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시민권 박탈하라"…뿔난 캐나다인 27만명 서명 '동참'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캐나다 시민권을 박탈해야 한다는 온라인 서명이 급증하고 있다. 현재까지 27만명 이상이 서명했다.


캐나다 의회 청원 사이트에 따르면 머스크 CEO의 캐나다 시민권을 철회해달라는 청원에 25일(현지시간)  27만명이상이 서명했다. 24시간도 지나지 않아 4만명 가량 증가한 것으로, 캐나다 현지 언론 및 주요 외신들이 청원 사실을 보도하며 서명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이번 청원은 캐나다 신민주당(NDP) 소속 찰리 앵거스 의원이 지난 2월 20일 발의했으며, 오는 6월 20일까지 진행된다.

 

앵거스 의원은 청원서에 “머스크 CEO는 캐나다의 국가 이익에 반하는 활동에 참여했다. 그는 자신의 부와 권력을 이용해 우리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이제 캐나다의 주권을 없애려는 외국 정부의 일원이 됐다”며 “캐나다 시민인 우리 서명자들은 캐나다 총리에게 머스크 CEO의 이중 국적 지위를 철회하고 그의 캐나다 여권을 즉시 회수할 것을 촉구한다”고 적었다.

 

머스크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X(옛 트위터)에 “캐나다는 진짜 나라가 아니다(Canada is not a real country)”며 머스크의 캐나다 시민권을 취소해달라는 캐나다 의회 청원 서명자가 17만명을 넘어섰다는 기사를 리트윗했다. 이후 청원에 동의하는 사람은 증가해 미국 동부시간 25일 10시30분 기준 27만6000명이 청원에 서명했다.

 

1971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태어난 머스크 CEO는 18세 생일 직전에 캐나다로 이주했고, 캐나다 출신인 어머니를 따라 캐나다 시민권을 취득했다. 이후 2002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해 현재 이중 국적을 지니고 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역시 캐나다가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의 51번째 주(州)가 되면 된다고 밝혀 논란이 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최근 “농담이 아닌 실제 상황”이라고 경고했다.

 

머스크 CEO 역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동조하고 있다. 그는 트뤼도 총리가 지난달 7일 X를 통해 “캐나다가 미국의 일부가 될 가능성은 눈곱만큼도 없다”고 밝히자 “당신은 더 이상 캐나다의 주지사가 아니다. 그러니 당신이 말하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고 댓글을 달았다.

 

다만 머스크의 시민권이 실제 취소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CNN은 캐나다의 시민권 취소 선례가 거의 없다고 전했다. 2014년 국가 안보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이중국적자에 대한 시민권 박탈 조항이 추가됐으나 저스틴 트뤼도 캐나다 총리의 공약사항으로 2017년 해당 조항이 삭제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