 '인간보다 더 안전하다'고

[빅테크칼럼] "연구원 없애고 엔지니어만" xAI 직함 파격 개편…머스크發 실리콘밸리 조직문화 ‘지각변동’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에서 ‘리서처(Researcher, 연구원)’라는 전통적 직함을 공식적으로 삭제하고, 모든 기술 직원을 “엔지니어(Engineer)”로 통일한다고 선언한 조치가 글로벌 기술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머스크의 결정은 빅테크 업계 내 연구-엔지니어 직함 경계의 폐지라는 최근 조직문화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 xAI, 연구자와 엔지니어 구분 공식 폐지…”이원화, 실질적 의미 없다” americanbazaar online, ndtv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변화는 xAI 엔지니어 아디트야 굽타가 X(트위터)에 “리서처와 엔지니어를 모집한다”고 공지하자, 머스크가 직접 “이건 잘못된 명칭”이라며 공개적으로 정정한 뒤 즉각 적용됐다. 머스크는 “’연구자’라는 명칭은 본질적으로 2단계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부드럽게 포장한 것”이라며 “이제 모든 기술 인력은 오직 ‘엔지니어’로만 통칭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구자 직함을 “책임이 낮고 허세스러운 학계 용어”라고 비판했고, 실제 스페이스X의 엔지니어링 중심 조직 모델이 혁신 추진에 효과적이었다고 강조했다. AI 산업계, “경계 무너진다”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뉴럴링크, BCI 임상 영국 '상륙'…뇌신경 혁명 가속에 몸값 90억달러 '돌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 인터페이스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 임상실험에 착수했다. 블룸버그, 텔레그래프, CNBC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영국 의료 규제당국의 승인을 득한 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UCLH) 및 뉴캐슬 어폰 타인 병원 NHS 트러스트 등과의 파트너십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중증 척수 손상 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등으로 전자기기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신경계 장애 환자들로, 최대 7명이 대상이다. 뉴럴링크 N1 칩, 머리카락보다 얇은 128개 실로 '생각'을 잡다 임상시험의 핵심인 뉴럴링크 N1 칩은 10펜스짜리 동전 크기 수준이지만, 칩에 연결된 128개의 머리카락보다 얇은 실(threads)이 뇌 속 신경세포에 연결된다. 각 실에는 총 1000개 이상의 전극이 장착돼 뇌에서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이를 디지털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오직 생각만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기기의 커서 이동, 타이핑, 심지어 비디오게임 플레이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