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The Numbers] 루닛 임원들의 기막힌 '꼼수'에 개미들 '분노'…1주만 더 팔면 미리 공시했어야

공시 의무 피한 임원들의 '49억 9993만원' 블록딜에 시장 실망
8월부터 1300억 순매수한 기관, 이틀만에 320억원 던져
"296억원 팔아치우고 겨우 6억원 매수"에 주주들 분통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의료 인공지능(AI) 기업인 코스닥 상장사 루닛 임원들이 사전공시를 피하기 위한 '꼼수 매도' 소식에 연일 하락세다.

 

루닛은 '회사 펀더멘탈에는 문제가 없다'고 진화에 나섰지만 이미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불신이 팽배한 분위기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루닛은 18일에도 전거래일 대비 8600원(10.26%) 하락, 19일은 전일 대비 3800원(5.05%) 하락한 7만1400원, 20일에도 11.9% 빠진 6만29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같이 3일 연속 루닛의 약세는 임원 및 주요주주의 시간외매매(블록딜) 소식 때문이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루닛 임원 6명과 주요 주주 1인 등 7명은 보유한 일부 주식을 이날 장이 열리기 전 블록딜(시간 외 대량 매매) 방식으로 매각했다. 매각된 주식은 38만334주로 대상 기업은 미국계 롱펀드 운용사다.

 

해당 공시에 따르면 지난 18일 개장 전 ▲팽경현 상무이사(6만4156주) ▲유동근 상무이사(6만4156주) ▲박승균 상무이사(6만4156주)▲이정인 이사(6만4156주)▲박현성 상무이사(6만4156주) ▲옥찬영 상무이사(9554주)는 주당 7만7934원에 보유주식 각 수량만큼 블록딜로 처분했다. 현 임원은 아니지만 주요주주인 장민홍 공동 창업자(전 최고사업책임자)도 보유 중인 5만주를 7만7934원에 블록딜로 매도했다.

 

이 여파로 최근 고공행진하던 루닛의 주가가 하락하자 회사 측은 해명에 나섰다. 루닛 관계자는 “회사의 대규모 자금 조달 계획에 임원과 관계자가 적극 동참한 데 따른 대출금 상환 등 개인적인 사유에 의한 것”이라며 “회사 성장성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이어 같은 날 루닛은 백승욱 이사회 의장과 서범석 대표이사가 총 6억원 규모의 회사 주식 7747주를 장내 매수했다고 밝혔다. 회사측은 “앞서 진행된 블록딜에 대한 주주 불안감을 해소하고 잠재적 주가 하락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라는 이유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이번 블록딜을 두고 의심스러운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올해 7월부터 시행된 내부자거래 사전공시제도를 피하기 위해 ‘꼼수’를 부린 것 아니냐는 의혹이다. 이 제도는 상장사 내부자의 대량 매도로 주가가 급락해 투자자가 피해를 보는 것을 막기 위해 도입됐다.

루닛 임원들이 1인당 매도 수량을 6만4156주로 정한 이유가 바로 사전 공시를 피하기 위한 것이란 주장이다. 앞서 지난 7월 24일부터 시행된 '상장사 내부자거래 사전공시제도'는 지분 10% 이상 주요 주주와 회사 경영진, 전략적투자자(SI)는 지분 1% 이상 혹은 50억원 이상을 거래할 때 거래 가격과 수량·기간을 최소 30일 전에 공시해야 한다.

 

처분단가(7만 7934원)를 고려할 때, 루닛 임원들의 1인당 매도금액은 49억9993만3704억원으로 딱 1주 차이로 사전공시의무 제도를 면제받았다.

 

투자자들은 이같은 루닛 임원들의 행태가 법적으로 문제가 없을지라도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게 만드는 행동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내부정보에 정통한 임원들이 사전공시까지 피해가며 주가 '고점'을 노려 수백억 원을 벌어들였다는 주장이다.

 

투자자들은 종목토론방 등에서 "296억원 팔아치우고 겨우 6억원 매수했느냐", "이러니까 국장(국내주식)은 하지 말라는 것"이라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루닛은 지난 5월 유방암 검진특화 AI 기업 볼파라를 인수한 뒤, 지난 8월 발표한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역대 최대 매출액을 기록하며 주가가 상승세를 탔다. 이번 2분기 실적발표 이후 지난 17일까지 기관은 루닛을 1326억원 순매수하며 루닛의 주가를 3만5400원에서 8만5800원까지 2배 이상 끌어올렸다.

