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7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GPT-5, 10월 6일 오픈AI 데브데이에서 데뷔?…AGI(범용인공지능) 도약의 신호탄될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오는 10월 6일 열리는 오픈AI 연례 개발자 콘퍼런스 ‘데브데이(DevDay)’가 글로벌 AI 업계의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OpenAI 공식 블로그, Tom’s Guide, Voiceflow의 발표와 보도에 따르면, 오픈AI는 6월 27일(현지시각) 이번 행사가 역대 최대 규모(1500명 이상 개발자 참석)로 개최되며, 최신 AI 모델과 도구를 활용한 데모, 실습 세션, 키노트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된다고 밝혔다.

 

“GPT-5, 2025년 여름 출시”…데브데이서 첫 공개 가능성 ‘급부상’

 

이번 데브데이를 앞두고 가장 큰 관심사는 차세대 AI 모델 ‘GPT-5’의 공식 발표 여부다. 오픈AI와 샘 올트먼 CEO는 올해 초부터 “GPT-5는 2025년 여름 출시”를 여러 차례 언급해 왔으며, 최근 6월 유튜브 공식 채널 인터뷰에서도 “올여름 출시”를 재확인했다.

 

빅테크 업계에서는 10월 데브데이가 GPT-5의 첫 공식 데뷔 무대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GPT-5, 멀티모달·고도 추론·에이전트 기능까지”…기대되는 주요 혁신

 

GPT-5는 기존 GPT-4.5(코드명 오리온)를 뛰어넘는 혁신적 기능들로 글로벌 AI 시장의 판을 다시 짤 전망이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GPT-5가 AI 활용의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바꿀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PT-5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멀티모달(Multimodal) 통합’이다. 기존 텍스트 중심의 AI를 넘어,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데이터 유형을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대폭 강화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텍스트와 이미지를 결합한 복합 질의, 음성 명령과 영상 분석이 결합된 고차원적 작업까지 자연스럽게 수행할 수 있다.
 

또 GPT-4o의 12만8000토큰(약 300페이지 분량)보다 더 넓은 맥락 기억 능력을 갖춘 GPT-5는 장기 대화, 복잡한 문서 분석, 연속적 업무 처리 등에서 탁월한 성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사용자는 대화 도중 이전의 긴 맥락이나 수많은 문서 정보를 잃지 않고, 일관성 있게 AI와 협업할 수 있다.

 

고도화된 추론·계획·분석을 통한 ‘AI 비서’역할로의 진화도 한층 더 업그레이드 될 전망이다. GPT-5는 논리적 추론, 문제해결, 데이터 분석, 시뮬레이션 등에서 인간 전문가 수준의 능력을 목표로 한다. 특히 ‘에이전트(Agent)’ 기능이 강화돼, 사용자의 복잡한 요구를 스스로 계획·수행하는 ‘AI 비서’로 진화할 전망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장 동향 분석 후 투자 전략을 수립해줘”라고 요청하면, GPT-5는 관련 데이터 수집부터 분석, 전략 도출까지 일련의 작업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GPT-5는 기존처럼 여러 모델을 따로 제공하는 대신, ‘통합형 모델’ 전략을 채택한다. 사용자가 별도 모델을 선택하지 않아도, 입력된 요구에 따라 최적의 성능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구조다. 이는 AI 활용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개발자와 일반 사용자 모두에게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GPT-5는 실시간 정보 검색, 최신 데이터 반영, 다양한 외부 툴 연동 등에서 더욱 진화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사용자는 GPT-5를 통해 최신 뉴스, 데이터베이스, 외부 API 등과 연동해 실시간으로 정보를 얻고, 복합적인 디지털 업무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즉 GPT-5는 멀티모달 초지능, 초장기 기억, 자율 에이전트, 통합형 모델, 적응형 실시간 학습 등 5대 혁신을 바탕으로 AI의 실질적 활용성과 생산성을 극적으로 높일 전망이다. AI 업계는 10월 오픈AI 데브데이에서 공개될 GPT-5가 인공지능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할지 주목하고 있다.

 

 

“지연 이유는?”…초대형 데이터·비용·기술 장벽, 경쟁 심화도 한몫


GPT-5의 출시가 당초 예상(2024년 중반)보다 늦어진 배경에는 막대한 개발 비용(WSJ 추산 1회 트레이닝에 5억 달러 이상), 고품질 데이터 부족, 멀티모달 통합의 기술적 난제, 내부 인력 변화(일리아 수츠케버·미라 무라티 등 핵심 인력 이탈)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했다.

