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5 (수)

  • 맑음동두천 12.3℃
  • 구름조금강릉 12.5℃
  • 맑음서울 15.1℃
  • 맑음대전 13.5℃
  • 맑음대구 15.6℃
  • 구름조금울산 15.1℃
  • 맑음광주 17.2℃
  • 구름조금부산 16.8℃
  • 맑음고창 14.8℃
  • 구름많음제주 18.6℃
  • 맑음강화 12.7℃
  • 맑음보은 11.7℃
  • 맑음금산 12.6℃
  • 맑음강진군 13.8℃
  • 맑음경주시 14.0℃
  • 맑음거제 14.2℃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The Numbers] 국내 10대 기업 시총 올들어 103.8% '급증' 한·미·일·대만 중 '톱'…국가별 시총1위, 엔비디아·TSMC·삼성전자·토요타

한국, 작년 말 761.9조원→지난 10월 말 1552.5조원
미국 10대 기업 시총, 모두 1000조원 넘어…증가율은 20.9%로 ‘최저’
엔비디아 시총, 삼성전자의 11배…TSMC도 국내 10대 기업 시총 합계보다 많아
CEO스코어, 2024년 12월 말-2025년 10월 말 국가별 시총 변화 조사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 들어 한국·미국·일본·대만 4개국 10대 기업의 시가총액 증가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 기업의 시총 증가율이 10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두산에너빌리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SK하이닉스, HD현대중공업, 삼성전자 등 5개 기업의 시총 증가율은 100%를 넘었다.

 

미국의 시총 증가율은 20.9%로 4개국 중 가장 낮았지만, 상위 10개사 시총은 모두 1000조원을 넘었다. 미국 1위 엔비디아의 시총은 삼성전자의 11배에 달했다.

 

대만 TSMC의 시총도 1801조원대로 삼성전자의 3배에 달했고, 한국 10대 기업 시총을 모두 합친 것보다 250조원정도 많았다.

 

11월 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올들어 지난 10월말까지 한국과 미국, 일본, 대만 등 4개국의 시총 상위 10개 종목의 시총 증가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761.9조원에서 1552.5조원으로 103.8%에 달했다.

 

한국 기업 가운데 시총 증가율이 가장 큰 곳은 두산에너빌리티로 나타났다. 두산에너빌리티의 시총은 지난해 말 11.2조원에서 지난 10월말 56.8조원으로 405.4%나 급증했다. 이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239.2%), SK하이닉스(221.4%), HD현대중공업(108.7%), 삼성전자(100.4%)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다.

 

국내 기업 가운데 시총 100조원을 넘긴 곳은 ▲삼성전자(636.4조원) ▲SK하이닉스(407.0조원) ▲LG에너지솔루션(110.7조원) 등 3곳이었다.

 

 

한국에 이어 시총 증가율 2위는 대만으로 나타났다. 대만은 2024년 12월 말 1779.8조원이던 시총이 지난 10월 말에는 2480.5조원으로 39.4% 증가했다.

 

대만의 시총 1위 기업은 단연 TSMC였다. 세계 파운드리 1위 기업인 TSMC는 엔비디아·AMD 등 인공지능(AI) 칩 시장을 선도하는 주요 기업들의 생산을 전담하고 있다. 지난 10월 말 기준 시총은 1800.6조원으로 지난해 말 1249.2조원 대비 44.1% 증가했다.

 

특히  지난 10월 말 기준 TSMC의 시총은 국내 상위 10대 기업들을 모두 합친 1552.5조원보다도 248.1조원이나 많았다.

 

시총 증가율 3위는 일본이었다. 2024년 12월 말 1749.6조원이던 일본의 시총은 지난 10월 말 2294.4조원으로 31.1% 증가했다. 일본의 시총 1위 기업은 464.6조원의 토요타자동차(Toyota Motor)였다.

 

미국은 4개국 가운데 시총 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지난해 말 2경9891.6조원이던 시총이 지난 10월 말에는 3경6149.2조원으로 20.9% 증가했다.

