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지구칼럼] 美 공군, 스페이스X '로켓 화물배송' 태평양 환초 시험 중단…"생태계보전이 기술혁신보다 더 중요"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공군이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공동 추진하던 ‘극초음속 로켓 화물 배송’ 실험을 태평양 존스턴 환초에서 전격 중단했다.

 

군사·우주기술 혁신의 상징이던 이 프로젝트는, 14종의 열대 바닷새와 300여 종의 어류가 서식하는 세계적 생태계 보호구역을 위협한다는 환경단체와 생물학자들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했다.

 

“100톤 화물, 90분 만에 전 세계 배송”…실험 취소의 배경


공군과 스페이스X가 추진한 ‘로켓 카고 뱅가드(Rocket Cargo Vanguard)’ 프로그램은 최대 100톤의 군수물자나 구호품을 지구 어디든 90분 내에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군사·물류 혁신의 게임체인저로 평가받았다. 이를 위해 존스턴 환초에 2개의 로켓 착륙장을 건설하고, 4년간 연 10회씩 로켓 재진입·착륙 실험을 계획했다.

 

그러나 프로젝트가 본격화되자, 환초 생태계 파괴 우려가 급속히 확산됐다. 존스턴 환초는 하와이 남서쪽 약 1300km(800마일) 떨어진 2.6㎢(1제곱마일) 크기의 미국령으로, 태평양 외딴섬 해양국립기념물(Pacific Remote Islands Marine National Monument)과 국립야생동물보호구로 지정된 곳이다.

 

이곳은 세계 붉은꼬리바다제비(Red-tailed Tropicbird) 개체의 절반에 가까운 1만3000쌍 이상이 번식하는 최대 집단서식지로, 붉은발부비새(Red-footed Booby)도 5000쌍 이상이 서식한다. 최근 10년간 보호·복원 노력이 이어지며 바닷새 개체수는 꾸준히 증가해왔다. 2021년 기준 붉은꼬리바다제비 둥지 수는 1만2956개로, 2020년 대비 19% 증가했다.

 

로켓 시험, 바닷새 번식지·산호초·희귀종에 치명타


환경단체와 생물학자들은 로켓 발사와 착륙이 소음, 진동, 낙하물, 오염물질 유입 등으로 인해 바닷새 번식 패턴을 교란하고, 둥지와 알을 파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특히 착륙장 건설과 항공기 이착륙은 이미 복원된 바닷새 번식지를 직접적으로 훼손할 우려가 크다. 환초 주변 3만2000에이커(약 13만㎡)의 산호초와 300여 종의 어류, 멸종위기 초록바다거북, 하와이 몽크바다표범 등 희귀 해양생물도 위협받는다.

 

실제로 2023년 텍사스 보카치카에서 스페이스X 스타십 발사 때는 플로버 도요새(멸종위기종) 둥지와 알이 파괴됐고, 인근 야생동물보호구역 68에이커가 불에 타는 등 환경피해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스페이스X는 미국 연방항공청(FAA)과 법적 다툼까지 겪었다.

 

“생태계냐, 군사혁신이냐”…4000명 반대 서명에 결국 중단


환경영향평가(EA) 초안은 반대여론 확산으로 공개가 반복적으로 지연됐다. 2025년 7월 초까지 프로젝트 반대 청원에는 3884명이 서명했다. 미 공군은 “존스턴 환초 환경평가가 완료될 때까지 프로젝트를 보류하고, 대체 시험지를 모색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 결정은 2022년 스페이스X가 미 국방부로부터 1억200만 달러(약 1400억원) 규모의 5년 계약을 따내며 본격화된 ‘로켓 카고’ 사업의 첫 대형 시험이었기에, 군사·우주기술계에 적지 않은 파장을 낳고 있다.

 

미 국방부는 2026년까지 스페이스X 스타십을 활용한 실증 임무를 계획 중이었으나, 당분간 대체 시험지를 찾을 때까지 일정이 지연될 전망이다.

