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젠슨 황, 가죽재킷 벗고 중국의상 입다…中에 손 내민 'AI 제왕'의 전략적 변화 "중국은 AI 동반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엔비디아의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이 7월 16일 제3회 중국국제공급망촉진박람회(CISCE) 개막식에서 특유의 검은 가죽재킷 대신 중국 전통의상 ‘당복(唐裝)’을 입고 등장해 중국 현지와 글로벌 미디어의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황 CEO가 중국 전통 의상을 공식 석상에서 착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시장에서는 그가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상징적인 메시지를 던졌다는 해석이 나온다.

 

세계 AI 시장 '빅바이어'에 파격 메시지…현장 반응 '후끈'


황 CEO는 이날 연설에서 “나는 중국인이다. 미국에서 성장했지만 나의 모국어(first language)는 중국어”라며 자신의 뿌리를 강조했다. 실제로 연설 서두와 마무리에서 중국어로 인사를 전했고, "엔비디아는 중국에서 계속 사업할 것"이라며 중국 시장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현장에서는 젠슨 황의 갑작스러운 변화에 큰 반향이 일었다. 중국 국영통신 신화통신(Xinhua), 글로벌타임스(Global Times) 등 현지 주요 미디어들은 “중국 문화에 대한 존중이자, 중국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에 대한 선명한 메시지”라고 평가했다.

 

엔비디아, H20칩 '재상륙'으로 4조달러 기업의 존재감 과시

 

이번 행보는 젠슨 황이 "대중(對中) 전략의 변신"을 천명한 것으로도 읽힌다. 지난 15일, 그는 중국 현지에서 엔비디아의 AI반도체 ‘H20’가 미 상무부 제재에 맞춰 규격을 낮추고 다시 중국시장에 공급을 시작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H20’칩은 최첨단 A100, H100에 이어 나온 AI용 GPU로, 중국 내 빅테크 및 AI 스타트업이 폭발적으로 주문하며 상반기 주문 물량은 이미 90% 이상이 소진된 것으로 알려졌다.

 

엔비디아는 2024년 6월 시가총액 3조3860억 달러를 돌파, 2025년 7월 현재 약 4조1000억 달러로 올라서며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를 앞질렀다. Counterpoint Research의 2분기 자료에서도 전체 AI 반도체 시장 점유율은 80%를 웃도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AI모델, 월드클래스"…협력의 서막 열다


황 CEO는 이번 연설에서 "딥시크,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등 중국 AI 모델이 월드클래스임을 다시 확인했다"며 파트너십 강화 의지도 밝혔다. Wind Information의 2024년 자료에 따르면, 중국 정부와 기업은 2023년 AI산업에만 500억 달러(약 67조원) 이상을 투자한 것으로 집계된다.

 

CNN은 “중국 내 AI 스타트업과 빅테크가 최근 3년간 엔비디아의 칩 구매에만 연평균 26억 달러를 지출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 반응과 해석…“AI 헤게모니의 상징적 장면”


NYT, FT, CNBC 등 글로벌 미디어는 젠슨 황의 중국식 파격이 ‘AI 패권의 글로벌 무대’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례라고 해석했다.

 

Financial Times는 "미국이 AI 반도체 수출을 제한해왔음에도 엔비디아와 중국 빅테크간 협력 강화를 시사함으로써 양국 간 기술냉전 구도에서 새로운 ‘균형점’이 등장했다”고 논평했다.

 

AI 업계 전문가들은 미국의 규제와 중국 시장의 거센 반발 등 복잡한 지정학적 환경에서도 엔비디아가 최대의 글로벌 공급자 지위를 잃지 않겠다는 ‘새로운 전략 구도’로 해석했다. 엔비디아의 2024년 중국시장 매출은 53억 달러로 전체 매출의 17%를 차지했고, 올해도 두 자릿수 성장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200만년간 지속된 독성 납 노출, 현대인·네안데르탈인 유전적 차이…"납중독, 인류 뇌 진화·언어능력 결정적 영향"

[뉴스스페이스=윤슬기자] 최근 Science Advances에 게재된 국제 공동연구가 기존의 납 독성은 산업화 이후 나타난 현상이라는 통념을 뒤집었다. Phys.org, news.asu.edu, ScienceAlert, bioengineer에 따르면, 서던크로스대학교, UC 샌디에이고,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 연구진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전역에서 출토된 51개의 화석 치아를 고정밀 레이저 절단 기술로 분석한 결과, 73% 표본에서 간헐적 납 노출의 흔적인 ‘납 띠’를 확인했다. 이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까지 다양한 호미닌 종에서 공통으로 발견됐으며, 납 노출이 산업혁명보다 훨씬 이전인 약 200만 년 전부터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자연 환경이 납 오염의 주요 원인 과거 납 노출은 동굴 내 오염된 물, 화산재, 자연 지질학적 작용 등으로 음식 사슬에 축적됐다. 현대 산업용 납과 같이 인위적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자연 발생적 납 노출이 반복되며 인류 진화 과정에 일상적으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밝혀졌다. 연구진은 20세기 납 휘발유 사용 시기 태어난 인물들의 치아에서 거의 동일한 납 노출 경향을 발견해 진화적 지속성을 확인했다.​

[지구칼럼] "움직이는 예술품·미래 품은 아르데코의 귀환"…벤츠 콘셉트카 ‘비전 아이코닉', 태양광 전기차 혁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메르세데스-벤츠가 2025년 10월 14일 상하이 디자인 하우스에서 공개한 콘셉트카 ‘비전 아이코닉(Vision Iconic)’은 자동차를 넘어 ‘움직이는 예술 조각품’이다. 1930년대 아르데코 시대의 고전적 우아함과 인공지능·태양광 등 미래 기술이 절묘하게 융합된 이번 모델은, 단순한 쇼카를 넘어 메르세데스의 차세대 디자인·기술 철학을 응축한 미래 비전으로 평가된다.​ 메르세데스 그룹의 디자인 총괄 고든 바게너(Gorden Wagener)는 디자인붐과의 인터뷰에서 “비전 아이코닉은 단순한 자동차가 아니라 브랜드의 정체성을 새 시대에 맞게 재해석한 상징물”이라며 “이 차는 전통과 첨단의 융합을 통해 ‘아이코닉 DNA’를 되살린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태양광이 구동하는 차체…주행거리 연 1만2000km ‘햇빛의 힘’ 비전 아이코닉의 핵심 혁신은 희토류나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는 나노 입자 기반 솔라 페인트(Solar Paint) 기술이다. 메르세데스는 이 코팅이 20%의 광전 효율을 달성해, 이상적인 조건에서 연간 최대 1만2000km(약 7450마일)의 추가 주행 거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코팅은 차량이 정지 상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