 

그러나 미국 10대 기업의 시총은 모두 1000조원을 넘겼다. 특히 시총 1위 엔비디아는 지난달 말 시총이 7013.9조원으로, 국내 1위 삼성전자(636.4조원)의 11배에 달했다. 이어 ▲애플(5732.2조원) ▲마이크로소프트(5562.0조원) ▲알파벳(4844.9조원) ▲아마존(3382.6조원) 순으로 시총이 높았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QS 아시아 대학 순위, 홍콩·중국·싱가포르 상위권·한국 10위권 진입실패…연세대(11위)·고려대(12위)·성균관대(16위)·서울대(17위)·포항공대(18위)·한양대(20위) 順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6년 영국 고등교육 평가기관 QS(Quacquarelli Symonds)가 발표한 아시아 대학 순위에서 한국 대학들은 상위 10위권 진입에 실패하며 아시아 학계의 경쟁 심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평가는 11월 4일 고려대 안암캠퍼스에서 개최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기술과 협력' 고등교육 서밋 행사에서 발표됐다. 한국 대학 순위 및 추이 올해 QS 아시아대학 평가에서 국내 대학 중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한 곳은 연세대로 11위에 올랐다. 그 뒤를 이어 고려대가 12위, 성균관대 16위, 서울대 17위, 포항공대(POSTECH) 18위, 한양대 20위 등으로 집계됐다. 한편, 연세대는 지난해보다 2계단 하락했고, 한양대도 1계단 떨어진 반면, 고려대와 서울대는 각각 1계단 상승, 포항공대는 4계단이라는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전체 평가 대상 한국 대학 103곳 가운데, 올해 순위가 상승한 곳은 31곳, 유지한 곳은 14곳, 하락한 곳은 53곳이며 나머지 5곳은 올해 처음 평가를 받았다. 아시아 대학 상위권 판도 QS 2026 아시아대학 평가 최상위권은 홍콩, 중국, 싱가포르 대학이 독점했다. 홍콩대(University of

[The Numbers] 국회의원 ‘똘똘한 한 채’ 강남4구 28%·다주택자 40%…내로남불형 부동산정책, 신뢰도 '흔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이재명 정부는 출범 이후 세 차례의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6·27 대책으로 대출 규제를 강화하며 집값 안정 기대를 모았으나, 불과 두 달 뒤 발표한 9·7 대책에 대규모 경기부양 조치가 포함되며 집값 상승세가 나타났다. 이어 한 달 후 발표한 10·15 대책은 규제지역 확대와 주택담보대출 제한을 포함했지만, 국지적땜질식 조치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더불어 규제지역 내 고가 아파트를 고위공직자들이 갭투자 등으로 매입한 사실이 드러나며 ‘내로남불’ 논란까지 확산되었다. 이로 인해 정부 부동산 정책의 진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경실련은 2025년 11월 4일 국회의원 부동산재산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내로남불 논란을 넘어, 신뢰받을 수 있는 부동산 정책 수립을 위해 고위공직자의 실사용 외 부동산 매매 금지 등 입법 필요성을 제기하고,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근본적 부동산 대책을 촉구하는 자리로서 의미를 지닌다. 경실련의 분석 결과, 국회의원 신고 부동산재산 평균은 5억원으로, 국민 평균 4.2억원의 4.68배이다. 상위 10명은 1인당 165.8억원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고, 여기에는 박정 더불

[내궁내정] 켈리, 어디까지 아세요?…에르메스 가방·시몬스 침대·인디애나大 경영대·하이트진로 맥주까지 '고급네이밍의 확장'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켈리’라는 이름은 다양한 분야의 브랜드, 제품, 그리고 기관에서 고급스러움과 명품의 상징처럼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에르메스 켈리백, 시몬스 침대 ‘켈리’ 시리즈, 하이트진로 맥주 ‘켈리’, 그리고 미국 인디애나대학교의 ‘켈리 경영대학(Kelley School of Business)’ 등이 주목받고 있다. 켈리 브랜딩 사례와 ‘켈리’란 이름의 유래와 고급스러움의 상징으로 떠오른 이유를 종합적으로 알아봤다. ‘켈리’의 고급스러움과 명품 상징이 된 이유 ‘켈리’가 명품의 상징처럼 쓰이게 된 결정적 계기는 에르메스의 '켈리백' 이후다. 그레이스 켈리라는 이름에서 비롯된 아름다움·우아함·희소성·왕실 이미지가 브랜드 파워를 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