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8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세계 최대의 화성 운석, 소더비에서 60억원 낙찰…‘붉은 행성’의 증거, 지구와의 연결고리 찾을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3년 11월 서아프리카의 사하라 사막 남쪽 니제르 한가운데서 우주 암석 사냥꾼에 의해 발견된 “NWA 16788”이 전 세계 과학계와 수집가를 열광시키고 있다.

 

ABC News, BBC, Space.com, CNN 등 주요 외신과 미국 소더비 공식 경매 데이터, 메테오리티컬 불리틴(Meteoritical Bulletin) 발표등을 종합한 결과에 따르면, 이 운석은 24.67kg(54파운드), 375x279x152mm(약 14.7x11x6인치) 크기로, 공식적으로 확인된 화성 운석 중 단일 최대 크기라는 점에서 그 존재만으로 커다란 화제를 모았다.

 

표면에는 붉은색을 띤 용융 각피(fusion crust)와 대기권 돌입 시 생긴 독특한 함몰(레그매글립트)이 그대로 남아 있어 “화성의 실제 단면”으로 평가된다.

 

사라질 뻔한 우주 보물, 경매시장서 부활

 

2025년 7월 16일(현지시간), 뉴욕 소더비 경매에서 NWA 16788은 430만 달러(60억원)에 낙찰됐다. 수수료·세금 포함 가격은 530만 달러까지 치솟았다. 이는 역대 경매에 출품된 운석 중 최고가 기록이자, 기존 추정가 200만~400만 달러를 훨씬 뛰어넘은 결과다. 해당 암석은 알려진 모든 화성 운석의 약 6.5%를 차지하며, 그 ‘우주적 희소성’에서 천문학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NWA 16788의 낙찰가는 이전까지 14.51kg로 기록된 Taoudenni 002(말리산)보다 70%나 큰 크기에 의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공식 등록된 화성 운석은 약 400개, 전체 운석(7만7000여 개)의 0.5%도 되지 않는다.

 

1억4000만 마일, 화성에서 온 사신


이 운석은 화성 표면을 강타한 소행성 충돌로 우주로 날아올랐다가, 1억4000만 마일(2억2600만km)이라는 어마어마한 거리를 날아와 사하라 사막 한복판에 “착륙”했다.

 

전문가들은 “화성에서 지구까지 운석이 실제로 도달할 확률은 극히 낮다”며, 이러한 대형 샘플이 바다 대신 육지에 떨어져 발견된 것은 과학계의 큰 행운이라고 평가한다.

 

 

'지질학적 타임캡슐'의 과학적 가치…느린 냉각이 남긴 우주 화석

 

이 화성 운석은 오랜 시간 화성 지각의 마그마가 서서히 냉각되며 만들어진 ‘조립질’ 광물구조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 마치 5억년 전 화성의 모습을 보여주는 ‘지질학적 타임캡슐’로 평가받는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NWA 16788을 올리빈-미소가브로 셔가타이트(olivine-microgabbroic shergottite)로 분류한다. 

 

이 운석의 주된 광물학적 특징은 아래와 같이 분석된다.

 

휘석(Pyroxene)이 전체의 61.1%를 차지하며, 화성 마그마가 식으면서 주도적으로 성장한 광물이다. 휘석은 화성 내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암석 형성 광물 중 하나로, 내부 구조를 통해 마그마의 냉각 속도와 화학적 변화 과정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마스켈리나이트(Maskelynite)는 21.2%로, 높은 충격 변성 작용(소행성 충돌 등)으로 결정구조가 유리로 전환된 사장석이다. 이는 화성 표면에서의 극적인 충돌이 NWA 16788의 일생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올리빈(Olivine)은 15.3%로, 고온에서 먼저 결정화되는 광물이다. 화성의 화산지대에서 비롯된 운석이라는 사실을 이 구성비가 뒷받침한다.

