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아이폰15 공개 앞둔 애플 '첩첩산중'…아이폰 '中 금지령' 이어 '해킹 위험'

아이폰 15 공개 앞두고 겹악재… 스파이웨어 페가수스 노출 위험
美 시민단체, 스파이웨어 노출 경고… 즉시 업데이트·잠금모드 전환 권고
중국 불매운동 겹치며 주가도 하락세

중국 난징 애플스토어 [게티이미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는 12일(현지 시각) 신제품 아이폰 15 공개를 앞두고 있는 미국의 애플이 ‘겹악재’를 맞고 위기에 봉착했다.

 

최근 중국 정부가 ‘공무원 아이폰 금지령’을 내려 시가총액 약 1900억달러가 증발하는 시련을 겪고 있는 가운데, 아이폰 등 애플의 제품에서 해킹 취약점까지 발견된 것이다.

 

미국 사이버 보안 공익 단체인 시티즌 랩은 최근 아이폰과 아이패드 등 애플 사의 기기를 점검하던 중 이스라엘 기업인 NSO의 페가수스 소프트웨어에 노출될 수 있는 취약점을 발견됐다고 7일(이하 현지시간) 밝혔다. 

 

페가수스는 각분야 유명인은 물론 언론인, 기업 경영진들의 휴대전화 해킹에 사용되어 온 스파이웨어다. 해커는 페가수스를 통해 다량의 무분별한 문자메시지를 보내고, 이를 수신하는 것만으로 스파이웨어에 감염된다. 감염되면 해커들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메시지를 읽을 수 있고, 카메라와 마이크를 원격으로 조정하고 위치도 추적할 수 있다.

 

시티즌 랩은 이날 성명을 통해 “해당 사실을 애플 측에 알려 회사가 조치를 취했지만, 아이폰 등 기기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이 즉시 장치를 업데이트할 것을 권장한다”면서 “신변 노출 위험이 있는 사람들은 잠금 모드를 활성화하기를 권장한다”고 설명했다.

 

애플도 즉시 7일 긴급 소프트웨어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했다. 

 

애플과 이스라엘 기업 NSO 그룹과의 악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애플은 2021년 11월에도 페가수스 스파이웨어 배후에 있는 이스라엘 기업 NSO 그룹을 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법원에 고소한 바 있다.

 

당시 애플은 NSO그룹이 컴퓨터 사기·남용법과 애플의 아이클라우드 서비스 약관을 위반했다면서 해당 기업에 7만5000달러(약 1억원)의 손해 배상금을 청구하면서 앞으로 아이폰을 포함한 모든 애플 기기를 타겟으로 한 모든 악성 소프트웨어의 개발·배포·사용 영구적으로 금지하라고 요구했다. 이밖에 그간 애플 사용자들의 동의 없이 수집한 모든 데이터를 찾아내 삭제하고 NSO가 해킹으로 얻어낸 정보를 누구와 공유했는지 그 실체를 공개할 것을 요구한 바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NSO는 미국 정부의 제재로 심각한 재정 문제를 겪으면서도 계속해서 애플 운영체제의 약점을 찾아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최근 애플은 러시아에 이어 중국 '공무원 아이폰 금지령'으로 주가에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아이폰15 신제품 출시라는 큰 축제를 앞두고 나온 해킹 소식이라 애플내부에서도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美에너지부에 슈퍼컴 7대 구축·6G 통신 추진…미국내 반도체 리더십 강화 기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선도기업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 아래, 첨단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와 차세대 6G 통신망 구축을 추진하며 미전역의 첨단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최초의 개발자 행사(GTC)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장과 미국 내 반도체·통신 산업 회복을 동시에 노리는 모양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0월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 기조 발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AI 슈퍼컴퓨터 구축으로 핵심 연구 역량 강화 엔비디아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인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 quantum 기반 AI 슈퍼컴퓨터 7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각각 강력한 연산 능력을 갖춘 양자컴퓨팅 시스템으로, 핵무기와 핵 에너지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며, 미국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의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황 CEO는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역량을 에너지 증진과 국방 강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게임체인저'"라고 평가했다. 6G 통신망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