 

“기술 진보와 환경 보전, 공존 해법 필요”

 

이번 중단 사태는 첨단 우주·군사기술 실험과 세계적 생태계 보전의 충돌이라는 상징적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미 공군과 스페이스X는 “환경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체 시험지를 찾겠다”고 밝혔지만, 환경단체들은 “로켓 시험 자체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근본적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군사·우주기술 혁신이 ‘지구의 마지막 야생’을 희생하지 않고 지속가능하게 추진될 수 있을지,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스페이스린텍, 시리즈B 투자 유치 성공… '메이드 인 스페이스 신약시대' 가속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우주의약 전문기업 스페이스린텍(Space LiinTech, 대표 윤학순)이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10일 밝혔다. 구체적인 투자 금액은 비공개다. 이번 투자를 통해 스페이스린텍은 저궤도 기반 우주 바이오 제조 플랫폼의 상용화와 지상 드롭타워 인프라 고도화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스페이스린텍은 미세중력 환경을 활용한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연구 및 생산 플랫폼을 개발하는 국내 유일의 우주의학 기업이다. 2021년 설립 이후 우주단백질 결정화 등 고부가가치 의약품 제조 분야에서 독보적 기술을 축적해왔으며, 올 8월 말 국내 최초 우주의약 연구 모듈 발사를 앞두고 있다.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기존 투자자인 컴퍼니케이파트너스와 선보엔젤파트너스를 비롯해, 스틱벤처스, 신용보증기금, 디캠프 등 신뢰도 높은 기관이 신규로 참여했다. 회사의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아 시리즈B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스페이스린텍의 주요 기술은 미세중력 상태에서 약물 결정이 더욱 균일하고 정밀하게 형성되는 물리적 특성을 활용해, 기존 지상 실험 대비 고순도·고정밀 바이오의약품을 제조할 수 있는 데 있다. 특히 구조 기반 신약 디자인이나 면역항암제

스페이스X, 550조원 시대 연다…비상장 기업 역대 최고가치로 우주산업 '빅뱅'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사상 최대인 약 4000억달러(한화 약 550조원) 기업가치로 내부자 주식 매각 및 신주 발행을 추진하며 글로벌 금융·우주산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번 거래가 성사될 경우, 스페이스X는 미국 비상장 기업 중 역대 최고 기업가치에 오르게 되며, 상장사와 비교해도 시가총액 20위권 내에 진입하게 된다. 4000억달러 평가, ‘비상장 기업의 왕좌’ 오르나 블룸버그, 야후파이낸스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내부자(임직원·초기 투자자) 주식 매각과 함께 신규 자금조달(신주 발행)을 병행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번 거래의 기준 기업가치는 4000억달러로, 2023년 12월(3500억달러) 대비 500억달러가 상승했다. 이 수치는 미국 대표 상장사인 홈디포, 프록터앤드갬블(P&G), 팔란티어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수준이다. 미국 비상장사 중에서는 단연 독보적 1위이며, 글로벌로도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 오픈AI 등과 경쟁하는 ‘초거대 유니콘’ 반열에 올랐다. 기업가치 급등 배경: 스타링크·스타십의 폭발적 성장 이번 평가액에는 스페이스X의 위성 인터넷 사업부 ‘스타링크’

HD현대인프라코어, K2 전차 엔진 923억원 대규모 수주…자체 기술로 국내 방산 주도권 확보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HD현대인프라코어가 K2 전차용 대규모 엔진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독자적인 기술력과 공급 역량을 입증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최근 방위사업청과 총 923억 원 규모의 K2 전차 엔진(DV27K)에 대한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HD현대인프라코어는 올해부터 2028년까지 방위사업청에 단계적으로 엔진을 납품할 예정이다. 이 엔진은 주요 방산국의 주력 전차 엔진과 동급 출력인 1500마력으로, 56톤(t)급 K2 전차를 최대 70km/h로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가스를 활용해 압축한 공기를 실린더 내부로 밀어 넣는 설계로 출력과 연소효율을 극대화했고, 최적의 구조설계를 통해 진동을 줄이면서 동력을 고루 전달할 수 있어 전장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의 K2 전차 엔진은 기술력과 경제성은 물론, 공급 안정성 측면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동급의 고속·고출력 엔진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실전에 배치한 국가는 미국, 한국, 독일, 프랑스 등 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전차 엔진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국가들에게 관심을 끌고 있다. HD현대인프라코어는 10년에 걸친 연구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