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나도 머스크처럼" 美 CEO들 성과보수 확산…2200억원 받은 1위 누구?

머스크처럼 성과 반영한 보수 패키지 채택하는 美CEO들 늘어
지난 5년간 S&P 500 기업 36명이 5000만달러 이상 스톡옵션 등 받아
실적 목표 달성 못 하면 주식·옵션 등 박탈당하기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처럼 경영 성과를 반영한 임원 보수 패키지를 채택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0일(현지시간) 공공정보 제공업체 마이로그아이큐의 데이터를 분석해 "지난 5년간 S&P 500 기업 중 36명의 CEO가 5000만달러(약 680억원) 이상의 보수 패키지를 받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보도했다. 테슬라와 머스크가 성과 보상안 계약을 도입한 2018년 이전 5년 동안은 이런 규모의 보수 패키지를 받은 CEO가 9명에 불과했지만, 이후 5년 사이에 4배 늘었다는 분석했다.


지난해 가장 높은 보수를 받은 사람은 미국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의 호크 탄 CEO다. 그가 받은 주식보상, 현금 등을 포함한 보수 패키지의 총 가치는 1억6200만달러(약 2200억원)에 달했다. 이어 미국 보안업체 팔로알토 네트웍스의 니케시 아로라 CEO의 보수 패키지(1억5100만달러)가 뒤를 이었다. 머스크 CEO의 경우 아직 행사하지 못한 스톡옵션이 지난해 14억달러(약 1조9000억원) 상당의 이익을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브로드컴은 증권 신고서에서 2025년 10월 이후 브로드컴의 주가가 특정 목표에 도달할 때에만 탄 CEO가 주식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가 향후 5년 동안 추가 주식 보상이나 현금 보너스는 받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니케시 아로라 CEO의 보수 패키지에도 3년에 걸쳐 지급되는 주식이 포함된다. 

 

앞서 테슬라도 2018년 머스크 CEO에게 매출과 시가총액 등을 기준으로 단계별 성과를 달성할 때마다 12회에 걸쳐 스톡옵션을 부여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머스크가 이 스톡옵션을 행사할 경우 주당 23.34달러에 최대 3억400만주를 매입할 수 있다. 현재 주당 170달러가 넘는 테슬라 주가를 기준으로 따지면 450억달러(약 61조2900억원)가 넘는 차익을 거둘 수 있다.

 

WSJ은 머스크가 보유한 스톡옵션의 가치 상승에 따른 이득이 지난해 연간 14억달러(약 1조9068억원)였다고 분석했다. 다만 올해 들어 테슬라의 주가가 약 30% 하락하면서 스톡옵션 가치가 이전보다는 낮아졌다.

 

S&P 500에 속하지 않는 사모펀드 운용사 TPG의 존 윙클리드 CEO는 총보수의 가치가 1억9900만달러(약 2710억원)로, 여기에는 4∼5년에 걸쳐 지급되는 1억8500만달러(약 2520억원) 가치의 주식이 포함됐다. 또 이 보수의 60%는 회사의 주가가 지난해 11월 말 수준에서 50% 이상 올라야 지급된다.

 

WSJ는 이들 기업이 CEO에게 지급한 보수 패키지가 대부분 제한된 주식이나 주식매수청구권(스톡옵션)으로 구성되며, CEO가 최종적으로 받는 주식이나 옵션의 규모는 주가나 재무·영업 실적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CEO가 미리 정해진 목표를 달성하지 못해 보상액이 대폭 삭감되거나 사라진 경우도 있었다. 페이컴 소프트웨어의 채드 리치슨 CEO는 2억1100만달러 규모의 보수 패키지로 2020년 최고 보수를 받은 CEO로 꼽혔지만, 회사 주가가 내려가면서 보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주식을 박탈당했다.

 

한편 이러한 CEO 성과 보상 트렌드를 촉발한 머스크 CEO는 한 테슬라 소액주주의 소송으로 자신의 보상 패키지와 스톡옵션을 모두 토해낼 위기에 놓여 있다. 소송을 심리한 델라웨어 법원이 올해 초 "테슬라의 보상안이 승인되는 절차에 심각한 결함이 있었다"며 스톡옵션 지급안을 무효화했기 때문이다. 테슬라는 오는 6월 13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해당 보상안을 안건으로 다시 상정했다.

