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1 (일)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고객 2곳, 매출 39% 차지…아마존·구글·MS·메타 4대 하이퍼스케일러 집중 '시장지배력? 리스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엔비디아(Nvidia)가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2025년 2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단 두 곳의 익명 고객이 전체 매출 467억 달러 중 39%를 차지하는 현상이 드러났다.

 

'고객 A'는 23%, '고객 B'는 16%를 담당했는데,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의 14%, 11%에서 크게 상승한 수치다.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의 절대강자인 엔비디아가 소수의 초대형 고객에 점점 더 의존하면서, 향후 성장동력에 잠재적 취약성이 도사릴 수 있다는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NVIDIA Newsroom의 발표와 TechCrunch, Yahoo finance, Ainvest, 247wallst.com, TrendForce, CNBC의 보도에 따르면, 업계와 애널리스트들은 이 미스터리 고객이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메타(Meta)를 비롯한 미국 빅테크 하이퍼스케일러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엔비디아는 보고서에서 이들 고객을 '직접 고객(direct customer)'이라고 명시했다.

 

이는 시스템 integrator와 OEM 등 칩을 직접 구매해 시스템이나 보드를 만들어 재판매하는 기업임을 의미한다. 즉 이들이 최종 사용자로서 거대 클라우드 AI 인프라 투자를 주도한다는 해석이 나온다.

 

엔비디아의 CFO인 콜렛 크레스(Colette Kress)는 실적 발표에서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이 데이터센터 매출의 50%를 차지하며, 이 데이터센터 매출이 전체 분기의 88%에 달한다"고 밝혔다.

 

젠슨 황 CEO 역시 "최근 AI 인프라 구축 붐과 함께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 상위 4대 하이퍼스케일러가 연간 약 6000억 달러의 자본지출(capex)을 계획 중이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엔비디아의 최근 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56%의 폭발적 성장세를 기록했다, 하지만 이런 성장 이면에는 특정 대형 고객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다.

 

HSBC의 애널리스트 프랭크 리(Frank Lee)는 "2026년 하이퍼스케일러의 예상 자본지출(capex)에 대한 명확한 정보 없이는 단기적 실적 개선이나 주가 상승 모멘텀(catalyst)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Gimme Credit의 선임 애널리스트 데이브 노보셀은 "막대한 현금과 자유 현금흐름을 보유한 소수 고객 집중이 분명한 리스크이나, 이들 기업의 지속적 대규모 투자 덕에 엔비디아는 당분간 견고한 성장이 가능하다"면서도, 하이퍼스케일러 중심 매출 구조의 변동성에 대한 경계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현재 엔비디아는 이러한 집중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해 기업용 AI, 정부의 '주권 AI' 프로젝트(올해 200억 달러 예상), 신흥 클라우드 서비스사(네오클라우드) 등 다양한 고객군으로 영역을 확장 중이다. 실제 Q2 기준 상위 4개 고객이 전체 매출의 46~54%를 차지했으며, AI 칩 시장의 지배력과 동시에 리스크 관리 전략이 엔비디아의 미래 방향성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즉 단기간 내 폭발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의 소수 대형 고객 의존도가 높아진 점은 업계와 투자자 모두에게 전략적 경계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하이퍼스케일러의 투자 방향과 시장 구조 변동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