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저커버그, ‘감옥 보내겠다고 협박'한 트럼프와 만찬…“트럼프에 감사한 마음” 앙금 풀었다

마러라고 찾아가 트럼프 만난 저커버그 “감사한 마음”
트럼프 메타 SNS 정지 등으로 악연 쌓여
한때 트럼프의 살생부 올랐던 저커버그, 마러라고서 만찬서 트럼프 측근들과 교류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인스타그램·스레드 운영사인 미국 메타플랫폼스의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가 악연을 쌓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과의 만남에 성공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7일(현지시간) ‘사안을 알고 있는 최소 세 명의 인사’를 인용해 “저커버그가 마러라고에서 트럼프와 만났다. 이는 트럼프와 긍정적인 관계를 구축하려는 시도”라며 “트럼프는 오랫동안 저커버그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이 보수적인 견해를 검열한다고 비판해 왔다”고 보도했다.

 

마러라고는 트럼프의 개인 별장이자 내년 1월 20일 출범하는 집권 2기 행정부의 정권 인수단을 꾸린 미국 플로리다주 웨스트팜비치 소재 리조트다. 저커버그는 트럼프를 만나기 위해 지난 26일 웨스트팜비치에 도착했고, 이튿날 마러라고에서 트럼프를 만났다.

 

NYT는 “저커버그가 트럼프와 대화를 나눴고 당선을 축하했다”며 “마러라고에서 트럼프와 저커버그가 저녁을 함께 먹은 것으로 전해졌다”고 설명했다.

 

이날 메타는 성명을 내고 “저커버그가 트럼프의 저녁 식사 자리에 초대됐고, 측근들과 교류했다”며 “미국의 기술혁신을 위해 중요한 순간이었다. 저커버그는 트럼프에게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저커버그가 트럼프 당선인과의 면담을 위해 플로리다까지 간 것은 순탄치 않은 두 사람의 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다.

 

앞서 2020년 6월 저커버그는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조지 플로이드 시위에 대해 “약탈이 시작되면 총격도 시작된다”는 페이스북 게시글에 “대통령의 분열적이고 선동적인 발언이 매우 충격적이고 역겹다”고 밝혔다. 이후 메타는 2021년 1월 미 연방의회 의사당 점거 사건 이후 트럼프 전 대통령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계정 활동을 정지시켰다. 머스크의 엑스(X·옛 트위터)가 트럼프 계정을 복구한 것과 달리 메타는 2023년 3월에서야 그의 계정을 복구했다.

 

트럼프 당선인 역시 대선을 앞둔 지난 7월 ‘저커버그는 교도소에서 여생을 보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할 정도로 저커버그에 대한 적대감이 컸다. 그러나 이번 두 사람의 회동으로 서로간 앙금을 풀고 원만하게 향후 관계를 가져갈 지 이목이 집중된다.

 

공화당 내 트럼프 당선인의 측근들, 특히 일론 머스크가 저커버그에 대해 비판적이라는 점은 저커버거와 메타의 앞날에 부정적이다. 페이스북이 공화당 성향의 사용자나 게시물에 대해 불공정한 잣대를 들이댄다는 이유에서다. 또 공화당은 과거 저커버그가 선거 관련 비영리 단체에 거액을 기부한 것도 ‘민주당을 돕기 위한 불공정한 행위’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저커버그 CEO와 트럼프와의 관계 개선이 앞으로 트럼프 행정부 아래에서 메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되는 부분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푸틴·트럼프 ‘해저 평화터널’ 현실화?…러시아 극동-알래스카 113㎞ 해저터널, 머스크 ‘더보링컴퍼니’가 건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러시아 국부펀드 러시아 직접투자펀드(RDIF) 최고경영자이자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특사인 키릴 드미트리예프가 미국 알래스카와 러시아 극동 추코트카를 잇는 113㎞ 길이의 해저터널 건설을 일론 머스크의 터널 건설 기업 더보링컴퍼니(TBC)에 제안했다. 그는 이 터널을 ‘푸틴-트럼프 터널’로 명명하며, 미주와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상징적인 프로젝트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Al Jazeera, cnbc, reuters, Fox News, The Independent에 따르면, 드미트리예프는 전통적인 공법으로는 이 사업에 650억 달러(약 92조원)가 넘는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TBC의 혁신적인 기술을 적용하면 80억 달러(약 11조원) 이하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 공사는 약 8년 내 완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구상은 존 F. 케네디 대통령과 소련 지도자 니키타 흐루쇼프 간 냉전 시기 검토된 ‘세계 평화 다리’ 구상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케네디-흐루쇼프 다리는 북태평양을 횡단해 양국을 연결하는 구상으로, 최근 미 의회에서 공개된 문서에도 등장해 주목받고 있다. 드미트리예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