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AI 다음 패러다임은 ‘피지컬 AI’…젠슨 황 “지금 20대라면 물리과학 전공했을 것”

차세대 AI, 현실을 이해하고 조작하는 로보틱스 중심으로 진화…글로벌 인재 재편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만약 지금이 대학을 갓 졸업한 20대라면 나는 소프트웨어보다 ‘물리과학(Physical Sciences)’에 더 집중했을 것이다.”

 

엔비디아(NVIDIA)의 공동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Jensen Huang)이 다시 한번 미래 AI의 지향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최근 CNBC와의 인터뷰에서 “AI의 차세대 발전은 ‘피지컬(Physical) AI’가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세계를 이루는 물리 법칙과 원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단순히 컴퓨터 속의 인공지능을 넘어서 실제 세상과 상호작용하는 능력, 즉 로보틱스와 공장 자동화로 연결되는 기술력으로 이어진다.

 

“AI 3단 진화의 마지막 퍼즐, 피지컬 AI”

 

젠슨 황은 지난 4월 워싱턴DC에서 열린 ‘힐앤드밸리(Heland Valley) 포럼’에서도 AI 발전 단계를 ‘지각 AI(Perception AI, 2012 알렉스넷) → 추론 AI(Reasoning AI, 현재) → 피지컬 AI(Physical AI, 미래)’ 순으로 전망했다. 그는 “차세대 AI는 마찰, 중력, 속도, 관성, 인과관계 등 물리 세계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는 고차원 추론 능력을 가져야 한다”며 “이는 자율주행, 로봇팔, 비전 센서 등 각종 로보틱스 기술에서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즉, 생성형 AI의 시대가 열린 2022년 이후 우리는 ‘생각하는 AI(추론)’를 목도했지만, 다음은 ‘움직이고 반응하는 AI(현실 조작)’라는 것이 그의 진단이다. 실제로 엔비디아는 피지컬 AI 구현에 필수적인 로보틱스 시뮬레이터 환경 ‘이사악 심(Isaac Sim)’과 AI 센서 통합 기술을 고도화하며 관련 기술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피지컬 AI가 바꾸는 산업 및 고용지형도


피지컬 AI가 현실화되면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 분야는 제조업 및 자동화 산업이다. MIT가 2025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공장 자동화 시스템 중 약 41%가 이미 일부 형태의 로보틱스를 도입했으며, 이 비율은 2035년까지 73%로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일본, 독일, 한국과 같은 제조강국은 ‘휴먼-로봇 협업(Human-Robot Collaboration)’을 통해 숙련공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국제로봇연맹(IFR, 2024)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산업용 로봇 밀도(인간 근로자 1만명당 로봇 수)는 대한민국 1위(1012대), 싱가포르 2위(730대), 일본 3위(645대) 순이다. 엔비디아는 이러한 산업 로봇의 인지와 물리적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AI 플랫폼에서 절대적인 점유율을 점하고 있다.

 

황 CEO는 “노동력 부족과 고령화 사회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길은 피지컬 AI에 있다”며 “향후 10년 내에 공장, 물류센터, 병원 등 거의 모든 산업이 고도 자동화될 것이고, 여기엔 물리과학 원리를 이해하는 AI가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글로벌 인재 시장의 변화…소프트웨어를 넘어선 ‘융합형 인재’ 각광

 

젠슨 황의 발언은 단순한 조언을 넘어 글로벌 인재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를 시사한다. 데이터와 코드를 기반으로 했던 AI 시장에 ‘센서’, ‘로보틱스’, ‘공간지각’, ‘에너지 전달’ 등 물리 기반 기술이 중심축으로 편입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 물리학회(APS)가 2023년 실시한 ‘미래 기초과학 수요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AI 및 로보틱스 산업에서 물리/기계/전기공학 복수 전공자에 대한 수요는 오는 2030년까지 연 9.4%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스탠퍼드대 AI Index 2024 보고서에서도 “AI에 대한 하드웨어적 감각과 현실 이해 능력의 통합은 곧 핵심 인재의 척도”가 될 것으로 분석했다.

