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7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골드만삭스 "AI 파트너십으로 엔비디아 목표가 210달러 상향"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 제임스 슈나이더는 엔비디아의 목표주가를 기존 200달러에서 210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다.

 

Investing.com, CNBC, Reuters, TipRanks, Fortune, MarketWatch, Wall Street Journal에 따르면, 이는 10월 3일(현지시간) 현재 엔비디아 주가 약 187달러 대비 약 12%의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 슈나이더는 엔비디아가 오픈AI와 체결한 전략적 파트너십과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를 주요 성장 동력으로 꼽았다.

 

특히 2025년 9월 발표된 엔비디아의 오픈AI에 대한 100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모델에 반영해 2026년 실적에 상당한 상향 여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엔비디아는 핵심 고객뿐 아니라 비전통적 고객으로부터도 추가 성장 기회를 모색 중이다.

 

전례 없는 AI 인프라 수요 촉진

 

골드만삭스는 엔비디아의 주요 파트너십이 GPU에 대한 수요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오픈AI와의 협력은 최소 10기가와트에 달하는 AI 데이터센터 용량을 구축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로, 이는 수백만개의 엔비디아 GPU를 필요로 한다.

 

첫 단계는 2026년 하반기 도입을 목표로 하며,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이를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프로젝트"라 평가했다. 또한 오라클이 오픈AI 지원을 위해 180억 달러의 부채 조달을 추진하는 등 관련 프로젝트도 시장에서 강력한 호응을 얻고 있다. 오픈AI 인프라 지출은 2026년에만 최대 750억 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순환 매출 논란과 평가

 

다만, 엔비디아의 투자 전략에서 “순환 매출” 우려가 제기된다. 엔비디아가 고객사에 투자하면서 해당 자금으로 다시 엔비디아 제품을 구매하는 구조가 형성되며, 공급자 겸 투자자라는 이중 역할이 기업 가치 평가에 혼란을 준다는 지적이다.

 

월스트리트 일부 애널리스트와 NewStreet Research는 엔비디아가 오픈AI에 100억 달러 투자 시 350억 달러 규모 GPU 매출 혹은 임대료가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하며, 이 같은 구조가 실제 AI 수요보다 과대평가된 수익 성장으로 비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과거 닷컴버블의 ‘매출 원형 돌림’과 유사한 현상이라는 우려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 주식은 36건의 매수 추천과 평균 목표주가 216.5달러(15.39% 상승 여력)를 바탕으로 강력 매수 컨센서스를 유지 중이다.

 

시장 반응과 전망

 

엔비디아 주가는 2025년 들어 약 34% 상승했으며, 이번 투자 및 파트너십 발표 후 주가가 약 4% 급등하는 등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됐다.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관련 업계에서는 차세대 AI 칩인 블랙웰과 2026년 출시 예정인 루빈(Rubin) 칩의 공개 시기와 중국 시장 매출 전망에 주목하고 있다.

 

빅테크 전문가들은 "엔비디아가 AI 분야에서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갖추고 있으나, 투자자들은 순환 매출 우려와 밸류에이션 부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동영상 생성앱 ‘소라’, 저작권 논란 속 ‘저작권자 통제 강화’ 긴급 선언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가 지난 9월 30일 출시한 AI 동영상 생성·공유 앱 ‘소라(Sora)’가 유명 애니메이션과 게임 캐릭터 등 저작권 보호 대상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해 저작권 소송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CNBC, WSJ, 로이터 등 주요 미국 매체에 따르면 ‘소라’ 이용자들은 ‘스펀지밥’, ‘사우스파크’, ‘슈퍼배드’, ‘포켓몬스터’ 등 인기 캐릭터를 포함한 AI 생성 동영상을 활발히 공유하고 있다. 특히 한 영상에는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포켓몬과 함께 “닌텐도가 우리를 고소하지 않길 바란다”는 대사를 하는 장면도 등장해 논란을 키웠다. 출시 첫 주 동안 iOS 전용 초대장 방식으로만 배포된 ‘소라’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48시간 만에 16만4000건 이상의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애플 앱스토어 무료 앱 1위에 올랐다. ‘소라 2.0’으로 불리는 최신 버전은 텍스트 프롬프트로 10초 길이의 영상 제작과 음성 대사, 사운드 효과를 동시에 생성하는 기능을 갖춰 높은 기술력을 입증했다. 그러나 애니메이션·게임 캐릭터 등 지적재산권(IP) 저작물을 명시적 허가 없이 생성할 수 있는 구조가 법적 리스크를 불러왔다. 스탠퍼드대 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