 

여기에 구글, 앤트로픽 등 경쟁사의 AI 혁신 가속화도 오픈AI에 추가 압박을 주고 있다.

 

“AI 플랫폼 혁신의 분수령”…업계·개발자 기대감 최고조


오픈AI 데브데이는 GPT-4 터보, GPT-4o 등 주요 모델이 처음 공개된 자리로, 매번 AI 생태계의 판도를 바꿔왔다. 이번 행사 역시 GPT-5의 공식 발표와 함께, 에이전트 API, 강화된 멀티모달 도구, 실시간 검색·연동 기능 등 대규모 혁신이 한꺼번에 쏟아질 가능성이 높다.

 

오픈AI는 “개발자와 함께 미래 AI의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며, 사전 등록을 받고 있다.

 

GPT-5, AGI(범용인공지능) 도약의 신호탄 될까

 

샘 올트먼 CEO는 “GPT-5는 내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똑똑할 것”이라며, 향후 2년간 AI가 과학·의료·기후 등 다양한 분야에서 10년치 혁신을 1년 만에 압축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GPT-5가 진정한 AGI(범용인공지능)로 가는 분수령이 될지, 10월 6일 데브데이에서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정부 광고, 유튜브 구글·인스타 메타에 집중…"절반만 국내 플랫폼에 줘도 222억원 효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국내 정부 광고 예산이 구글과 메타 등 해외 빅테크 플랫폼에 집중되는 현상이 심화되면서 국내 미디어 생태계 보호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정부 부처가 집행한 인터넷 광고 중 26% 이상이 구글과 메타에 집중됐고, 특히 구글은 단일 매체 기준으로 708억원의 수주액을 기록해 1위를 유지했다. 유튜브를 운영하는 구글은 2023년부터 정부 광고 수주액이 674억원에 이르며 국내 주요 지상파 방송사와 종합편성채널을 크게 앞서고 있다. 4년간 구글 광고 수주는 86% 증가한 반면, 국내 방송 7개 주요사 광고 수주는 22% 증가에 그쳤다.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메타의 경우에도 2024년 처음으로 100억원 이상을 수주하며 영향력을 확대했다. 정부가 유튜브 등 해외 플랫폼을 홍보 수단으로 선호하는 이유는 조회수 중심의 효과 측정과 비용 효율성 때문이다. 다만, 국내 광고 플랫폼 산업이 위축되고, 광고비가 해외로 유출되는 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크다. 한양대 강형구 교수는 “정부 광고 예산의 절반만 국내 플랫폼으로 돌아오면 산업 연관 효과로 약 222억원의 추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세수도 23억원가량 증가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빅테크칼럼] 구글, 로보틱스 AI 공개에 국내 로봇주 급등…‘피지컬 AI 글로벌 얼라이언스’ 출범도 투자심리 '자극'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구글 인공지능(AI) 조직 딥마인드가 2025년 9월 24일(현지시간) 공개한 최첨단 로보틱스 AI 모델 ‘제미나이 로보틱스 1.5’ 시리즈가 국내 로봇주 주가 동반 급등을 이끌고 있다. 이 AI 모델은 로봇이 빨래 분류, 쓰레기 재활용 등 복잡하고 다단계인 현실 세계 과제를 인간처럼 사고하고 계획하며 수행할 수 있게 설계됐다. 구체적으로, ‘제미나이 로보틱스 1.5’는 로봇의 시각 정보를 이해하고 명령을 행동으로 변환하는 능력이 획기적으로 강화됐으며, ‘제미나이 로보틱스-ER 1.5’ 모델은 물리적 세계에서 정교한 다단계 실행 계획을 수립할 뿐 아니라 디지털 도구를 직접 호출하는 기능도 갖췄다. 이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로봇에 적용 가능한 범용 지능을 실현해 기술 습득 속도를 대폭 가속화했다. 이 같은 구글 AI 발표 직후인 9월 26일 한국 증시에서 로봇 관련주들이 대거 상승했다. 에브리봇은 전일 대비 17.11% 상승하며 장중 52주 신고가인 2만1900원까지 기록했고, 로보티즈(5.0%), 하이젠알앤엠(4.62%), 이랜시스(3.93%) 등 다수 로봇주가 동반 강세를 보였다. 특히 하이젠알앤엠은 2025년 들어 주가가 4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