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파랑새 대신 'X'로 트위터 로고 바뀐다…머스크 '슈퍼앱' 구체화?

머스크는 23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트위터는 점진적으로는 모든 새들에게 작별을 고하게 될 것이다. 오늘 밤 충분히 훌륭한 X 로고가 나오면 내일 전 세계에 이를 공개할 것이라며 깜빡거리는 X 이미지를 올렸다. [트위터 캡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 로고를 변경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머스크는 23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우리는 곧 트위터 브랜드, 점진적으로는 모든 새들에게 작별을 고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오늘 밤 충분히 훌륭한 X 로고가 나오면 내일 전 세계에 이를 공개할 것”이라며 깜빡거리는 X 이미지를 올렸다.

 

여기서 새는 트위터의 파랑새 로고를 가리키는 말이다. 트위터라는 단어도 새가 지저귄다는 뜻이다.

 

머스크는 지난 3월에 직원들에게 트위터의 미래비전을 담은 ‘트위터2.0’을 설명하며 “단순 소셜미디어에 그치지 않고, 금융생활의 중심에 자리 잡도록 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후 머스크는 회사 'X 법인'(X Corp)을 새로 설립해 트위터 법인을 이 법인과 합병시킨 바 있다.

 

앞서 머스크는 작년 10월 트위터를 인수한 뒤 중국의 위챗을 예로 들며 “트위터 인수는 슈퍼앱 X를 만들어내는 촉진제”라고 언급했다. 위챗은 중국 내에서 사용자 10억명을 확보한 세계 최대 슈퍼앱이다.

 

로이터 통신은 트위터를 메시징, 상품 결제, 원격 차량 호출 등 광범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슈퍼 앱'으로 만들겠다는 머스크의 비전이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머스크는 트위터의 실시간 음성 커뮤니티 기능 '스페이스'에서도 '트위터 로고를 바꿀 것이냐'는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 질문에 "그렇다. 오래전에 바뀌었어야 했다"라고 답했다.

 

머스크는 지난 4월에도 트위터 로고를 파랑새에서 도지코인 상징인 시바견(시바이누)으로 일시적으로 변경한 바 있다.

 

한편, 트위터에서 해고당한 직원들은 회사를 상대로 퇴직금 소송에 나섰다. 머스크는 트위터 인수 후 비용 절감을 위해 직원 절반 이상을 해고한 바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지난 18일 해고 직원 중 일부는 최소 5억 달러의 퇴직금을 지급할 것을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연구원 없애고 엔지니어만" xAI 직함 파격 개편…머스크發 실리콘밸리 조직문화 ‘지각변동’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에서 ‘리서처(Researcher, 연구원)’라는 전통적 직함을 공식적으로 삭제하고, 모든 기술 직원을 “엔지니어(Engineer)”로 통일한다고 선언한 조치가 글로벌 기술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머스크의 결정은 빅테크 업계 내 연구-엔지니어 직함 경계의 폐지라는 최근 조직문화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 xAI, 연구자와 엔지니어 구분 공식 폐지…”이원화, 실질적 의미 없다” americanbazaar online, ndtv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변화는 xAI 엔지니어 아디트야 굽타가 X(트위터)에 “리서처와 엔지니어를 모집한다”고 공지하자, 머스크가 직접 “이건 잘못된 명칭”이라며 공개적으로 정정한 뒤 즉각 적용됐다. 머스크는 “’연구자’라는 명칭은 본질적으로 2단계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부드럽게 포장한 것”이라며 “이제 모든 기술 인력은 오직 ‘엔지니어’로만 통칭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구자 직함을 “책임이 낮고 허세스러운 학계 용어”라고 비판했고, 실제 스페이스X의 엔지니어링 중심 조직 모델이 혁신 추진에 효과적이었다고 강조했다. AI 산업계, “경계 무너진다”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뉴럴링크, BCI 임상 영국 '상륙'…뇌신경 혁명 가속에 몸값 90억달러 '돌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 인터페이스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 임상실험에 착수했다. 블룸버그, 텔레그래프, CNBC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영국 의료 규제당국의 승인을 득한 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UCLH) 및 뉴캐슬 어폰 타인 병원 NHS 트러스트 등과의 파트너십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중증 척수 손상 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등으로 전자기기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신경계 장애 환자들로, 최대 7명이 대상이다. 뉴럴링크 N1 칩, 머리카락보다 얇은 128개 실로 '생각'을 잡다 임상시험의 핵심인 뉴럴링크 N1 칩은 10펜스짜리 동전 크기 수준이지만, 칩에 연결된 128개의 머리카락보다 얇은 실(threads)이 뇌 속 신경세포에 연결된다. 각 실에는 총 1000개 이상의 전극이 장착돼 뇌에서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이를 디지털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오직 생각만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기기의 커서 이동, 타이핑, 심지어 비디오게임 플레이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