 

다만 법원의 최종 판결은 아직 나오지 않았다. 사측은 주주들에게 오는 6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보상안을 재승인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술에 강한 사람, 진화 덕분?…"조상 ‘발효 과일 습성’이 알코올 분해력 40배 높였다”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인류가 ‘술꾼’으로 태어날 수밖에 없었던 비밀이 진화 연구로 확인됐다. 미국 다트머스대와 영국 세인트앤드루스대 공동 연구진이 발표한 최근 논문(ADH4 진화, 발효 과일 섭취 분석)과 BBC, Nature등의 보도에 따르면, 인류의 조상은 나무에서 생활하다가 땅에서 떨어진 발효 과일을 자주 섭취하는 습성이 있었고, 이 결과 아프리카 유인원보다 알코올 분해 효소(ADH4) 활성도가 40배 이상 폭발적으로 향상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땅에 떨어진 ‘발효 과일’이 만든 숙련된 알코올 분해자 연구진에 따르면, 약 1000만년 전 인류 조상이 땅에서 열매를 주워 먹기 시작하면서 자연발효된 과일의 알코올에 노출되는 빈도가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알코올 대사에 관한 효소(ADH4)가 강하게 선택적으로 진화해, 기존 아프리카 영장류에 비해 40배나 강력한 알코올 분해 능력을 갖추게 됐다. 특히 인간은 침팬지 등 나무 위 생활에 특화된 영장류보다 발효 과일 알코올을 더 빨리, 더 많이 대사하는 대사 경로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 실험으로 확인됐다. 진화사의 ‘술친구’…현대인 음주 문화와의 관계 연구 논문에서 “자연적으로 바닥에 떨어진 열매는

[이슈&논란] "보그 표지 장식한 금발 모델은 AI"…패션업계 ‘진짜와 가짜’ 논란, 다양성 후퇴 우려까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8월호 보그(Vogue) 미국판에 게스(Guess)가 실은 광고에서 인공지능(AI)으로 창조한 금발 여성 모델이 등장해 전 세계 패션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화려한 줄무늬 원피스와 백을 든 금발의 완벽한 모델. 하지만 이 화보의 하단에는 ‘AI 모델’임이 조그맣게 적혀 있었고, 이 사실이 대중에 알려지며 논란은 일파만파로 확산됐다. “모델 일자리·현실감 위협”…독자들 항의 쇄도·구독 취소 미국 ABC뉴스, CNN, BBC 등 다양한 매체는 이번 보그의 AI 모델 게재가 현실 모델은 물론 포토그래퍼, 메이크업 아티스트 등 패션 생태계 전체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를 전했다. 실제로 레딧 등 해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현실 여성의 자리를 가짜가 빼앗았다”, “이젠 잡지도 안 본다”며 보그 구독을 해지하는 독자까지 속출했다. 한 틱톡 영상은 270만뷰를 넘기며 AI 모델 논란에 불을 지폈고, “실제 여성도 충분하다. 이제는 실존하지도 않는 ‘완벽한’ 모습을 요구받게 됐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AI 모델, 왜 문제인가?…‘미의 기준’ 획일화·다양성 후퇴 비판 비판의 핵심은 AI 모델이 대체로 ‘백인·금발·이상적 몸매’

테슬라 옵티머스에 삼성전기 ‘카메라의 눈’ 공급…머스크·이재용의 '미래동맹' 전기차·xAI 넘어 피지컬AI까지 '확장'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기가 테슬라와 손잡으며 차세대 인공지능(AI) 로봇 시장의 중심무대에 본격 진입했다. 테슬라가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에 삼성전기가 첨단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AI6 반도체 공급, 삼성전기는 ‘로봇의 눈’을 책임지며, 삼성그룹 전체가 테슬라의 미래 성장 실험장에 깊이 관여하게 됐다. 테슬라 로봇, 삼성전기의 기술을 장착하다 테슬라 옵티머스는 2022년 1세대(젠1)를 시작으로 현재 3세대까지 진화한 첨단 피지컬 AI 기반 휴머노이드다. 테슬라는 아직 외부 판매를 진행하지 않고 있지만, 이미 자체 공장 등에 배치해 실사용 테스트와 성능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2025년 말부터 옵티머스 수천 대를 생산하고, 4년 이내 연간 100만 대에 이를 것”이라는 초대형 생산 계획까지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 거대한 프로젝트에서 ‘환경을 보고 인식하는 눈’ 역할의 카메라 모듈은 삼성전기가 소니 이미지센서 기반 렌즈·구동부 등의 강점을 더해 직접 모듈화해 공급한다. 삼성전기는 이로써 테슬라 전기차에 이어 로봇까지 협업영역을 넓혀, 글로벌 로봇 카메라 시장 넘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