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마이크로소프트, 800억 달러 AI 인프라 투자로 오픈AI 의존 탈피…"AI 자립 선언”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2025 회계연도에 무려 800억 달러(약 108조원)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를 단행하며, 오픈AI(OpenAI) 의존에서 벗어나 자사 첨단 인공지능 역량을 직접 키우려는 강력한 전략적 방향 전환에 나섰다. 이번 투자는 단일 기업 기준 역대 최대 AI 인프라 투입액으로, 미국 내 총 회사 투자액의 50%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CNN, CNBC, Reuters, AIbase, Techbuzz, Lucidity Insights, Statista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가 계획 중인 신규 컴퓨팅 클러스터는 지금까지 자사의 MAI-1-preview 모델 훈련에 사용된 1만5000개 엔비디아(Nvidia) H100 GPU보다 6~10배 큰 규모로, 글로벌 경쟁사인 구글(Alphabet), 메타(Meta), 일론 머스크의 xAI가 개발하는 첨단 AI 모델과 동등한 수준의 인프라를 목표로 한다.

 

실제로 메타와 구글, xAI 등은 10만~15만개에 달하는 GPU 클러스터로 AI 훈련을 진행해왔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그간 오픈AI에 대한 기술 및 인프라 의존도를 줄이고, 자사 AI 기술을 프런티어 경쟁까지 끌어올리기 위한 위기감과 의지를 그대로 반영한다.

 

AI 인프라 시장의 투자 경쟁도 사상 최고조다. 2025년 기준 아마존(Amazon)이 약 1000억 달러, 구글(Alphabet) 850억 달러, 메타(Meta) 650억 달러, 마이크로소프트가 800억~1200억 달러를 투입해 전 세계 빅테크 4개사가 AI 인프라에만 총 3640억~4000억 달러를 지출할 전망이다.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 주가는 AI 인프라 확대와 클라우드 실적 덕분에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의 시가총액은 4조 달러를 돌파했다. 핵심 경쟁사는 AI 칩 클러스터의 대형화와 맞춤형 기술 경쟁으로 진화하는 중이다.

 

이번 투자와 맞물려 마이크로소프트는 오픈AI와의 전략적 관계도 재편했다. 2025년 9월 비구속적 양해각서(MOU) 체결로 오픈AI는 이젠 마이크로소프트 독점 구조를 벗어나 자본 유치 및 사업 확장에 더 큰 자유를 갖게 됐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체 멀티모델 AI 전략 아래 첫 번째 독자 모델(MAI-Voice-1, MAI-1-preview)을 올 8월 선보였다. MAI-Voice-1은 단일 GPU에서 1초 내에 고품질 오디오를 생성, Copilot Daily 팟캐스트를 비롯한 서비스에 적용 중이고, 텍스트 기반 MAI-1-preview는 벤치마크 사이트 LMArena에서 13위를 기록했다. 뿐만 아니라, 구글 등에서 우수 평가받는 앤트로픽의 클로드(Claude) 모델도 Office 365에 도입해 독자 및 외부 모델을 융합해 활용하는 전략으로 전환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AI 독립을 위한 기술 내재화에 속도를 내는 또 한 가지 방법은 맞춤형 반도체다. 최근 공개된 Maia 100 AI 가속기는 1050억 트랜지스터를 탑재해 Nvidia 의존도를 줄이고, ARM기반 Cobalt 100 서버용 CPU는 일반 클라우드 업무에서 40% 높은 에너지 효율을 제공한다. 이처럼 칩 수직 계열화를 추진하면서 AI 모델 효율성 강화 및 비용 절감, 생태계 확장까지 노리는 셈이다.

 

마이크로소프트 AI 무스타파 술레이만(Mustafa Suleyman) CEO은 사내 타운홀 미팅에서 “전 세계적 수준의 첨단 AI 모델을 직접 구축할 수 있어야 한다”며, 파트너십 이점과 내부 역량 균형의 필요성을 직접 언급했다.

 

사티아 나델라(Satya Nadella) CEO 역시 “실용주의를 바탕으로 다양한 모델을 활용하되, 궁극적으로 AI 독립을 위한 인프라 확장에 회사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산업 전문가들은 이러한 전략 전환을 ‘AI 자립’ 시대의 서막으로 평가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美에너지부에 슈퍼컴 7대 구축·6G 통신 추진…미국내 반도체 리더십 강화 기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그래픽처리장치(GPU) 선도기업 엔비디아가 미국 정부와 긴밀한 협력 아래, 첨단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와 차세대 6G 통신망 구축을 추진하며 미전역의 첨단 과학기술 경쟁력을 강화하는 전략을 본격화했다. 이번 행사는 미국 워싱턴에서 개최된 최초의 개발자 행사(GTC)로, 글로벌 기술 리더십 확장과 미국 내 반도체·통신 산업 회복을 동시에 노리는 모양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10월 28일(현지시간) 워싱턴DC 월터 E. 워싱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개발자행사(GTC) 기조 발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AI 슈퍼컴퓨터 구축으로 핵심 연구 역량 강화 엔비디아는 에너지부 산하 연구소인 아르곤 국립연구소와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 quantum 기반 AI 슈퍼컴퓨터 7대를 설치하기로 했다. 이 슈퍼컴퓨터들은 각각 강력한 연산 능력을 갖춘 양자컴퓨팅 시스템으로, 핵무기와 핵 에너지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며, 미국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의 핵심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전망이다. 황 CEO는 "이 프로젝트는 미국의 역량을 에너지 증진과 국방 강화를 동시에 지원하는 '게임체인저'"라고 평가했다. 6G 통신망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