 

그러나 임원들의 매도 소식이 알려진 지난 18일과 19일 겨우 이틀 사이 기관 투자자는 루닛을 324억 원 순매도하며 등을 돌리는 모양새다. 특히 사모펀드는 208억원, 연기금이 117억원을 팔아치웠다. 이 기간 개인은 94억원, 외국인은 220억원 순매수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 국평 아파트 사려면 '14억5981만원' 1년새 25.5% 상승 …매매가는 서초구·전세가는 강남구 가장 높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해 1분기 서울의 '국민평형'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년새 25%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국민평수(국평)’로 불리는 전용면적 84㎡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와 전세 보증금 수준을 분석한 ‘아파트 다방여지도’를 첫 공개했다. ‘아파트 다방여지도’는 국토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추출한 서울 자치구별 평균 매매가와 평균 전세 보증금 수준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제작한 지도다. 평균 시세를 기준(100%)으로 봤을 때, 100%보다 높으면 해당 지역의 시세가 평균보다 높다는 의미이다. 이는 다방이 매달 연립∙다세대 원룸 전∙월세 수준을 분석해 공개하는 ‘다방여지도’의 아파트 버전이다. 1분기(1~3월) 다방여지도에 따르면, 서울 지역 아파트 전용면적 84㎡의 평균 매매가는 14억5981만원, 평균 전세보증금은 6억5292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동기 대비 각각 매매가격은 25.5%, 전세보증금은 2.3% 증가한 수치다. 자치구 중 평균 매매가 1위는 서초구(28억8074만원)이며, 전세보증금 1위는 강남구(9억9590만원)로 각각 집계됐다. 서초구에 이어 매매가격은 강남구 173%, 송파구 1

한미글로벌-따뜻한동행, 산불 피해 지역에 '드림하우스' 공간복지 지원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사회복지법인 따뜻한동행(이사장 김종훈)이 PM(건설사업관리) 전문기업 한미글로벌과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국수나무와 함께 경북 의성군 산불 피해 지역의 마을 공동시설 복구 지원을 완료했다고 29일 밝혔다. 따뜻한동행은 지난 3월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피해를 입은 경북∙경남 지역의 장애인 복지시설 및 마을 공동시설을 대상으로 ‘드림하우스’ 공간복지 지원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1차 모집을 통해 경북 의성군 내 두 곳의 경로당이 수혜 시설로 선정되었으며, 주민들의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해 신속한 복구 작업을 펼쳤다. 특히 화재로 외벽과 창호 등이 심각하게 훼손된 경로당은 이재민들의 대피 및 임시 주거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어 긴급 복구가 절실한 상황이었다. 따뜻한동행은 한미글로벌과 국수나무와 협력하여 ▲외벽 균열 보수 및 난연 페인트 시공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냉난방 설비 교체(창호, 전기배선 등) ▲휴게공간 보수 ▲유니버설 디자인(범용 디자인) 적용 등 안전성과 쾌적성을 높이는 맞춤형 복구 작업을 실시했다. 의성군청 통합돌봄과 손창원 과장은 "화재로 삶의 터전을 잃고 큰 불편을 겪었던 주민들이 기대 이상으로 빠르게 복구된 공간

[랭킹연구소] "월세 평균 70만원, 강남구 90만원, 서초·용산·성동 82만원"…서울 25개구 연립·다세대, 월세·전세 가격 순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지역 연립·다세대 원룸(전용 33㎡ 이하) 평균 월세가 7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강남구가 90만원, 이어 서초구, 용산구, 성동구가 82만원으로 서울 평균 월세를 훨씬 웃돌았다. 4월 24일 다방은 올해 3월 기준 서울 지역 연립·다세대 원룸의 25개 자치구별 전월세 수준을 분석한 '다방여지도'를 발표했다. 이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바탕으로 추출한 자치구별 평균 월세와 평균 전세 보증금을 서울 지역 평균과 비교해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제작한 자료다. 서울 평균 시세를 기준(100%)으로 봤을 때, 100%보다 높으면 해당 자치구의 원룸 시세가 평균보다 높다는 의미다. 전월세 전환율을 반영한 보증금 1000만원 기준의 평균 월세와 평균 전세 보증금을 산출해 제작했다. 평균 월세의 경우 월세 보증금 1억원 미만의 거래를, 평균 전세 보증금의 경우 모든 전세 거래를 집계했다. 다방에 따르면 3월 서울 연립·다세대 원룸의 보증금 1000만원 기준 평균 월세는 70만원으로 나타났다. 전세 보증금은 평균 2억902만원을 기록했다. 이는 한 달 전보다 월세는 평균 3만원(4.6%), 전세는 367만원(1.8%) 각각 오

