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AI 황태자, 워런 버핏 넘어섰다…'4조 달러' 엔비디아 젠슨 황, 글로벌 부호 10위권 진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7월 엔비디아가 미국 상장사 최초로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하며, CEO 젠슨 황(Jensen Huang)도 글로벌 자산가 판도를 뒤흔들었다.

 

포브스와 블룸버그 등 주요 매체의 실시간 억만장자 지수에 따르면, 황의 순자산은 1400억~1510억 달러로,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을 앞질렀다는 수치가 발표됐다. 이는 2025년 한 해에만 약 280~290억 달러 이상이 늘어난 결과다.

 

AI가 만든 부의 신흥강자…엔비디아의 질주


엔비디아의 2025년 7월 시가총액은 4조 달러를 돌파하며 사상 첫 '4조 클럽'에 입성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약 3.75조 달러), 애플(약 3조 달러)을 따돌린 기록적 성과다.

 

젠슨 황의 엔비디아 지분율은 약 3.5~3.8%(8억~9.3억 주 수준)로, 최근 1년간 700억 달러에 상당하는 주식을 매각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급등하며 자산이 크게 증가했다.

 

AI 반도체 시장 지배와 매출 폭증


엔비디아는 2025년 전세계 AI 반도체 시장에서 77%의 웨이퍼 점유율(Morgan Stanley 기준), 80~90%에 육박하는 AI 가속기 시장 점유율(William Blair, PatentPC 등)을 기록하고 있다. H100, B200, 블랙웰(Blackwell) 등 고성능 AI 칩은 오픈AI·메타(Meta) 등 글로벌 빅테크 데이터센터와 언어모델 학습의 사실상 표준이 됐다.

 

엔비디아 주가, 실적, 전망


2023~2025년 2년 사이 시총 1조 이던 회사가 4조 달러로 급성장했으며, 연매출 역시 1300억 달러로 4.8배 성장했다. 

 

2025년 증시에서 S&P 500 비중도 7.3%까지 확대, 단일 종목 기준 역대 최고 수치를 기록했다.

 

애널리스트들은 12~18개월 내 시가총액 5~6조 달러 돌파를 점치고 있으며, 평균 목표주가도 175달러, 매수 의견 비중이 과반을 넘는다.

 

워런 버핏과의 부의 궤적…’AI의 질주 vs 가치투자의 승부’


버크셔해서웨이 워런 버핏 회장의 2025년 순자산은 1420억~1610억 달러로 추정되며 2020년(675억 달러) 대비 2배 이상 성장했다. 버핏은 최근 수년간 60~70억 달러 이상의 주식을 자선재단 등에 기부하며, 상속 및 사회환원을 가속화하고 있다.

 

한편, 젠슨 황은 2024~2025년 본인 보유지분 일부를 거래계획에 따라 매도했으나, AI·인프라 수요가 폭발하면서 재산이 감소하긴커녕 오히려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AI, 새로운 부의 구심점이 된 엔비디아


지난 30년간 게임 그래픽칩 제작사에서 AI 인프라 최강자로 도약한 엔비디아와, 그 혁신을 이끈 젠슨 황의 질주는 단순한 주가 상승을 넘어 기존 산업지형과 부의 피라미드를 통째로 뒤바꿨다는 평가다.

 

워런 버핏이 장기적 가치·절제된 기부라는 전통적 부의 모델을 이어가는 중이라면, 젠슨 황은 혁신적이고 파괴적인 AI모델로 단숨에 자산 판도까지 흔든 인물이라는 점이 다르다. AI 혁신과 초격차 반도체를 등에 업은 엔비디아 신화는 앞으로도 한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200만년간 지속된 독성 납 노출, 현대인·네안데르탈인 유전적 차이…"납중독, 인류 뇌 진화·언어능력 결정적 영향"

[뉴스스페이스=윤슬기자] 최근 Science Advances에 게재된 국제 공동연구가 기존의 납 독성은 산업화 이후 나타난 현상이라는 통념을 뒤집었다. Phys.org, news.asu.edu, ScienceAlert, bioengineer에 따르면, 서던크로스대학교, UC 샌디에이고, 마운트 시나이 의과대학 연구진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전역에서 출토된 51개의 화석 치아를 고정밀 레이저 절단 기술로 분석한 결과, 73% 표본에서 간헐적 납 노출의 흔적인 ‘납 띠’를 확인했다. 이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부터 네안데르탈인, 현생 인류까지 다양한 호미닌 종에서 공통으로 발견됐으며, 납 노출이 산업혁명보다 훨씬 이전인 약 200만 년 전부터 존재했음을 시사한다.​ 자연 환경이 납 오염의 주요 원인 과거 납 노출은 동굴 내 오염된 물, 화산재, 자연 지질학적 작용 등으로 음식 사슬에 축적됐다. 현대 산업용 납과 같이 인위적 원인에 의한 것이 아닌 자연 발생적 납 노출이 반복되며 인류 진화 과정에 일상적으로 영향을 끼쳤다는 점이 밝혀졌다. 연구진은 20세기 납 휘발유 사용 시기 태어난 인물들의 치아에서 거의 동일한 납 노출 경향을 발견해 진화적 지속성을 확인했다.​

[지구칼럼] "움직이는 예술품·미래 품은 아르데코의 귀환"…벤츠 콘셉트카 ‘비전 아이코닉', 태양광 전기차 혁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메르세데스-벤츠가 2025년 10월 14일 상하이 디자인 하우스에서 공개한 콘셉트카 ‘비전 아이코닉(Vision Iconic)’은 자동차를 넘어 ‘움직이는 예술 조각품’이다. 1930년대 아르데코 시대의 고전적 우아함과 인공지능·태양광 등 미래 기술이 절묘하게 융합된 이번 모델은, 단순한 쇼카를 넘어 메르세데스의 차세대 디자인·기술 철학을 응축한 미래 비전으로 평가된다.​ 메르세데스 그룹의 디자인 총괄 고든 바게너(Gorden Wagener)는 디자인붐과의 인터뷰에서 “비전 아이코닉은 단순한 자동차가 아니라 브랜드의 정체성을 새 시대에 맞게 재해석한 상징물”이라며 “이 차는 전통과 첨단의 융합을 통해 ‘아이코닉 DNA’를 되살린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태양광이 구동하는 차체…주행거리 연 1만2000km ‘햇빛의 힘’ 비전 아이코닉의 핵심 혁신은 희토류나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는 나노 입자 기반 솔라 페인트(Solar Paint) 기술이다. 메르세데스는 이 코팅이 20%의 광전 효율을 달성해, 이상적인 조건에서 연간 최대 1만2000km(약 7450마일)의 추가 주행 거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코팅은 차량이 정지 상태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