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4 (금)

  • 맑음동두천 12.5℃
  • 맑음강릉 15.5℃
  • 맑음서울 12.6℃
  • 맑음대전 14.2℃
  • 맑음대구 15.4℃
  • 맑음울산 16.2℃
  • 맑음광주 13.9℃
  • 맑음부산 17.9℃
  • 맑음고창 14.0℃
  • 맑음제주 17.1℃
  • 맑음강화 12.7℃
  • 맑음보은 12.7℃
  • 맑음금산 11.9℃
  • 맑음강진군 15.1℃
  • 맑음경주시 16.0℃
  • 맑음거제 15.2℃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2025년 아파트(서울·경기도) 실거래 가격 순위 TOP30…압구정15·한남6·반포6·성수1·삼성1·용산1

서울, 한남동이 ‘최고가’…상위 10위 중 6곳 차지
경기도, ‘판교푸르지오그랑블’ 독주…상위 10위 중 7곳이 판교
서울·경기 모두 ‘강남권’·‘신흥 부촌’ 집중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올해들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1위는 한남동의 ‘한남더힐’(전용 243㎡)로, 175억원에 거래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와 고가 아파트 쏠림 현상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음을 실거래 데이터가 다시 한 번 입증했다.

 

2025년 1월 1일부터 4월 23일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자료를 바탕으로 아파트랩이 정리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1위는 한남동의 ‘한남더힐’(전용 243㎡, 175억원), 2위는 한남동 ‘나인원한남’(244㎡)이 158억원, 3위는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160㎡)가 135억원, 4위는 ‘나인원한남’(244㎡)이 119억원에 거래되며 상위권을 형성했다. 특히 한남동은 TOP10 중 6개 곳(한남더힐 3곳, 나인원한남 3곳)이 이름을 올리며 서울 부동산 시장의 ‘핵심’ '대장'임을 재확인했다.

 

반포동의 ‘아크로리버파크’와 ‘래미안퍼스티지’ 등 강남권 대표 단지들도 95억~100억원대의 실거래가로 상위권에 포진했다. 압구정동 ‘현대2차’와 ‘현대1차’ 등 압구정 재건축 단지들도 90억원대의 실거래가를 기록하며 여전히 높은 인기를 보였다.

 

이번 실거래가 순위는 서울은 한남동, 반포동, 압구정동 등 전통적 부촌과 재건축 기대감이 높은 지역에, 경기도는 판교·분당·과천 등 신흥 부촌에 고가 아파트 거래가 집중된 것이 특징이다. 특히 서울은 80억원 이상, 경기도는 27억~42억원대가 TOP30의 기준이 됐다.


서울 5위~10위는 한남 한남더힐 208㎡ 109.3억원, 한남 한남더힐 235㎡ 109.0억원,  나인원한남 244㎡ 102억원,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155㎡ 100.0억원, 압구정 현대신현대12차 183㎡ 96억원, 반포 아크로리버파크 179㎡ 95.0억원으로 나타났다.

 

11위~15위는 반포 래미안원베일리 134㎡ 95억원, 용산 용산푸르지오써밋 274㎡ 95억원, 압구정 현대1차 196㎡ 95억원, 압구정 현대2차 198㎡ 94억원, 압구정 현대2차 198㎡ 94억원으로 조사됐다.

 

16위~20위는 압구정 현대1차 196㎡ 92억원, 압구정 신현대11차 183㎡ 92억원, 반포 래미안원베일리 134㎡ 90.5억원, 압구정 현대 2차 198㎡ 90억원, 압구정 신현대 11차 183㎡ 90억원으로 파악됐다.

 

경기도에서는 성남시 판교동의 ‘판교푸르지오그랑블’이 140㎡ 기준 42억원에 거래되며 1위를 차지했다. 같은 단지의 140㎡, 118㎡, 104㎡ 등 다양한 평형이 30억~40억원대에 거래되며 상위 10위 중 무려 상위 1~6위, 6곳을 차지했다. 판교 일대의 고가 아파트 집중 현상이 두드러진다.

 

7위는 용인시 수지구의 ‘래미안이스트팰리스’, 10위, 11위는 과천시 ‘주공10단지’, 9위, 12위, 14위는 분당구 ‘파크뷰’가 차지하며 30억원 내외의 실거래가로 TOP30에 이름을 올렸다. 경기도 역시 판교·분당·과천 등 강남 접근성이 뛰어난 지역에 고가 아파트가 집중된 모습이다.

 

경기도 아파트 실거래가 TOP 10을 순서대로 살펴보자.

 

1위는 판교 판교푸르지오그랑블 140㎡ 42.0억원, 2위는 판교 판교푸르지오그랑블 140㎡ 38.0억원, 3위는 판교 판교푸르지오그랑블 118㎡ 36.7억원, 4위는 판교 판교푸르지오그랑블 118㎡ 36.5억원, 5위는 판교 판교푸르지오그랑블 118㎡ 36.4억원으로 나타났다.

