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일론 머스크, MS에 '선전포고'···트위터 vs MS, '플랫폼 전쟁' 본격화

일론 머스크는 자신의 트위터에 "MS가 트위터 데이터를 불법적으로 사용해 AI를 훈련하고 있다. 이제는 소송해야 할 시간(Lawsuit time)"이라고 경고했다. [트위터 캡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마이크로소프트(MS)를 고소하겠다며 선전포고를 날렸다. 

 

표면적인 이유는 '온라인 데이터 도용'으로 문제삼았지만, 챗GPT 같은 인공지능(AI) 미래시장을 놓고 벌이는 일종의 자존심 싸움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19일(현지 시각) 머스크는 자신의 트위터에 MS가 트위터 데이터를 불법적으로 사용해 AI를 훈련하고 있다며 ‘이제는 소송해야 할 시간(Lawsuit time)’이라고 경고했다.

 

머스크의 이 같은 발언은 전날 MS가 자사 광고주 플랫폼에서 트위터를 제외할 것이라고 발표한 직후 이뤄졌다.

 

MS는 오는 25일부터 광고주 플랫폼 스마트캠페인에서 더 이상 트위터를 지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광고주들은 그동안 이 플랫폼을 통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링크트인 등 소셜미디어 광고를 통합 관리하고 고객 메시지에 답변할 수 있도록 했는데 여기서 트위터를 빼기로 한 것.

 

앞서 일론 머스크 CEO는 지난 12월에도 AI 기업들이 트위터 데이터를 무단으로 사용하고 있는 점을 지적한 바 있다.

 

당시 머스크는 "오픈AI가 AI 모델 학습을 위해 트위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면서 "앞으로 AI 기업들이 무단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금지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트위터는 29일부터 데이터를 외부에서 수집할 수 있는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접근권을 유료화하는 ‘구독’ 정책을 전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자사 API에 접근하려면 월 4만2000달러(약 5500만원)를 내라는 것이다.

 

이에 대해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투자사인 MS는 구독을 하지 않겠다고 맞섰다.

 

한발 더 나아가 MS도 광고 플랫폼에서 트위터를 빼버리는 일종의 보복조치를 취한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삼성전자, 일론 머스크 xAI 맞춤형 AI 칩 제조 협상중…테슬라 성공 발판·AI 실리콘 시장 선점 노린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와 맞춤형 AI 칩 제조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논의는 삼성전자가 테슬라와 체결한 165억 달러 규모의 AI6 칩 생산 계약의 성공을 바탕으로 한 행보로, 한국 파운드리 사업의 실적 반등과 글로벌 AI 칩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계약은 머스크가 지난 7월 발표한 테슬라 AI6 칩 생산을 위한 165억 달러, 2033년까지 장기간 협력 계약과 같은 맥락에서 삼성의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에서 진행된다. AI6 칩은 성능은 12%, 전력 효율은 25%, 칩 면적은 8% 개선된 삼성의 2nm SF2 공정으로 생산되며, 테슬라의 첨단 자율주행 시스템,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 대형 AI 연산 인프라에 탑재될 예정이다. 머스크는 "165억 달러는 시작일 뿐, 실제 생산 규모와 매출은 이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xAI와의 협상은 맞춤형 AI 칩에 대한 업계 전반의 선호 증가 추세와도 맞물린다. 최근 AI 클라우드, 대규모 모델 연산 등에 특화된 ASIC(주문형 반도체)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

[랭킹연구소] 국내기업 AI 경쟁력 순위 TOP10…삼성·네이버·LG·크래프톤·KT·쿠팡·현대차·삼성SDS·SKT·스트라드비젼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중 AI(인공지능) 관련 특허, 논문, 인력 등 전 부문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보이며, 독보적인 AI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에 이어 네이버와 LG도 AI와 관련한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 국내 기업들도 구글·MS 등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해서는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 기업은 물론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와 정책지원 등이 절실한 실정이다. 1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대상으로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범국가적으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프로젝트들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국내 주요 기업의 AI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마련됐다. CEO스코어에서는 주요 기업의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인력 ▲AI 전공인력 등 총 6개 부문으로 나누어,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