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화성 빙하, 80% 이상 순수 얼음 드러나…'외계 생명체 존재' 및 '우주 진화이론'에 빅임팩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화성의 빙하 80%가 얼음으로 이루어져있다는 우주 과학계에 충격을 안긴 새로운 연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됐다.

 

Daily Galaxy(2025.7.25), Phys.org(2025.7.24), NASA Science, MNRAS(2024.11.26), arXiv(2025.7.18), Universe Magazine(2025.7.25)의 최신 논문과 보도에 따르면 화성의 빙하 대부분이 80%가 넘는 순수 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동시에 별 탄생지인 원시행성 원반에서 생명의 전구체가 될 수 있는 복잡한 유기분자가 대거 검출됐다.

 

이번 연구는 “생명체 씨앗”의 보편성과 태양계 및 외계행성계의 물·유기분자 진화 메커니즘에 대한 관점을 바꾸고 있다.

 

화성빙하, 80% 순수 물 얼음으로 뒤덮여


이스라엘 와이즈만 과학 연구소와 미국 행성과학연구소 공동팀이 《이카루스(Icarus)》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화성 전역에 산재한 ‘먼지로 덮인 빙하’ 5곳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이 빙하의 내부는 80% 이상이 순수 물 얼음이고 상부에 얇은 먼지와 암석층만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존에는 이런 구조물이 암석이 주성분이고 얼음이 부차적일 것으로 여겨졌으나, 새로운 레이더 검출 결과가 통념을 뒤집었다는 평가다. 연구팀은 NASA 화성정찰궤도선(MRO)의 SHARAD 레이더 데이터와 두 가지 전파 특성(파동 속도, 감쇠율)을 조합해 빙하의 성분비를 정밀 산출했다.

 

이번 발견은 “화성의 과거 기후와 빙하기 그리고 현재까지 남은 수자원 고갈의 단서”를 제공함과 동시에, 인류가 화성에 정착할 경우 식수 및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임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케플러-90: 외계 8행성계의 가스 거대행성 질량, 최신 측정 결과

 

외계 행성 분야에서는 NASA와 관련 연구진의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케플러-90 행성계의 외곽 두 가스 행성 질량이 새롭게 산출됐다.

 

10년에 걸친 반사속도와 항성 통과 시각 자료 결합분석 결과 케플러-90g는 15.0±1.3 지구질량(약 0.047 목성질량), 케플러-90h는 203±16 지구질량(약 0.638 목성질량)이라는 정밀치가 제시됐다. 이는 행성계 구조와 형성 진화 모델을 다듬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된다.

 

별 탄생터에서 발견된 17종의 유기분자…생명의 구성요소 우주에 퍼져

 

한편 칠레 아타카마 ALMA 전파망원경을 활용한 연구에서는 V883 오리오니스 원시행성계 원반에서 에틸렌 글리콜, 글리콜로니트릴 등 DNA·아미노산 전구체가 되는 복잡 유기분자 17종이 검출됐다.

 

과거에는 별이 탄생할 때 이런 분자들이 파괴된다고 여겼으나, 이번 연구는 오히려 이런 유기분자들이 원시행성계 원반에까지 살아남아 새 행성과 혜성 등에 포함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생명 씨앗'이 개별 행성계 국소 현상이 아니라, 우주 전체에 걸쳐 흔하다는 근거다.

 

과학계, “생명은 우주적 현상”…화성, 물의 행성에서 ‘생명의 요람’으로?

 

전문가들은 "화성과 같은 행성에서 많은 순수 얼음이 존재한다는 점과, 원시행성계에서 생명의 전구체가 대량 검출됐다는 점은 우주에 생명이 흔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이런 수치와 결과는 향후 화성 유인 탐사 및 외계 생명체 연구는 물론, 우주 물질 진화이론의 수정에도 큰 임팩트를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주가 곧 생명의 산실(産室)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데이터”라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이번 연구들은 앞으로 우주탐사 및 생명기원 연구의 판도를 바꿀 역사적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누리호 기술 240억원에 한화에어로 이전…‘한국판 스페이스X’ 향한 민간 우주산업 전환 '가속'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14년간 독자 개발한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II)’의 전 주기 기술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240억원에 이전하면서 국내 우주산업이 정부 주도 연구개발(R&D) 단계에서 민간 주도의 산업화 단계로 본격 전환하는 분수령을 맞았다. 누리호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약 2조원이 투입되고 300여개 민간기업이 참여해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로, 2023년 3차 발사에서 1톤 이상 실용위성을 자체 기술로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세계 7번째 자력 위성 발사국 반열에 올랐다. 이번 기술 이전 대상에는 설계, 제작, 발사 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누리호 기술과 방대한 기술문서 1만 6050건이 포함됐으며, 발사대와 추진·엔진 시험설비, 업체별 고유기술 등은 제외됐다. 기술료 산정은 누리호 개발에 투입된 연구개발비인 204억원을 기본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전문기관의 엄정한 가치평가를 거쳐 최종 240억원으로 합의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2032년까지 누리호 제작 및 발사 권한인 통상실시권을 확보, 누리호 시리즈의 상업적 양산과 발사, 유지보수를 전담하며 ‘한국판 스페이스X’로

머스크의 정치 복귀 시나리오, 투자자들에 공식 '경고'…4000억달러 몸값 스페이스X 시대의 '숨은 그림자'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최근 실시한 투자자 대상 주식공개매수(tender offer) 안내문에 일론 머스크 CEO의 정치 복귀 가능성을 '위험 요인'으로 명시해 글로벌 투자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블룸버그, 로이터 등 복수의 해외 유력 매체들은 7월 22일(현지시각) 스페이스X가 “머스크가 향후에도 정부 또는 유사한 역할을 맡아 상당한 시간과 역량을 할애할 수 있다”는 문구를 투자자 문서에 처음 삽입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이같은 공식 언급은 스페이스X가 지금껏 공개매수 설명서에 한 번도 넣지 않았던 항목으로, 머스크의 정계 재진출 시도나 정책적 영향력 강화가 기업 경영과 투자에 적지 않은 변수로 작동할 수 있음을 내부적으로 인정한 첫 사례다. 배경: 트럼프 행정부 고문→정계 갈등→신당 선언 문서에는 머스크가 과거 트럼프 행정부 시절 대통령의 최측근 고문이자 정부효율부(DOGE) 책임자로 활동하며 연방 정부 구조조정에 깊숙이 관여했고, 앞으로도 비슷한 역할에 집중할 수 있다는 대목이 명확히 적시되어 있다. 실제 그는 올해 7월 신당 창당 사실을 밝혔고, 정치 활동을 공식적으로 시사한 바 있다. 최근 머스크는 트럼프 전 대통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