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반유대주의 논란' 머스크, 비공개로 아우슈비츠 수용소 참배

아우슈비츠 찾아 추모한 머스크…'反유대 발언' 파장 수습 '관심'
유럽 유대인협회 토론회도 참석…논란 수습 움직임으로 해석
"나치는 언론·정보 전달 막았다…X는 원하는 말 하도록 허용"

반유대주의 메시지를 X(옛 트위터)에 허용해 논란이 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22일(현지시간) 폴란드 크라코비아크에서 열리는 유럽유대인협회(EJA) 주최 반유대주의 회의에 참석했다. 사진은 일론 머스크가 2024년 1월 22일 폴란드 아우슈비츠를 비공개 방문 모습 [유럽 유대인협회(EJA)]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겸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 소유주가 비공개로 아우슈비츠 비르케나우 수용소를 방문했다. 그는 다른 소셜미디어와 비교해 엑스(X)에 반유대주의 콘텐츠가 더 적다고 주장했다.

 

로이터와 AP통신에 따르면, 머스크는 22일(현지 시각)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열린 유럽 유대인협회(EJA) 토론회에 참석해 "외부 감사 결과 다른 소셜미디어와 비교해 X에 반유대주의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토론회에 참석한 머스크는 "표현의 자유가 있었다면 나치는 가장 먼저 언론과 정보 전달 수단을 막았을 것"이라며 "끊임없이 진실을 추구하고 법을 어기지 않는다면 논란의 여지가 있더라도 하고 싶은 말을 하도록 허용하는 게 X의 목표"라고 밝혔다.

 

또 아우슈비츠 학살 사건에 대해 "인간이 다른 인간에게 이런 짓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슬프고 비극적"이라면서 "소셜미디어가 있었다면 이를 숨기지 못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머스크는 이날 토론회를 앞두고 자신의 3살 아이 엑스아이(X Æ A-Xii)와 유대계 보수 논객 벤 샤피로, 랍비(유대교 율법학자)인 메나헴 마골린 유럽유대인협회(EJA) 회장, 아우슈비츠 생존자인 기돈 레브(88) 등과 함께 폴란드 크라쿠프 근교 오시비엥침에 위치한 아우슈비츠 비르케나우 수용소를 방문했다. 머스크는 이곳에서 추모 촛불을 켜고 묵념한 뒤 대량 학살이 발생한 '죽음의 벽'에 헌화했다. 일정은 비공개로 진행됐다.

 

아우슈비츠 수용소는 2차 세계대전 기간 나치 독일이 유대인 대학살을 자행한 강제수용소 중 가장 악명 높은 곳이다. 이곳에서 약 110만명이 나치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대부분의 희생자는 유대인이었으며, 이 외에 폴란드인, 집시, 소련인 전쟁 포로 등이 포함됐다.

 

머스크는 지난해부터 X에 반유대주의 메시지를 용인한다는 비난을 받았다.

 

앞서 머스크는 지난해 11월15일 ‘유대인 공동체가 백인들의 증오를 부추긴다’는 내용의 반유대주의 음모론 게시글에 “실체적 진실을 말했네요”라고 댓글을 달아 논란을 불렀다.

 

이후 백악관은 "용납할 수 없다"고 비난했고, 머스크는 이후 사과하며 이 발언이 자신이 쓴 "가장 바보 같은" 댓글이었다고 사과의 뜻을 밝혔다. 

 

비영리 유대인 단체인 반(反) 명예훼손연맹(ADL)은 하마스의 이스라엘 공격 이후 X에 반유대주의 게시물의 수가 900% 증가했다고 주장했다.

 

이 사건 이후 미디어 감시단체 미디어매터스가 ‘아돌프 히틀러를 찬양하는 여러 X 계정에서 IBM, 애플, NBC유니버설, 오라클 등 주요 기업들의 광고가 노출됐다’는 보고서를 내놓으면서 논란이 커졌다.

 

이후 IBM, 애플, 디즈니, 워너브러더스디스커버리, 미디어그룹 컴캐스트, 파라마운트글로벌, 영화 제작·배급사 라이언스게이트 등은 X에 대한 광고 집행을 중단하며 X는 심각한 경영위기를 겪었다.

 

이후 머스크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함께 이스라엘의 키부츠(집단농장)를 방문하고 하마스에 억류된 인질 가족과 면담하는 등 반유대주의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머스크의 아우슈비츠 수용소 방문은 자신을 둘러싼 반유대주의 논란을 수습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연구원 없애고 엔지니어만" xAI 직함 파격 개편…머스크發 실리콘밸리 조직문화 ‘지각변동’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에서 ‘리서처(Researcher, 연구원)’라는 전통적 직함을 공식적으로 삭제하고, 모든 기술 직원을 “엔지니어(Engineer)”로 통일한다고 선언한 조치가 글로벌 기술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머스크의 결정은 빅테크 업계 내 연구-엔지니어 직함 경계의 폐지라는 최근 조직문화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 xAI, 연구자와 엔지니어 구분 공식 폐지…”이원화, 실질적 의미 없다” americanbazaar online, ndtv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변화는 xAI 엔지니어 아디트야 굽타가 X(트위터)에 “리서처와 엔지니어를 모집한다”고 공지하자, 머스크가 직접 “이건 잘못된 명칭”이라며 공개적으로 정정한 뒤 즉각 적용됐다. 머스크는 “’연구자’라는 명칭은 본질적으로 2단계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부드럽게 포장한 것”이라며 “이제 모든 기술 인력은 오직 ‘엔지니어’로만 통칭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구자 직함을 “책임이 낮고 허세스러운 학계 용어”라고 비판했고, 실제 스페이스X의 엔지니어링 중심 조직 모델이 혁신 추진에 효과적이었다고 강조했다. AI 산업계, “경계 무너진다”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뉴럴링크, BCI 임상 영국 '상륙'…뇌신경 혁명 가속에 몸값 90억달러 '돌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 인터페이스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 임상실험에 착수했다. 블룸버그, 텔레그래프, CNBC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영국 의료 규제당국의 승인을 득한 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UCLH) 및 뉴캐슬 어폰 타인 병원 NHS 트러스트 등과의 파트너십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중증 척수 손상 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등으로 전자기기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신경계 장애 환자들로, 최대 7명이 대상이다. 뉴럴링크 N1 칩, 머리카락보다 얇은 128개 실로 '생각'을 잡다 임상시험의 핵심인 뉴럴링크 N1 칩은 10펜스짜리 동전 크기 수준이지만, 칩에 연결된 128개의 머리카락보다 얇은 실(threads)이 뇌 속 신경세포에 연결된다. 각 실에는 총 1000개 이상의 전극이 장착돼 뇌에서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이를 디지털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오직 생각만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기기의 커서 이동, 타이핑, 심지어 비디오게임 플레이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