 

6위는 판교 판교푸르지오그랑블 118㎡ 36억원, 7위는 수지 래미안이스트팰리스 274㎡ 35억원, 8위는 판교알파리움1단지 142㎡ 34억원, 9위는 분당 파크뷰 182㎡ 32억원, 10위는 과천 주공10단지 124㎡ 31억원으로 조사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DSR·LTV도 대감집 머슴에게 '딴세상'…사내대출,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국내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이 운영하는 사내대출 제도가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하고 있다. 시중은행 가계대출 규제가 한층 강화되면서, 삼성,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SK하이닉스, 두나무 등 유수의 기업들은 직원 복지 수단으로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를 대폭 상향·인하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두나무는 최근 집값 안정 대책에도 불구, 사내대출 한도를 기존 3억원에서 5억원으로 늘리고 금리 역시 무이자에 가깝게 운용해 ‘역대급 복지’ 논란의 중심에 섰다.​​ DSR·LTV 적용 없는 사내대출, 실제 규모 5년 새 63% 급증 사내대출이 ‘근로복지기금’으로 취급된다는 사실은 돈줄이 막힌 실수요자들에게 큰 매력이다. 회사가 직접 대출을 시행할 경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나 LTV(주택담보인정비율) 등 금융권 규제와 관계없이 한도 산정이 자유롭고, 신용점수에도 영향이 없다. 실제 2020년 연간 대출액은 2조원대에서 2023년 3조392억원까지 63%나 늘었고, 공공기관을 포함한 상위 7개 기관의 사내대출 잔액도 최근 5년간 500억원 이상 증가했다.​ 국내 대표적인 사내복지가 우수한 회사별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는 다음

유진그룹 계열 티엑스알로보틱스, ‘싱귤레이터’ 특허 출원∙∙∙고정밀 물류 자동화 솔루션 출시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유진그룹(회장 유경선) 계열 로봇∙물류 자동화 전문기업 티엑스알로보틱스(대표이사 엄인섭)는 자체 개발한 상품 분류 및 정렬 시스템 관련 기술에 대해 특허를 출원하고, 해당 기술을 적용한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출원된 특허는 ‘상품의 분류와 정렬이 가능한 싱귤레이터(Singulator)’로 무작위로 투입된 상품을 자동으로 개별 인식·분류하고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해 배출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단순 이송 중심 장비와 달리 정렬의 정확도와 유연성을 크게 높인 것이 특징이다. 핵심 기술은 싱귤레이터의 각 모듈 제어 기술과 비전(영상 인식) 시스템이다. 카메라가 상품의 형태와 위치를 실시간으로 인식하면, 싱귤레이터의 각 모듈이 분류 과정에서 상품의 자세 및 방향과 배출 순위를 동시에 조정한다. 이를 통해 상품이 크기나 형태에 따라 자동으로 정렬되고, 1열 또는 다열 형태로 개별 배출이 가능하다. 그 결과 물류센터의 자동화 속도와 작업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티엑스알로보틱스 물류자동화본부 김주원 전무는 “이번 특허 기술은 기존 싱귤레이터의 한계를 넘어, 상품을 보다 정밀하고 유연하게 분류할 수 있도록 개발된 솔루션”

[랭킹연구소] 대기업 다니는 김 부장, 임원 승진 확률은? 100대 기업 고작 0.82%…KB금융 16.2% vs 이마트 0.13%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드라마 속 대기업에 다니는 김낙수 부장이 현실에서 임원으로 승진할 가능성은 얼마나 될까?’ 국내 100대 기업에 다니는 일반 직원이 임원 명함을 새길 확률은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나 올해는 작년보다 임원 문턱이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0대 기업 직원 119명당 1명꼴로 임원으로 활약했다면, 올해는 122.5명당 1명으로 늘었기 때문이다. 임원으로 오를 수 있는 산술적 확률도 작년 0.84%에서 올해 0.82%로 더 낮아졌다. 단일 기업으로 최다 임원을 보유한 삼성전자도 지난 2014년 이후 일반 직원이 임원까지 오를 가능성은 점점 좁아지고 있는 양상이다. 또 100대 기업 중 ‘KB금융’은 임원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편에 속했다. 업종 중에서는 증권업은 타업종 대비 임원에 오를 가능성이 비교적 높았지만, 유통업에서 임원 되기란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25년 100대 기업 직원의 임원 승진 가능성 분석’ 결과를 11일 발표했다. 조사는 상장사 매출액 100대 기업(2024년 별도 기준)을 대상으로 직원과 임원수를 비교 조사했다. 조사 대상 임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