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머스크 "테슬라 밖에서 AI 만들겠다"…'지분 확대 요구' 엄포

머스크, AI·슈퍼컴 만들려면 테슬라 의결권 25% 돼야
4억1100만주, 지분 13%…테슬라 지배력 강화 움직임 해석

사이버 트럭 출시 행사장에서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테슬라]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 개발을 위해, 자신이 보유한 테슬라의 지분 확대를 요구했다.

 

최소한 25%의 의결권을 확보하지 않고는 테슬라를 인공지능(AI)과 로봇 공학 선두주자로 발전시키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는 머스크의 엄포라고 해석하고 있다.

 

15일(현지 시간) 머스크는 X(옛 트위터)를 통해 "25% 의결권도 없이 테슬라를 AI와 로봇공학 분야 리더로 성장시키는 것이 불편하다"면서 "현재 지분으로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는 있지만, 내 의지를 관철할 정도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상황이라면 테슬라 밖에서 제품을 만들 수밖에 없다"며 "테슬라는 하나의 스타트업이 아니라 12개의 스타트업이 집합이라는 사실을 투자자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블룸버그는 "머스크의 발언은 테슬라의 지분을 더 확대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CNBC에 따르면 머스크 CEO는 현재 테슬라 주식의 약 13%에 해당하는 4억1100만주를 보유하고 있다. 단일 주주로는 최대다.

 

CNBC는 "머스크 CEO가 2022년 테슬라 주식을 매각해 트위터 매수 자금을 조달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큰 지분"이라고 설명했다.

 

또 머스크 CEO는 별도 게시물을 통해 25% 의결권을 확보하기 위해 차등 의결권 구조도 괜찮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기업공개(IPO) 이후에는 의결권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들었다고 덧붙였다.

 

테슬라 도조 컴퓨터는 25개의 D1 칩(위에서 세번째 판)으로 구성된 ‘훈련 타일’이 거대하게 연결된 구조다. [테슬라]

 

그간 머스크 CEO가 테슬라를 자동차 회사가 아닌 AI, 로봇 공학 회사라고 주장한 것과 배치되는 발언이다. 평소 발언과 반대되는 주장을 들고나오기까지 하면서 주식 지분 확대를 이야기한 이유는 테슬라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CNBC는 "테슬라를 더 많이 통제하려는 머스크의 희망은 올해 테슬라 이사회에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머스크가 테슬라를 12개 스타트업의 집합이라고 규정한데는 테슬라가 매우 다양한 프로젝트를 하고 있어서다. 현재 테슬라는 자율주행 차량 외에 옵터미스 로봇과 자율주행 시스템을 학습시키는 이른바 슈퍼컴퓨터 ‘도조(Dojo)’를 개발하고 있다.

 

애널리스트는 이 두가지 프로젝트에 대한 가치를 약 5000억달러(665조원) 정도로 평가하고 있다. 현재 테슬라 시가총액은 약 6858억달러(912조원)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연구원 없애고 엔지니어만" xAI 직함 파격 개편…머스크發 실리콘밸리 조직문화 ‘지각변동’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에서 ‘리서처(Researcher, 연구원)’라는 전통적 직함을 공식적으로 삭제하고, 모든 기술 직원을 “엔지니어(Engineer)”로 통일한다고 선언한 조치가 글로벌 기술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머스크의 결정은 빅테크 업계 내 연구-엔지니어 직함 경계의 폐지라는 최근 조직문화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 xAI, 연구자와 엔지니어 구분 공식 폐지…”이원화, 실질적 의미 없다” americanbazaar online, ndtv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변화는 xAI 엔지니어 아디트야 굽타가 X(트위터)에 “리서처와 엔지니어를 모집한다”고 공지하자, 머스크가 직접 “이건 잘못된 명칭”이라며 공개적으로 정정한 뒤 즉각 적용됐다. 머스크는 “’연구자’라는 명칭은 본질적으로 2단계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부드럽게 포장한 것”이라며 “이제 모든 기술 인력은 오직 ‘엔지니어’로만 통칭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구자 직함을 “책임이 낮고 허세스러운 학계 용어”라고 비판했고, 실제 스페이스X의 엔지니어링 중심 조직 모델이 혁신 추진에 효과적이었다고 강조했다. AI 산업계, “경계 무너진다”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뉴럴링크, BCI 임상 영국 '상륙'…뇌신경 혁명 가속에 몸값 90억달러 '돌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 인터페이스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 임상실험에 착수했다. 블룸버그, 텔레그래프, CNBC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영국 의료 규제당국의 승인을 득한 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UCLH) 및 뉴캐슬 어폰 타인 병원 NHS 트러스트 등과의 파트너십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중증 척수 손상 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등으로 전자기기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신경계 장애 환자들로, 최대 7명이 대상이다. 뉴럴링크 N1 칩, 머리카락보다 얇은 128개 실로 '생각'을 잡다 임상시험의 핵심인 뉴럴링크 N1 칩은 10펜스짜리 동전 크기 수준이지만, 칩에 연결된 128개의 머리카락보다 얇은 실(threads)이 뇌 속 신경세포에 연결된다. 각 실에는 총 1000개 이상의 전극이 장착돼 뇌에서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이를 디지털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오직 생각만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기기의 커서 이동, 타이핑, 심지어 비디오게임 플레이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