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 제임스 슈나이더는 엔비디아의 목표주가를 기존 200달러에서 21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Investing.com, CNBC, Reuters, TipRanks, Fortune, MarketWatch, Wall Street Journal에 따르면, 이는 10월 3일(현지시간) 현재 엔비디아 주가 약 187달러 대비 약 12%의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 슈나이더는 엔비디아가 오픈AI와 체결한 전략적 파트너십과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를 주요 성장 동력으로 꼽았다.
특히 2025년 9월 발표된 엔비디아의 오픈AI에 대한 10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모델에 반영해 2026년 실적에 상당한 상향 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엔비디아는 핵심 고객뿐 아니라 비전통적 고객으로부터도 추가 성장 기회를 모색 중이다.
전례 없는 AI 인프라 수요 촉진
골드만삭스는 엔비디아의 주요 파트너십이 GPU에 대한 수요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오픈AI와의 협력은 최소 10기가와트에 달하는 AI 데이터센터 용량을 구축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이는 수백만개의 엔비디아 GPU를 필요로 한다.
첫 단계는 2026년 하반기 도입을 목표로 하며,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이를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프로젝트"라 평가했다. 또한 오라클이 오픈AI 지원을 위해 180억 달러의 부채 조달을 추진하는 등 관련 프로젝트도 시장에서 강력한 호응을 얻고 있다. 오픈AI 인프라 지출은 2026년에만 최대 75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순환 매출 논란과 평가
다만, 엔비디아의 투자 전략에서 “순환 매출” 우려가 제기된다. 엔비디아가 고객사에 투자하면서 해당 자금으로 다시 엔비디아 제품을 구매하는 구조가 형성되며, 공급자 겸 투자자라는 이중 역할이 기업 가치 평가에 혼란을 준다는 지적이다.
월스트리트 일부 애널리스트와 NewStreet Research는 엔비디아가 오픈AI에 100억 달러 투자 시 350억 달러 규모 GPU 매출 혹은 임대료가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하며, 이 같은 구조가 실제 AI 수요보다 과대평가된 수익 성장으로 비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과거 닷컴버블의 ‘매출 원형 돌림’과 유사한 현상이라는 우려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 주식은 36건의 매수 추천과 평균 목표주가 216.5달러(15.39% 상승 여력)를 바탕으로 강력 매수 컨센서스를 유지 중이다.
시장 반응과 전망
엔비디아 주가는 2025년 들어 약 34% 상승했으며, 이번 투자 및 파트너십 발표 후 주가가 약 4% 급등하는 등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됐다.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관련 업계에서는 차세대 AI 칩인 블랙웰과 2026년 출시 예정인 루빈(Rubin) 칩의 공개 시기와 중국 시장 매출 전망에 주목하고 있다.
빅테크 전문가들은 "엔비디아가 AI 분야에서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갖추고 있으나, 투자자들은 순환 매출 우려와 밸류에이션 부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