 

‘코드’만 알던 시대는 끝났다…AI 지각변동 속 물리과학 르네상스 예고


20세기 물리학이 IT의 탄생을 가능케 했다면, 이제 21세기는 물리과학이 AI의 진화를 이끈다. 실제로 구글 딥마인드는 2022년부터 물리 기반 시뮬레이터 연구소인 ‘알파폴드 물리모델링팀’을 별도 조직하여, AI가 병합된 생물·화학·물리 융합 프로젝트(Beyond AlphaFold)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애런 빔 교수는 "앞으로 AI 시대의 핵심 인재는 '현실을 인식하고 조작할 수 있는 시스템적 사고'를 지닌 이들일 것"이라며, “물리원칙, 로봇제어, 시스템 설계 등을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통섭형 전문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고 말했다.

 

소프트웨어를 배우던 시대에서, ‘세상을 이해하는 AI’를 만드는 시대로


젠슨 황은 AI 산업의 창업자이자 선도자라는 위치를 넘어, 기술과 산업, 그리고 교육 지형 자체의 틀을 뒤흔드는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그의 이번 발언은 디지털 코드 이면의 물리 세계까지 통찰하고자 하는 새로운 AI 전략가, 그리고 이를 현실로 만들 결합형 인재의 필요성을 절실히 반영한다. 소프트웨어만 배우던 시대는 끝났고, AI의 진짜 미래는 '세상을 이해하고 다룰 수 있는 지능'으로 진화 중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200만년간 지속된 독성 납 노출, 현대인·네안데르탈인 유전적 차이…"납중독, 인류 뇌 진화·언어능력 결정적 영향"

[뉴스스페이스=윤슬기자] 최근 Science Advances에 게재된 국제 공동연구가 기존의 납 독성은 산업화 이후 나타난 현상이라는 통념을 뒤집었다. Phys.org, news.asu.edu, ScienceAlert, bioengineer에 따르면, 서던크로스대학교, UC 샌디에이고,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 연구진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전역에서 출토된 51개의 화석 치아를 고정밀 레이저 절단 기술로 분석한 결과, 73% 표본에서 간헐적 납 노출의 흔적인 ‘납 띠’를 확인했다. 이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까지 다양한 호미닌 종에서 공통으로 발견됐으며, 납 노출이 산업혁명보다 훨씬 이전인 약 200만 년 전부터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자연 환경이 납 오염의 주요 원인 과거 납 노출은 동굴 내 오염된 물, 화산재, 자연 지질학적 작용 등으로 음식 사슬에 축적됐다. 현대 산업용 납과 같이 인위적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자연 발생적 납 노출이 반복되며 인류 진화 과정에 일상적으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밝혀졌다. 연구진은 20세기 납 휘발유 사용 시기 태어난 인물들의 치아에서 거의 동일한 납 노출 경향을 발견해 진화적 지속성을 확인했다.​

[지구칼럼] "움직이는 예술품·미래 품은 아르데코의 귀환"…벤츠 콘셉트카 ‘비전 아이코닉', 태양광 전기차 혁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메르세데스-벤츠가 2025년 10월 14일 상하이 디자인 하우스에서 공개한 콘셉트카 ‘비전 아이코닉(Vision Iconic)’은 자동차를 넘어 ‘움직이는 예술 조각품’이다. 1930년대 아르데코 시대의 고전적 우아함과 인공지능·태양광 등 미래 기술이 절묘하게 융합된 이번 모델은, 단순한 쇼카를 넘어 메르세데스의 차세대 디자인·기술 철학을 응축한 미래 비전으로 평가된다.​ 메르세데스 그룹의 디자인 총괄 고든 바게너(Gorden Wagener)는 디자인붐과의 인터뷰에서 “비전 아이코닉은 단순한 자동차가 아니라 브랜드의 정체성을 새 시대에 맞게 재해석한 상징물”이라며 “이 차는 전통과 첨단의 융합을 통해 ‘아이코닉 DNA’를 되살린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태양광이 구동하는 차체…주행거리 연 1만2000km ‘햇빛의 힘’ 비전 아이코닉의 핵심 혁신은 희토류나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는 나노 입자 기반 솔라 페인트(Solar Paint) 기술이다. 메르세데스는 이 코팅이 20%의 광전 효율을 달성해, 이상적인 조건에서 연간 최대 1만2000km(약 7450마일)의 추가 주행 거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코팅은 차량이 정지 상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