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구름조금동두천 14.5℃
  • 구름조금강릉 15.9℃
  • 구름조금서울 15.0℃
  • 맑음대전 16.3℃
  • 맑음대구 16.3℃
  • 맑음울산 17.2℃
  • 맑음광주 16.8℃
  • 맑음부산 19.8℃
  • 맑음고창 16.6℃
  • 맑음제주 18.1℃
  • 구름조금강화 14.1℃
  • 맑음보은 14.2℃
  • 맑음금산 15.6℃
  • 맑음강진군 17.9℃
  • 맑음경주시 17.0℃
  • 맑음거제 1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JWST, 최초로 토성급 외계행성 직접 포착…‘목동 행성’ 이론도 실증

사상 첫,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직접 포착한 ‘토성형 외계행성’ TWA 7b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6월, 천문학계는 역사적인 전환점을 맞았다.

 

NASA의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이 인류 최초로 토성 질량에 해당하는 외계행성 TWA 7b를 직접 이미징 방식으로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지금까지 약 5900여 개의 외계행성이 발견됐지만, 대부분이 간접적(트랜싯, 도플러 등) 방법에 의존했던 것과 달리, 빛이 극히 약한 외계행성을 직접 ‘사진’으로 남긴 첫 사례다.

 

‘토성급’ 행성, 원반의 틈에서 포착되다

 

TWA 7b는 지구에서 약 110~111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TWA 7(CE Antilae)을 공전하는 가스형 거대행성이다. 질량은 목성의 0.3배(약 100지구질량)로, 토성과 비슷하다.

 

아직 형성된 지 6.4백만년밖에 되지 않은 젊은 항성계로, 행성은 항성에서 약 52AU(태양-지구 거리의 52배) 떨어진 곳을 돌고 있다. 표면 온도는 약 47도(섭씨)에 이르며, 형성 직후의 열을 아직 방출하는 중이다.

 

이 행성의 발견은 단순한 ‘신규 외계행성’ 추가를 넘어, 행성 형성과 원반 구조의 상호작용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TWA 7 주변에는 세 개의 뚜렷한 먼지 고리와 그 사이의 틈(gap)이 존재하는데, TWA 7b는 이 중 가장 좁은 틈 한가운데에서 포착됐다.

 

이는 행성의 중력이 먼지 원반에 틈을 만들고, 주변 물질을 ‘목동(shepherd)’처럼 조절한다는 이론을 직접 입증한 첫 사례다.

 

앤 마리 라그랜지(Anne-Marie Lagrange) 연구책임자는 "관측 결과, 행성의 위치와 질량은 먼지 원반의 구조를 설명하는 이론적 예측과 정확히 일치했다”고 설명했다.

 

JWST의 ‘MIRI 코로노그래프’가 만든 혁신


이번 발견의 핵심은 JWST의 중적외선 관측장비 MIRI(Mid-Infrared Instrument)와 첨단 코로노그래프 기술이다. 코로노그래프는 항성의 강한 빛을 차단해, 그 주변의 희미한 행성이나 원반 구조를 드러내는 장치다.

 

특히 MIRI에는 세계 최초로 우주망원경에 적용된 4분면 위상마스크(4QPM) 코로노그래프가 탑재되어, 극도로 작은 각거리(0.3~0.5초각) 내에서도 항성 빛을 억제하고 행성 신호를 포착할 수 있다.

 

실제 관측 과정에서는 고대비 이미징 기법과 잔여 항성광 제거(PSF subtraction) 알고리즘을 동원해, 항성 빛에 묻힌 미약한 적외선 신호를 추출했다. 이 과정에서 TWA 7b는 태양계 천체나 배경 은하일 가능성이 0.34% 미만으로 낮아, 사실상 행성임이 유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목동 행성’ 이론, 30여년 만에 첫 실증

 

TWA 7b의 위치와 원반 구조는 ‘목동 행성(shepherd planet)’ 가설의 직접 증거다. 이 이론은 토성의 위성들이 고리의 경계를 유지하듯, 행성이 원반 내 틈을 만들고 주변 물질을 조절한다는 내용이다. 그간 베타 픽토리스 등 일부 항성계에서 간접적 증거가 있었으나, 행성 자체가 원반 틈에서 직접 포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앤 마리 라그랜지(Anne-Marie Lagrange) 연구원은 “이번 발견은 행성이 실제로 원반에 틈을 만들고, 그 구조를 조절한다는 이론을 실증한 첫 사례”라고 강조했다.

 

직접 이미징, 왜 어려운가?


외계행성 직접 이미징은 극한의 기술적 도전이다. 항성은 행성보다 수백만~수억 배 밝으며, 행성 신호는 항성 빛에 묻혀 사라지기 쉽다. 특히 젊고, 질량이 크며, 항성에서 멀리 떨어진 행성만이 현재 기술로 포착 가능하다. JWST의 대형 주경(6.5m)과 적외선 감도, 그리고 첨단 코로노그래프가 결합되어야만 이번처럼 토성 질량의 행성을 직접 볼 수 있다.

 

차세대 외계행성 연구의 신기원

 

TWA 7b 발견은 JWST가 토성급 이하의 저질량 외계행성도 직접 이미징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연구진은 향후 목성 질량의 10% 수준(지구질량 30~40배)의 행성까지 포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지구형 행성의 직접 이미징, 생명체 탐색 등 외계행성 연구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한다.

 

JWST의 TWA 7b 직접 이미징은 기술적 한계를 돌파한 쾌거이자, 행성 형성 이론의 실증, 그리고 외계행성 탐사의 새로운 장을 여는 사건이다.

