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66조원 성과 보상안' 테슬라 주총서 가결…주주들의 머스크 신뢰 '확인'

머스크, 주총장서 춤 추며 "지지에 감사"
소송 영향은 글쎄…"법인 이전도 변수"
외신 "주가하락에도 머스크 신뢰 보여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게 한화 수십조원대의 성과 보상을 하기로 한 결정을 재승인하는 안건이 테슬라 주주총회에서 가결됐다.


테슬라 측은 13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본사에서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머스크 CEO에게 경영 성과에 따라 수십조원대 가치의 주식매수청구권(스톡옵션)을 지급하기로 한 2018년 보상안(2018 CEO pay package) 재승인 안건이 통과됐다고 발표했다. 테슬라 법인의 텍사스 이전 안건 역시 가결됐다.

 

머스크는 주총장 무대 위에 뛰어올라 춤을 추며 기쁨을 드러냈다. 그는 “젠장, 나는 당신(주주)들을 사랑한다. 우리는 상장기업 중 가장 훌륭한 주주들을 보유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테슬라의 새로운 장(章)을 여는 것만이 아니라, 테슬라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테슬라 측은 두 안건에 대한 구체적인 투표 내역은 공개하지 않았다. 머스크는 소셜미디어 X를 통해 해당 주요 안건들이 “압도적인 차이로 통과되고 있다”고 예고했다.

 

통과된 보상안은 머스크가 테슬라의 매출과 시가총액 등을 기준으로 단계별 성과를 달성하면 12회에 걸쳐 총 3억300만주의 스톡옵션을 받을 수 있다. 이 스톡옵션의 가치는 한때 560억달러(약 77조원)에 달했으나, 이날 증시 종가(182.47달러) 기준으로는 480억달러(약 66조1000억원) 수준이다.

 

머스크 CEO는 2018년 성과 보상안 조건을 충족해 스톡 옵션을 받았으나, 소액주주 리처드 토네타가 해당 결의안에 대해 “중요 정보를 주주에게 알리지 않았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이를 받아들인 델라웨어 주 법원은 지난 1월 보수 지급안을 기각했다. 법원은 기각 이유에 대해 “이사회 결의 과정에서 심각한 결함이 있었고, 이에 따라 이사회의 투명성과 독립성이 우려 된다”고 설명했다.

 

테슬라 이사회는 주주들이 머스크에 대한 보상안을 지지한다는 사실을 증명해 항소심에서 유리한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이 보상안을 재승인하는 안건을 이번 주총에서 투표에 부쳤다.

 

이후 테슬라 이사회는 머스크의 보상안을 다시 비준하도록 주주들에게 로비를 해왔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는 보도한 바 있다.

 

외신들은 테슬라 주주들이 실적 부진과 주가 하락에도 머스크의 보상안에 찬성 표를 던져 그의 리더십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보상안 투표는 권고사항일 뿐 머스크가 실제로 돈을 받을 것이란 보장은 없다. 하지만 해당 보상안은 머스크가 테슬라를 장기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동기부여를 위해 필요하다는 것이 테슬라 이사회의 주장이다. 머스크는 현재 테슬라 주식의 약 13%를 보유하고 있으며 옵션을 행사하면 보유 지분이 약 21%로 늘어날 수 있다.

 

한편 세계 최대 국부펀드 가운데 하나로 테슬라 8대 주주(지분 1%)인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560억달러 보수 지급에 반대하기로 입장을 정하며 머스크의 성과 보상안 가결이 힘들것이란 전망도 나왔었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머스크에 대한 테슬라의 560억달러 급여 보상 패키지는 그 규모와 구조가 ‘키맨 리스크’를 완화하지 못하는 방식"이라며, "오는 13일 주주총회에서 반대표를 던질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