대선후보들은 어디에 살까?…한동훈·홍준표·김동연·이재명 '강남·분당' vs 김문수·이준석 '관악·노원'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차기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의 거주 아파트가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후보들의 부동산 자산은 단순한 재산 공개를 넘어, 각자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 그리고 정책적 시각까지 드러내는 창이다. 이재명, 김동연, 김문수, 홍준표, 한동훈, 이준석 등 여야 주요 대선후보 6인의 거주 아파트 현황과 특징을 심층 분석했다. ◆ 이재명, 분당 1기 신도시 ‘양지마을 금호1단지’…재건축 호재로 시세 급등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위치한 ‘양지마을 금호1단지’ 전용 164㎡ 아파트를 부인 김혜경 씨와 공동명의로 보유하고 있다. 이 아파트는 1992년 입주를 시작해 재건축 연한을 넘긴 상태로, 최근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로 지정되며 시세가 크게 뛰었다. 2024년 12월 기준 동일 면적이 27억5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재명 후보가 1998년 3억6600만원에 매입한 이 아파트는 약 24억원의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는 ‘재건축 대박’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분당선, 중앙공원, 초등학교 인접 등 입지 프리미엄도 두드러진다. ◆ 김문수, 관악구 ‘은천2단지’…검소함 드러내는 중저가 실용형 선택

유진그룹, 리츠 시장 진출…유진리츠운용, 국토부로부터 리츠 AMC 설립 인가 획득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유진그룹(회장 유경선)이 부동산 금융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유진그룹 계열 유진리츠운용(대표이사 권오정)은 지난 21일 국토교통부로부터 리츠 AMC(자산관리회사) 설립 인가를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유진그룹은 지난해 상반기부터 리츠 시장 진출을 추진해왔다. 기존 섬유 계열사인 유진한일합섬은 올해 2월, 70억 원 규모의 신규 출자를 단행했으며, AMC 설립 인가를 획득함에 따라 유진리츠운용을 100% 자회사로 편입할 예정이다. 이번 인가를 계기로 유진리츠운용은 디벨로퍼 중심의 사업 구조에 금융 기능을 결합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유진그룹은 기존 사업 구조에 부동산 금융을 더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계획이다. 특히 리츠를 통해 장기적인 수익 기반을 확보하고, 체계적이며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유진그룹은 기존 사업 구조에 부동산 금융을 더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방침이다. 특히 리츠를 통해 장기적 수익 기반을 확보하고, 체계적이고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유진그룹 관계자는 “유진리츠운용의 리츠 AMC 인가 획득을 통해 그룹의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국내

[랭킹연구소] 2025년 아파트(서울·경기도) 실거래 가격 순위 TOP30…압구정15·한남6·반포6·성수1·삼성1·용산1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올해들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1위는 한남동의 ‘한남더힐’(전용 243㎡)로, 175억원에 거래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부동산 시장의 양극화와 고가 아파트 쏠림 현상이 올해도 이어지고 있음을 실거래 데이터가 다시 한 번 입증했다. 2025년 1월 1일부터 4월 23일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자료를 바탕으로 아파트랩이 정리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1위는 한남동의 ‘한남더힐’(전용 243㎡, 175억원), 2위는 한남동 ‘나인원한남’(244㎡)이 158억원, 3위는 성수동 ‘아크로서울포레스트’(160㎡)가 135억원, 4위는 ‘나인원한남’(244㎡)이 119억원에 거래되며 상위권을 형성했다. 특히 한남동은 TOP10 중 6개 곳(한남더힐 3곳, 나인원한남 3곳)이 이름을 올리며 서울 부동산 시장의 ‘핵심’ '대장'임을 재확인했다. 반포동의 ‘아크로리버파크’와 ‘래미안퍼스티지’ 등 강남권 대표 단지들도 95억~100억원대의 실거래가로 상위권에 포진했다. 압구정동 ‘현대2차’와 ‘현대1차’ 등 압구정 재건축 단지들도 90억원대의 실거래가를 기록하며 여전히 높은 인기를 보였다. 이번 실거래가 순위는 서울은 한남동

[랭킹연구소] 남녀간 근속연수 차이 적은 회사순위 TOP20…신한카드>에코플라스틱>대한항공>ABL생명>스탠다드차타드>KT&G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대기업 여성 평균 임금이 처음으로 남성의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근속연수와 비교하면 여전히 성별 임금 격차가 커서 여성의 직무 포지션과 승진 기회 확대 등이 과제로 남아 있다. 22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국내 500대 기업 남녀 직원 평균 연봉 및 근속연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2024년 기준 여성 평균 연봉은 7405만원으로, 남성(1억561만원)의 70.1% 수준이었다. 이는 2023년의 68.6%에서 1.5%포인트(p) 높은 것으로, 2년 전(66.9%)에 비해서도 점진적으로 개선 추세다. 그만큼 매년 남녀 간 임금 격차가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따져보면 남녀 격차는 여전히 크다. 여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9.2년으로 남성(11.9년)의 77.3%에 해당하지만 연봉 수준은 70.1%에 그쳤다. 즉, 동일한 기간 근속했더라도 여성이 약 7%p 낮은 대우를 받고 있는 셈이다. 이는 대기업 여성 비율이 전체 직원의 26.4%에 불과한 데다, 그마저도 이들 대부분이 낮은 직급에 머무르고 있다는 현실을 방증한다. 조직 내 지위와 보상 체계에서의 성별 불균형이 여전하다는 뜻이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