 

앞으로 JWST와 차세대 망원경들은 더 작고, 더 희미한 외계행성의 직접 이미징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제주항공, 3분기 550억원 영업손실…무안공항 참사 여파 '재무리스크'로 휘청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제주항공이 2025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55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심각한 경영난에 직면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3883억원에 그쳤고, 환율 상승과 경쟁 심화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올해 3분기 평균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항공기 임차료와 정비비 등 달러 결제 비용이 크게 늘었고, 중·단거리 노선에서 항공사 간의 공급 과잉으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진 점이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지난해에 비해 일본 노선이 지진설 여파로 성수기 효과를 보지 못하고, 10월에 추석 연휴가 포함된 점도 실적 저하에 한몫했다.​ 재무적 타격은 3분기 실적에만 그치지 않는다. 2024년 12월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인해 항공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이 부각됐다. 승객과 유족에 대한 보상 한도는 약 1조4720억원(10억 달러 상당)으로 책정됐으며, 이는 비행기 사고 관련 국제 약관인 몬트리올 협약에 따른 최고 한도액이다. 제주항공 측은 초기 예매금액 환불과 더불어, 약 2421억원(1억6500만 달러)에 달하는 단기 차입금 상환 부담까지 겹치며 단기적인 현금 유동성 위기에

[이슈&논란] 카타르항공, 기내 질식사 이어 알레르기 사고로 73억원 소송…세계 1위 항공사의 허술한 위기대응 '빈축'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세계 1위 항공사로 알려진 카타르항공이 승객 안전 관리 부실과 미숙한 대응으로 인해 잇단 법적 소송에 직면했다. 13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 거주하는 스웨타 니루콘다가 3세 딸이 비행 중 승무원이 준 유제품 함유 과자를 먹고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일으켜 중환자실에 입원하게 된 사례다. 니루콘다는 지난 4월 워싱턴 덜레스 국제공항에서 카타르항공 QR710편을 타고 인도로 가는 중 딸의 심각한 견과류와 유제품 알레르기를 승무원에게 여러 차례 알렸으나, 승무원이 과자를 먹인 뒤 위급상황이 발생했다. 딸은 도하 경유 후 인도 도착 직전에 다시 중증 알레르기 반응을 보여 2일간 ICU 치료를 받았다. 이에 니루콘다는 카타르항공을 상대로 500만 달러(약 73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변호사는 승무원이 알레르기 경고를 무시하고 과자를 제공한 점, 이후 적절한 의료지원이 이뤄지지 않은 점을 심각한 과실로 지적했다.​ 두 번째 사건은 2023년 6월 30일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스리랑카 콜롬보로 향하던 비행기에서 발생했다. 85세 심장병 전문의 아쇼카 자야위라 박사는 사전에 주문한 채식 기내식을 받지

[이슈&논란] JAL 스튜어디스 "하이힐 벗고, 운동화 신다"…항공업계 글로벌 복장 혁신 가속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본항공(JAL)이 2025년 11월 13일부터 객실 승무원과 공항 근무자 약 1만4000명을 대상으로 근무 시 운동화 착용을 허용하는 정책을 도입했다. 이 조치는 승무원들에게 하이힐 착용을 강요하는 관행에서 탈피해 직원들이 보다 편안한 근무환경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운동화는 검은색으로 유니폼과 어울리는 디자인이어야 하며, 운동화의 구체적인 규정은 따로 없지만 플랫폼형 운동화는 안전상의 이유로 금지된다.​ 일본항공의 운동화 착용 허용 배경과 정책 내용 JAL은 그룹 산하 6개 항공사 및 국내외 56개 공항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에게 이 새로운 복장 규정을 적용한다. 기존에 승무원들의 하이힐 착용 의무는 신체적 불편과 안전 문제에 대한 내부 불만이 확산되면서 변화가 요구돼 왔다. 일본항공은 이번 정책이 직원 만족도와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전통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일하기 좋은 직장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의도임을 밝혔다. 과거에는 하이힐 착용 규정이 여성 승무원에 대해 있었으나, 2020년대 초중반부터 일본 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운동화 착용 허용에 적극 나서며 점차 확산되는 추세에 발맞춘 변화다.​ 유럽 및 글

[우주AtoZ] 중국 우주정거장 선저우 20호, 우주파편 충돌로 3명 우주인 ‘비상 귀환’ 연기…2003년 이래 첫 일정 차질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중국 유인우주선 프로그램이 선저우 20호의 귀환 지연으로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2025년 4월 24일 발사된 선저우 20호는 톈궁 우주정거장과 도킹 후 우주 과학 및 응용실험을 수행하며 6개월간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승무원인 천둥(사령관), 천중루이, 왕제가 탑승했으며, 이들은 원래 11월 5일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최근 선저우 20호가 궤도상에서 미소 우주파편의 충돌로 손상되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비상 조치가 취해졌다. 이 충돌은 우주선 외부에 경미한 손상을 입혔으나, 대기권 재진입 시 극심한 열과 충격에 노출될 우려가 있어 승무원 없이 무인으로 귀환하는 계획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우주인들의 귀환 일정은 불가피하게 연기되었으며, 중국 유인우주공정사무실은 “생명 우선, 안전 제일” 원칙에 따라 비상대응 계획을 즉시 시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현재 주취안 위성 발사센터에서 다음 인원 교체를 목적으로 제작된 선저우 22호가 발사 준비 중인 상태다. 이 우주선은 새로운 보급품을 싣고 톈궁으로 가 승무원 교체 및 귀환 임무를 수행할 계획이나, 공식 발사 일정은 미정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선저우 20호 충돌사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