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6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AI 주식투자, 인간 애널리스트 위협하다…주식분석 미래 보여준 플로리다大 실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AI가 현직 금융 분석가들이 수행하는 상당수 업무를 대체할 수 있을 만큼 인상적인 성과를 보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연구는 AI의 주식 분석 및 투자 전략 수립 능력이 인간 애널리스트의 역할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큰 충격을 줬다.

 

Morningstar, The Irish Times, Alpha Architect, CNBC 등의 외신 보도에 따르면, 플로리다대학교의 금융학 교수 알레한드로 로페즈-리라(Alejandro Lopez-Lira)가 챗GPT, 딥시크(DeepSeek), 그록(Grok) 등 최신 AI 모델의 주식 선정 능력을 실험한 결과, 높은 수익률과 함께 AI의 우수성이 입증됐다고 밝혔다.

 

주식투자에서 AI의 실전 성과와 한계


로페즈-리라는 2022년 오픈AI의 챗GPT 출시 직후부터 AI가 실제로 주식 시장에서 통할 수 있는지 실험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뉴스 헤드라인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을 AI가 얼마나 정확히 해석할 수 있는지 테스트했고, 이 단순한 실험만으로도 놀라운 512%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후 실제 투자 앱(Autopilot)과 연계해 거시경제, 지정학, 기업 재무 등 다양한 정보를 AI에 입력하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등 방법론을 고도화했다.

 

 

로페즈-리라는 "AI 모델이 실시간 데이터에 직접 접근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지만, 이미 상당수 애널리스트 업무는 대체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물리적 세계에서의 상호작용이나 대면 인터뷰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정보 분석 업무는 이미 대형 언어모델(LLM)로 자동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AI vs 인간, 주식투자 성과 비교


최근 다수의 연구와 실전 사례에서도 AI의 우수성이 입증되고 있다. 글로벌 AI 기반 투자 플랫폼 다니엘핀(Danelfin)은 2017년부터 2024년까지 +263%의 누적 수익률을 기록해 S&P 500(+189%)을 크게 상회했다. AI가 최고 점수를 매긴 종목은 3개월 기준 연환산 알파 +14.69%를 기록했고, 최저 점수 종목은 -37.38%로 저조했다.

 

또한, 시드니의 헤지펀드 미노투어 캐피탈(Minotaur Capital)은 애널리스트 없이 AI만으로 6개월간 13.7%의 수익률을 올려 글로벌 시장 평균(6.7%)을 두 배 이상 상회했다. 이 회사는 "AI는 훨씬 빠르고 저렴하게 리서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학계 연구에서도 AI는 인간 애널리스트를 54.5%의 확률로 능가했다. 특히 방대한 데이터 처리와 패턴 인식에서 AI의 강점이 두드러진다. 다만, 소형주, 비유동주, 급변하는 산업 등에서는 인간의 경험과 직관이 여전히 중요한 경쟁력으로 남아 있다.

 

챗GPT vs 딥시크, 트레이딩 특성 비교


챗GPT는 복잡한 트레이딩 지침 처리, 경제 뉴스 해석, 펀더멘털 분석에서 강점을 보인다. 실제 테스트에서 514번의 거래와 33% 승률로 수익성 있는 전략을 구현했다. 챗GPT가 식별한 긍정적 뉴스는 6개월 후까지 시장 수익률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딥시크는 수치 기반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트레이딩, 복잡한 수학적 계산에 강하다. 단순 전략 개발과 자동화에 유리하지만, 뉴스 등 비정형 데이터 해석력은 챗GPT에 비해 떨어진다. 딥시크가 포착한 정보는 즉시 가격에 반영돼 미래 예측력은 제한적이다.

 

증권업계 반응과 전망


알리바바의 조 차이(Chairman Joe Tsai)는 "AI가 애널리스트의 일상적 리서치 업무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고 평가하면서도, "최종 판단과 추천에는 인간의 주관적 판단이 여전히 필요하다"고 밝혔다. JP모건, BNY멜론 등 글로벌 금융사도 AI 도입으로 애널리스트의 업무 효율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결국, AI의 등장은 인간 애널리스트의 역할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데이터 처리와 반복 업무는 AI가 담당하고, 인간은 고차원의 해석과 전략적 의사결정에 집중하는 'Man + Machine' 협업 모델이 새로운 표준이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내궁내정] 빌 게이츠는 왜 ‘팩트풀니스’를 미국 대학·대학원에 무료배포했을까?…"팩트 리터러시 교본" 한국서 역주행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방한한 빌 게이츠가 국내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한스 로슬링의 저서 『팩트풀니스(Factfulness)』를 추천하면서 국내 서점 예스24 종합 베스트셀러 3위에 오르는 역주행 현상을 기록했다. 같은 출판사의 『세상은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는가』와 함께 판매량이 약 6배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팩트풀니스』는 스웨덴의 통계학자이자 국제 보건 전문가인 한스 로슬링이 세상을 바라보는 ‘팩트 기반의 시각’을 강조한 책이다. 세계가 생각보다 발전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직관과 감정, 미디어의 왜곡된 정보로 인해 세상이 더 나빠졌다고 착각하는 ‘10가지 비합리적 본능’을 설명한다. 이로 인해 사회 갈등과 스트레스가 증가한다고 지적한다. 이 책은 2018년 전 세계에 출간된 이후 빌 게이츠가 전 미국 대학·대학원 졸업생들에게 무료로 배포하면서 화제가 됐다. 당시 게이츠는 “내가 읽은 책 중 가장 중요한 책 중 하나”라며 졸업생 선물로 선정해 책의 가치를 높였다. 당시 게이츠노츠(GatesNotes) 블로그에서 전자책 형태로 배포해 수많은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었다. 빌 게이츠는 이 책이 단순한 낙관주의가 아니라, 증거에 기반해 세상을

[빅테크칼럼] 전자 사용해 상온에서 다이아몬드 생성…도쿄대, 재료과학·나노기술·양자정보학 새지평 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본의 과학자들이 전자 방사선을 이용해 다이아몬드를 생성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 다이아몬드 합성 패러다임을 완전히 혁신한 연구로서 앞으로 재료과학과 나노기술, 양자정보학 등 첨단 과학기술 발전에 획기적인 기여를 할 전망이다. Science, Phys.org, 도쿄대학교, ChemRxiv에 따르면, 일본 도쿄대학교 화학과 나카무라 에이이치 교수팀이 2025년 9월 4일 세계적인 학술지 『Science』에 발표한 이 연구는, 기존에 수십 기가파스칼 압력과 수천 켈빈 이상의 극한 조건에서만 가능했던 다이아몬드 합성을 전자 방사선을 이용해 상온에 가까운 낮은 온도(100~296K)에서 실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탄소 케이지 분자인 아다만탄(C10H16)을 전자빔(80~200keV)으로 조사해 탄소-수소 결합을 정밀하게 절단하는 동시에 탄소-탄소 결합을 새로 형성함으로써, 결함 없는 최대 10나노미터 크기의 나노다이아몬드를 빠른 시간(수십 초) 내에 직접 합성했다. 아다만탄은 다이아몬드와 동일한 사면체 대칭을 가진 탄소 골격 구조 덕분에 이상적인 전구체로 평가받는다. 연구팀은 다른 탄화수소 분자들로는 나노다이아몬드 생성에 실패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