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이재용, 메타∙아마존∙퀄컴 등 빅테크 CEO와 회동…"삼성답게 미래 개척"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 자택서 단독 미팅… 우정과 기술 파트너십 다져
앤디 재시 아마존 CEO 회동에는 전영현 DS부문장 등 반도체 경영진 배석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사장 겸 CEO와 만나 미래 반도체 사업 협력 강화 논의
2주간에 걸친 미국 출장 마무리…'기술 초경쟁' 시대 삼성 경쟁력 점검
AI 분야에서 삼성과 고객사의 경쟁력 결합한 새로운 협력 모색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메타, 아마존, 퀄컴 등 글로벌 IT 산업을 주도하는 주요 빅테크 기업의 CEO들과 잇따라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삼성전자는 이 회장이 빅테크 기업 CEO들과의 회동을 끝으로 2주에 걸친 미국 출장을 마무리했다고 13일 밝혔다.

 

11일(현지시각) 이재용 회장은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의 초청으로 미국 서부 팔로 알토에 위치한 저커버그의 자택에서 단독 미팅을 가졌다. 4개월 만에 만난 두 사람은 AI,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미래 ICT 산업 및 소프트웨어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회장은 2011년 저커버그 CEO 자택에서 처음 만난 이후로 현재까지 8번의 미팅을 가질 정도로 각별한 우정을 쌓아오고 있다.

 

이 회장은 12일(현지시간)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방문해 앤디 재시 아마존 CEO를 만났다. 이 회장과 재시 CEO는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등 주요 사업에 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할 방침이다.

 

아마존은 세계 1위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로, 차세대 메모리를 비롯한 반도체 사업의 핵심 비즈니스 파트너 중 하나로,  이 회장과 재시 CEO는 생성형AI와 클라우드 컴퓨팅 등 현재 주력 사업에 대한 시장 전망을 공유하며 추가 협력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아마존은 올해 3월 AI 데이터센터에 향후 15년간 15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하고, AI 기업 앤스로픽에 40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최근 'AI 주도권' 확보 경쟁에 뛰어들었다. 삼성전자와 아마존은 반도체 이외에도 TV∙모바일∙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고 있는데, 이 회장과 재시 CEO의 이번 만남을 통해 삼성과 아마존의 협력 관계가 한층 더 깊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10일(현지시간)에는 미국 새너제이에 위치한 삼성전자 DSA에서 크리스티아노 아몬 퀄컴 사장 겸 CEO를 만나 AI 반도체와 차세대 통신칩 등 미래 반도체 시장에서의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양사는 최근 AI PC 및 모바일 플랫폼으로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 회장은 이번 미국 출장기간 중에 퀄컴뿐만 아니라 글로벌 팹리스 시스템반도체 기업들과도 연이어 만나 파운드리 사업 협력 확대 및 미래 반도체 개발을 위한 제조기술 혁신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미국 동부(뉴욕과 워싱턴) 일정에 이어 미국 서부에서 글로벌 IT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주요 빅테크 기업 CEO들과 잇따라 만난 이 회장은 약 2주간에 걸친 미국 출장 일정을 마무리했다. 이 회장은 미국 출장 일정을 마치며 "삼성의 강점을 살려 삼성답게 미래를 개척하자"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이달 말 세트와 부품(반도체) 부문 주요 경영진과 해외법인장 등 주요 임원이 참석하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 예정이다. 이번 출장에서 다진 글로벌 네트워크와 협력 노력을 통해 구체적인 비전과 사업계획으로 빌드업해 나갈 계획이다.

 

이 회장은 지난달 31일 열린 삼성 호암상 시상식을 마친 후 미국으로 출국한 이후 2주동안  IT·AI·반도체·통신 관련 기업 최고경영자(CEO) 및 정관계 인사들과 릴레이 미팅을 하는 등 광폭행보를 이어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