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美, H20 칩 수출 허가에 젠슨 황 "매우 좋은 소식"…엔비디아 中 AI시장 ‘재진입’ 신호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그동안 전면 중단했던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칩 ‘H20’의 대중국 수출을 공식 재개한다.

 

이번 결정은 최근 중국의 희토류·영구자석 등 핵심 소재 수출 정상화에 맞춘 미국의 ‘호혜성 완화조치’로 해석되며,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재편과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다시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했다.

 

美, H20 칩 대중 수출 허가 “AI 연구 위해 필수 시장”


CNN, Bloomberg, Euronews 등의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7월 15일(현지시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중앙TV(CCTV)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우리(엔비디아)의 H20 칩 대중국 수출을 승인해 이제 중국시장에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도 “H20 칩 수출을 위한 허가 신청시 인가를 보장받았다”고 엔비디아 측에 직접 통보했다.

 

지정학적 교환: “희토류 합의→AI 칩 수출 재개”

 

이번 허가의 배경에는 6월 미·중 간 희토류 및 영구자석 등 핵심 소재의 상호수출 정상화 합의가 있다. 실제 양국은 4월부터 이어진 무역보복 국면을 6월 제네바 및 런던 회담 등에서 완화시키며, 희토류 등 핵심 자원의 미국행 수출을 재개했다는 점이 주요 변수로 지목됐다.

 

미 정부의 이번 조치는 “희토류 수출 재개에 대한 상응적 호혜 조치”로 해석되며,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해소와 양국 IT업계 타격 최소화가 목적임이 드러났다.

 

H20·RTX 프로: 대중국 맞춤형 신제품, 수출 통제 준수

 

H20 칩은 미국의 초고성능 AI반도체 수출 통제를 피해 중국 시장을 위해 커스텀 설계된 제품이다. 기존 A100, H100 등 고성능 모델 대비 대역폭과 연산능력이 제한돼 있지만, 삼성전자 HBM3 등 최신 고대역폭 메모리를 탑재하며 중국 클라우드 사업자와 대기업 고객을 겨냥했다.

 

한편, 젠슨 황 CEO는 이날 업그레이드된 ‘RTX 프로’ GPU 출시도 함께 발표했다. “RTX 프로는 컴퓨터 그래픽, 디지털 트윈, AI 산업현장(스마트 팩토리·스마트 물류) 등을 겨냥해 설계된 안전판 AI 그래픽카드”라며, 미국 정부의 최신 수출 통제를 100% 준수한다고 설명했다.

 

RTX 프로는 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HBM·NVLink 기능 일부 제외 등 규제 부합용으로 수정된 것이 특징이다.

 

“수출 규제, 美 기업에 손해·中 자력화 부추겨” 황 CEO 일침의 결과


젠슨 황 CEO는 “미국의 AI 칩 수출 통제는 결과적으로 중국의 반도체 자립과 기술독립을 촉진시켰다”며 “수출 차단은 엔비디아 등 미국기업 매출 손실(2024~25년 약 70억~80억달러 추정)과 중국 내 시장점유율 반토막(95%→50%) 등 이중 손해를 초래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실제 엔비디아는 H20 등 수출 중단 직후 재고 손실 45억달러, 추가 매출손실 25억달러 등 심각한 타격을 공식화했다.

 

중국 AI·IT업계, “H20, RTX프로 손꼽아 대기”…시장 파장


중국은 엔비디아 H20 수입 재개 발표 직후, 빅테크 및 AI 스타트업이 앞다퉈 구매 프로세스를 가동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AI 팜·클라우드·데이터센터 시장의 중장기 판도 변화를 예고했다.

 

엔비디아의 2024/25년 중국 매출은 전체의 13~15%(약 170억달러)로 집계되고 있으며, 이번 허가로 AI·그래픽용 반도체 공급망 상당 부분이 회복될 전망이다.

 

미국의 H20 칩 대중국 수출 허가와 RTX 프로 중국 전용 GPU 출시로, 미·중 공급망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반도체·소재 분야 통상대결이 ‘봉합국면’에 들어섰다.

 

하지만 젠슨 황 CEO의 일침대로, 수출 제한의 역효과 및 불확실성은 여전하며, 미국과 중국의 반도체·첨단기술 양강체제 주도권 경쟁은 앞으로도 진행형이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200만년간 지속된 독성 납 노출, 현대인·네안데르탈인 유전적 차이…"납중독, 인류 뇌 진화·언어능력 결정적 영향"

[뉴스스페이스=윤슬기자] 최근 Science Advances에 게재된 국제 공동연구가 기존의 납 독성은 산업화 이후 나타난 현상이라는 통념을 뒤집었다. Phys.org, news.asu.edu, ScienceAlert, bioengineer에 따르면, 서던크로스대학교, UC 샌디에이고,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 연구진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전역에서 출토된 51개의 화석 치아를 고정밀 레이저 절단 기술로 분석한 결과, 73% 표본에서 간헐적 납 노출의 흔적인 ‘납 띠’를 확인했다. 이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까지 다양한 호미닌 종에서 공통으로 발견됐으며, 납 노출이 산업혁명보다 훨씬 이전인 약 200만 년 전부터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자연 환경이 납 오염의 주요 원인 과거 납 노출은 동굴 내 오염된 물, 화산재, 자연 지질학적 작용 등으로 음식 사슬에 축적됐다. 현대 산업용 납과 같이 인위적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자연 발생적 납 노출이 반복되며 인류 진화 과정에 일상적으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밝혀졌다. 연구진은 20세기 납 휘발유 사용 시기 태어난 인물들의 치아에서 거의 동일한 납 노출 경향을 발견해 진화적 지속성을 확인했다.​

[지구칼럼] "움직이는 예술품·미래 품은 아르데코의 귀환"…벤츠 콘셉트카 ‘비전 아이코닉', 태양광 전기차 혁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메르세데스-벤츠가 2025년 10월 14일 상하이 디자인 하우스에서 공개한 콘셉트카 ‘비전 아이코닉(Vision Iconic)’은 자동차를 넘어 ‘움직이는 예술 조각품’이다. 1930년대 아르데코 시대의 고전적 우아함과 인공지능·태양광 등 미래 기술이 절묘하게 융합된 이번 모델은, 단순한 쇼카를 넘어 메르세데스의 차세대 디자인·기술 철학을 응축한 미래 비전으로 평가된다.​ 메르세데스 그룹의 디자인 총괄 고든 바게너(Gorden Wagener)는 디자인붐과의 인터뷰에서 “비전 아이코닉은 단순한 자동차가 아니라 브랜드의 정체성을 새 시대에 맞게 재해석한 상징물”이라며 “이 차는 전통과 첨단의 융합을 통해 ‘아이코닉 DNA’를 되살린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태양광이 구동하는 차체…주행거리 연 1만2000km ‘햇빛의 힘’ 비전 아이코닉의 핵심 혁신은 희토류나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는 나노 입자 기반 솔라 페인트(Solar Paint) 기술이다. 메르세데스는 이 코팅이 20%의 광전 효율을 달성해, 이상적인 조건에서 연간 최대 1만2000km(약 7450마일)의 추가 주행 거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코팅은 차량이 정지 상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