 

그 외(인산염, Fe-Cr-Ti 산화물, 피로타이트 등의 미량 광물)의 성분이 전체에서 2~3% 남짓 포함되어 있으며, 금속 원소나 인이 화성의 화학적 다양성을 반영한다.

 

이 운석은 가브로계 셔가타이트(gabbroic shergottite)와 포이킬리틱 셔가타이트(poikilitic shergottite) 사이의 중간적 특성을 보인다. 연구진은 이를 통해 현재의 화성 운석 분류법이 미완성임을 시사하고, 향후 대륙의 암석 분류체계처럼 세분화될 가능성도 점친다.

 

특히, 결정입자 간의 미세한 충격흔적과 21%가 넘는 마스켈리나이트(유리질 변환 사장석)가 강력한 충돌의 물증을 제시한다.

 

실제로 서울대 등 국내외 연구진이 참여한 논문(LPSC 2025, Meteoritical Bulletin, 2024년 6월 등)에 따르면, 20%가 넘는 마스켈리나이트의 존재와 미세한 충격흔적은 NWA 16788이 잠시도 순탄치 않은 ‘화성의 역동적 지질사’를 전하는 증거로 지목된다.

 

‘우주+예술+과학’ 투자 열풍…그 뒷이야기


익명의 낙찰자에 의해 새 주인을 찾은 NWA 16788은 이미 이탈리아(아레초), 상해(샹하이 천문박물관) 등에서 전시된 바 있다. 시장에서는 최근 “우주 미술품”을 예술·투자·과학이 결합된 새로운 자산군으로 보는 경향이 뚜렷하다.

 

소더비 경매에 동참한 경쟁자 상당수는 고액 자산가, 미술품 수집가, 과학자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과학계는 일반 매각이 연구의 기회상실로 이어질까 우려를 내비쳤고, 판매 이후 샘플 일부가 과학 커뮤니티에 기증될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인류, 화성과의 ‘실시간 연결고리’ 가질 수 있을까?


운석 하나를 둘러싼 관심은 단순한 화석 수집의 차원을 넘어선다. NASA의 최근 심우주(딥스페이스) 광통신 실험은 1억4000만 마일의 장벽을 단숨에 넘는 초고속(25Mbps) 데이터 전송 성공 소식을 전하며, 머지않은 미래의 화성 미션이 단절 없는 ‘쌍방향 교류’ 시대로 나아가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 과학적, 예술적, 경제적 가치는 단순 운석이 아닌 우주·인류·자본이 새롭게 교차하는 시대적 아이콘임을 입증했다. 앞으로 이 ‘붉은 행성’ 조각이 과학계에 어떤 영감을 더할지 기대를 모은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중국 특수’에 항공사 희비…대한항공·아시아나 ‘훨훨’ vs 에어부산 ‘추락’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3분기 항공사 실적이 ‘중국 특수’에 따라 극명하게 엇갈렸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중국 노선 회복에 힘입어 여객수와 수익성이 모두 개선된 반면, 지방 기점 노선 중심의 에어부산은 정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1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5.8% 증가한 6조3,506억원, 영업이익은 6,160억원으로 7.5% 감소했다. 이는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인한 외화손실과 국제선 운임 하락 탓이다. iM증권은 대한항공의 영업이익을 4,687억원으로 추정하며, 환율 10원 상승 때마다 약 3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대형 항공사들의 중국 노선은 급격한 회복세를 보였다. 인천공항의 3분기 여객 수송 실적에서 중국 노선 여객은 17% 증가했으며, 대한항공은 같은 기간 약 7%의 여객 증가를 기록했다. 특히 9월에는 부산~베이징 노선 운항을 전년 대비 2배로 확대해 승객 수가 136%(1만4809명) 급증했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3분기 총 여객 57만명 증가라는 성과를 올렸다.​ 반면 에어부산은 중국 노선 경쟁에서 밀리며 승객이 64만명 급감했다. 부산 등 지방공항

