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8 (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알리바바, 조 단위 AI모델 Qwen3-Next·첫 휴머노이드 로봇 R1 공개…AI·로봇 '글로벌 경쟁'서 존재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 거대 기술기업 알리바바가 2025년 9월 11일 역대 최대 규모의 인공지능 모델인 Qwen3-Next와 자회사 앤트그룹을 통해 개발한 첫 번째 휴머노이드 로봇 R1을 동시에 공개하며 AI와 로봇공학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alizila, South China Morning Post, DEV Community, Tech Wire Asia, Dataconomy Media, The Verge에 따르면, Qwen3-Next는 1조개 이상의 파라미터를 가진 초대형 언어 모델로, 기존 Qwen3 시리즈 모델 대비 연산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장기 문맥을 이해하는 데 최적화된 혁신적인 모델 아키텍처를 바탕으로 설계됐다.

 

해당 모델은 8000억개 파라미터급으로 추정되던 전작보다 10배 빠른 처리 속도와 90% 낮은 훈련 비용을 실현했으며, 국내외 언어 이해, 복잡한 지시 수행, 다국어 처리 능력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이고 있다. 특히, Qwen3-Next-80B-A3B 버전은 3억개 활성 파라미터만 사용해 효율을 극대화하는 하이브리드 구조를 도입해 비용과 속도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는 평가다.

 

이로써 알리바바는 오픈AI의 GPT-4.5(5~7조 파라미터 추정)와 견줄 만한 첨단 모델 라인업에 진입하게 됐다.

 

로봇 부문에서는 앤트그룹 산하 샤오샹 앤트 링보 테크놀로지(Robbyant)가 개발한 R1 휴머노이드 로봇이 상하이 ‘2025 인클루전 콘퍼런스’와 베를린 IFA 2025 기술 박람회에 공개됐다. 몸무게 110kg, 키 1.6~1.75m인 R1은 투어 가이드, 약국의 약 정리, 기본 의료 상담, 주방 업무 지원 등 다양한 일상 서비스 업무 수행이 가능하며, 특히 자사 대형 AI 모델을 기반으로 자율적 업무 계획과 실행 능력을 갖춘 점이 돋보인다.

 

다만 현장 시연 영상에서는 움직임이 다소 느린 모습을 보여, 기술 성숙도와 로봇 공학 분야에서의 도전 과제를 여실히 드러냈다. 앤트그룹 측은 R1이 단품으로 판매되는 대신 ‘시나리오 솔루션’ 패키지 형태로 공급되며, 이미 상하이 역사박물관 등 기관에 납품 상태라고 밝혔다.

 

이번 AI 모델과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는 미·중 무역 갈등과 기술 자립 정책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 내에서 첨단 AI 인프라에 대한 투자 확대라는 전략적 행보의 일환이다. 알리바바는 향후 3년간 약 3800억 위안(52억 달러) 규모의 AI 인프라 프로젝트에 투자해 AI 분야 선도 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최근 발표된 알리바바 재무 결과에 따르면 AI 관련 제품군은 8개 분기 연속 세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 클라우드 사업 역시 연간 26% 성장하여 회사 전체 매출 347억 달러를 견인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알리바바의 이번 행보는 오픈AI, 구글 딥마인드, 테슬라 등 선도 기업과의 경쟁을 공식화하는 신호탄으로 분석된다. 특히 로봇 분야에서는 테슬라 옵티머스와 직접 경쟁하며, AI 분야에서는 파라미터 수조 단위의 초대형 모델 개발을 통해 세계적 AI 경쟁 구도에 가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기술 완성도와 상용화 시점, 성능 최적화 등에서 넘어야 할 산이 많아 향후 연구개발 진척과 시장 반응이 주목된다.

 

이번 공개는 알리바바가 전자상거래와 클라우드 중심의 사업모델에서 첨단 AI 및 로봇공학 분야로 전방위적 사업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AI·로봇 상용화 및 산업화에 따른 글로벌 경쟁에서 중국산 AI와 로봇의 존재감을 확실히 부각시킬 계기가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테슬라 10년 내 사라진다" 前 스텔란티스 CEO의 충격적 경고…"BYD에 밀려, 머스크는 자동차 산업 떠날 것"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가 앞으로 10년 내 사라질 수 있다는 파격적인 전망이 나왔다. 발언의 주인공은 스텔란티스의 전 최고경영자(CEO) 카를로스 타바레스. 그는 최근 프랑스 일간지 르에코스와의 인터뷰에서 “테슬라는 혁신적이지만 BYD의 효율성에 밀려 10년 후에도 존재할지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르에코스, Fortune, Statista, Teslarati, Car News China에 따르면, 타바레스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이미 휴머노이드 로봇, 우주탐사(스페이스X),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며 “머스크가 결국 자동차 산업을 떠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머스크는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면서도 최근 여러 신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테슬라의 시장 변동성은 주요 지표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테슬라의 2025년 3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281억 달러(약 40조2700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률은 급감했고 주당순이익(EPS)은 시장 기대를 하회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 테슬라의 EV 인도량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