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현재 수도권과 지방 간 아파트 가격 양극화가 17년 만에 최대치에 달하며, 서울 강남권 고가 아파트와 지방 저가 아파트 간 가격 격차가 극심해지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10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7월 기준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격지수에서 수도권은 152.0, 지방은 105.2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7년 11월(100 기준) 이후 수도권이 지방보다 44.5% 높은 수준이다.
특히 서울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전용 84㎡ 아파트의 경우, 2025년 6월 실거래가가 72억원에 이르러 반년 만에 17억원 상승했다. 반면 경북 김천시 부곡동 ‘신한양’ 전용 82㎡ 아파트는 동일 시기에 7000만원 수준으로, '원베일리' 한 채 가격으로 김천 아파트 102채를 살 수 있는 격차를 기록했다.
이러한 양극화는 다주택자 규제 강화 및 저금리 기조, 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문재인 정부 시기부터 시작된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은 저금리와 코로나19 팬데믹, 서울 및 수도권 투기과열지구 지정과 분양가 상한제 확대 등 규제가 맞물리면서 심화했다.
특히 현 정부의 6억원 주택담보대출 한도 및 3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는 수요가 고가 주택으로 쏠리게 만들며 수도권 집값 상승과 지방의 가격 하락을 가속화했다.
경제 구조적인 측면에서도 수도권 집중 현상은 양극화 심화를 부추긴다. 2015년 이후 수도권이 지역내총생산(GRDP)에서 비수도권을 추월해 53%를 차지하는 등 수도권 경제력 집중이 심화됐고,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인구와 투자가 몰리면서 지방 경제와 부동산 시장은 침체되었다. 이 같은 경제력 격차는 전국 아파트 가격 격차 확대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다.
전문가들은 다주택자 규제 강화 기간 동안 KB매매가격지수 분석 결과, 수도권 아파트 가격이 평균 0.912% 상승한 반면 지방은 0.075% 하락하는 등 정부 정책이 수도권-지방 간 주택 가격 양극화를 심화시켰다고 평가한다. 또한 금리 상승, 경기 둔화 등 요인이 지방 주택 매수 유인을 감소시키면서 지방 부동산 가격 하락을 부추긴 것으로 보인다.
주택시장 전문가들은 "서울과 수도권의 인구집중과 다주택자 규제, 그리고 금융규제 정책의 한계가 집값 양극화의 핵심 요인"이라며 "근본적인 경제력 분산 정책과 지역 균형 발전 전략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