[우주AtoZ] 인류가 외계인과 접촉할 수 없는 이유…NASA, ‘급진적 평범함’ 이론으로 '페르미 역설' 새롭게 해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NASA 천체물리학자가 인류가 외계 문명과 접촉한 적이 없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발적인 새로운 이론을 제안했다. 외계 문명이 우리에게 도달하려는 시도에 단순히 지루함을 느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른바 "급진적 평범함" 가설은 외계 문명이 인류보다 훨씬 더 발전하지 않았으며, 거의 응답을 받지 못한 후 비용이 많이 드는 장기적인 우주 탐사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잃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NASA의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소속 메릴랜드대학 볼티모어 카운티 박사인 로빈 코벳(Robin Corbet) 연구진이 발표한 이른바 '급진적 평범함(radical mundanity)' 이론은 외계 문명의 침묵, 소위 '페르미 역설'에 대해 신선하면서도 도발적인 해석을 내놓았다. 코벳 박사는 "외계 문명들이 우리보다 약간 상위의 기술력을 갖췄지만 그 이상의 극단적 진보는 이루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즉, 외계 문명들이 인류와 크게 다르지 않은 기술 수준에 머물러 있어 우주 탐사와 타 문명 접촉에 드는 막대한 시간과 자원 대비 즉각적인 보상이 없자 '지루함'으로 인해 연락 시도를 중단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코벳

윤영빈 우주청장 "2032년 달·2045년 화성 간다"…우주항공 강국 도약 '재확인'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우주개발 강국으로 도약을 꿈꾸는 대한민국이 2025년 11월 27일 예정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으로 우주수송역량을 대폭 강화한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1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누리호 4차 발사를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발사는 우리나라 최초로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 제작 총괄을 담당하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정부와 민간의 협력체제가 본격 가동되는 계기로 평가된다.​ 성공의 의미와 기대효과 누리호 4차 발사는 우리나라 우주개발 정책의 중요한 분기점으로 꼽히며, 기술적 신뢰성을 높이는 계기이다. 지난 3차 발사까지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주관했지만, 이번부터 민간 기업이 총괄하는 등 우주 산업의 민간 주도 전환을 예고한다. 이를 통해 2026년과 2027년 각각 5차, 6차 발사가 연이어 추진되어 누리호의 신뢰성을 높이고, 향후 우주탐사와 상업적 우주수송 서비스에 필수적인 기술 기반을 공고히 할 계획이다.​ 국내외 기술 및 산업적 추진 현황 누리호 4차 발사에는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산‧학‧연이 개발한 12기 큐브위성 등 다수의 위성들이 탑재될 예정이다. 이로써 우주

한화 방산 3총사 한화에어로·한화시스템·한화오션, ADEX 2025에서 AI 기반 첨단 무기체계 대거 공개…국산 '소버린 AI' 구축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화그룹 방산 3사(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오션)가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인공지능(AI) 기술이 접목된 첨단 무기체계를 대거 선보인다. 인구 감소에 따른 병력 감소와 미래 전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AI 기반 자주국방 체계 구축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이번 전시는 1960㎡ 규모로 역대 최대 부스에 10개 존이 운영되며, 육·해·공·우주 전 분야에 걸쳐 첨단 무기와 AI 방산 생태계 비전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전시관은 AI를 상징하는 대문자 A 형태로 설치되며, 정중앙의 스페이스존을 중심으로 ▲정밀유도무기(PGM) 존 ▲유무인 복합(MUM-T) 존 ▲K9솔루션 존 등 총 10개 존으로 구성된다. 특히 차세대 수출 전략 무기인 '배회형 정밀유도무기(L-PGW)'가 처음 공개된다. L-PGW는 다연장로켓 천무 3.0에 적용되는 핵심 부품으로, 80㎞급 로켓 몸체 앞에 자폭 드론이 탑재되어 AI로 표적을 감시·정찰하며 위성 데이터링크를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 타격 시 자폭 드론이 분리·발사되는 혁신적 개념으로 2028년 실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