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국내 주식부자 1위 이재용 아니다?…메리츠 조정호 회장이 '역전'

조정호, 6일 이재용 제치고 국내 주식부자 1위 등극
이재용 VS 조정호 주식재산 격차, 작년 1월초 100대 38.7→올해 3월6일 100대 102.2로 역전
조정호 회장 주식재산, 이달 6일 12조 4334억원으로 평가…이재용 회장보다 2667억 많아져
올해 2월20일 대비 이달 6일 주식가치, 조정호 회장 1.8%↑ VS 이재용 회장 7.7%↓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3월의 전설을 쓴 재벌집 막내아들’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주식평가액보다 많아지면서 국내 주식부자 1위 자리에 올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3월 6일 기준 조정호 회장의 주식가치는 12조4334억원으로 국내서 가장 높게 평가됐다고 밝혔다. 이는 2위로 밀려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주식가치 12조1666억원보다 2.2% 많은 금액이다.

 

조 회장이 국내 최고 주식부자 왕좌 자리에 앉게 된 것은 이재용 회장의 보유한 핵심 주식 종목들이 다소 고전을 면치 못하는 사이 메리츠금융지주의 파죽지세로 약진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조정호 회장은 메리츠금융지주 지분을 9774만7034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보유 주식에 이달 6일 메리츠금융 보통주 1주당 종가(宗家) 12만7200원으로 곱한 조 회장의 주식평가액만 12조4334억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정호 회장이 보유한 주식가치는 작년 1월 초만 해도 5조7475억원 수준이었다. 이 시점에 국내 주식부자 1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14조8673억원 정도였다.

 

이 당시만 해도 이재용 회장과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 격차는 100대 38.7 수준을 보였다. 61% 넘는 차이를 보일 정도로 두 회장 간 주식재산 격차는 배(倍) 이상 벌어졌었던 것. 100m 달리기로 치면 60m 이상 거리 차이가 날 정도로 이때만 해도 순위가 뒤바뀔 가능성은 쉽지 않았다.

 

이후 작년 1월 23일에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은 6조505억원으로 처음으로 6조원대에 올라섰고, 같은 해 2월 2일에는 7조84억원으로 7조원대, 2월 23일에는 8조739억원으로 8조원대로 진입하며 눈에 띄는 상승세 바람을 탔다. 작년 8월 20일에는 9조146억원으로 9조원대로 높아지더니, 2개월 정도 지난 10월 14일에는 10조1363억원을 기록하며 주식재산 10조 클럽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올해 2월 4일에는 11조452억원으로 11조원대에 들어섰고, 같은 달 20일에는 12조228억원으로 12조원대 주식재산으로 불어나기도 했다. 이달 6일에는 12조4000억원대 수준으로 역대 가장 높은 주식평가액을 보였다.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이 12조원대로 높아지면서 이재용 회장과의 주식격차도 10% 내로 점점 좁혀졌다. 지난달 20일 기준 두 회장의 주식평가액 차이는 100대 91.2로 8.8% 차이밖에 나지 않았다. 이때부터 역전극이 벌어질 수도 있다는 분위기는 감지되기 시작했다.

 

 

이후 하루가 지난 지난달 21일 조 회장의 주식가치는 이 회장 주식재산의 94.6% 수준까지 위협하더니, 같은 달 24일 94.8→26일 95.1→28일 96.9으로 점점 차이를 줄여나갔다. 특히 지난달 마지막 거래일에 조정호 회장은 이재용 회장 주식재산과의 주식재산 격차를 3.1% 차이까지 좁히더니 이달 5일에는 1.1%까지 맹추격했다.

 

그러다 이달 6일 들어서면서 조정호 회장은 이재용 회장의 주식재산보다 많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작년 초만 하더라도 이재용 회장과 조정호 회장은 100대 38.7 수준이던 것이 이달 6일에 100대 102.2로 역전하는 신화를 쓴 셈이다.

 

조정호 회장이 주식부자 1위에 올라서면서 메리츠금융지주 시가총액(시총) 순위도 작년 1월 초에 34위이던 것이 이달 6일에는 15위로 10위권대에 진입했다. 같은 기간 시총 외형도 11조9582억원에서 24조2595억원으로 덩치가 커진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조정호 회장이 12조원대보다 낮은 금액에서 이재용 회장의 주식재산을 역전시킬 수 있었던 데에는 이른바 2보 전진을 위해 1보 후퇴하는 버티고 약진하는 전략이 주효했다. 지난달 20일 이후 조정호 회장의 주식재산은 11조원대로 다소 후퇴하는 모습도 보였지만, 이달 6일에는 가장 높은 평가액을 기록하는 뒷심을 발휘했다.

 

이와 달리 같은 기간 이재용 회장은 7% 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식시장이 전체적으로 냉랭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던 가운데, 조정호 회장은 위기에 강한 면모를 보이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실제 지난달 20일 당시 이재용 회장의 주식재산은 13조1848억원 이상으로 13조원대를 기록했었다. 하루가 지난 같은 달 21일에는 12조9021억원으로 12조원대로 낮아졌다. 이후 2월 24일 12조8904억원→25일 12조7929억원→26일 12조5988억원으로 주식평가액은 하루가 지날수록 점점 낮아졌다.

 

급기야 지난달 마지막 거래일인 28일에는 12조1881억원으로까지 떨어졌다. 그러다 이달 6일에는 12조1666억원을 기록하며 같은 날 조정호 회장에게 주식평가액이 추월당했다.

 

여기에는 이재용 회장이 보유한 주식종목 중 비교적 주식평가액이 높은 ▲삼성전자 ▲삼성생명 ▲삼성물산종목에서 주식가 가치가 하락한 원인이 크게 작용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20일 보통주 1주당 5만8400원이었는데 이달 6일에는 5만4300원으로 7% 수준으로 주식가치가 하락했다. 삼성생명은 9만5500원에서 8만5400원으로 10.6%나 내려앉았다. 여기에 삼성물산 역시 13만2700원에서 12만2300원으로 7.8%나 추락한 것도 이재용 회장이 주식부자 1위 자리를 내주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이재용 회장이 국내 주식부자 1위 자리를 내준 것은 메리츠금융의 약진과 함께 삼성전자·삼성생명·삼성물산의 주식가치가 부진한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며 “1위 반납을 계기로 이재용 회장은 주주가치 제고와 삼성의 위상을 끌어올려야 하는 숙제가 주어졌고, 조정호 회장은 메리츠금융 주가를 상승시킬만한 동력을 찾는 것이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전국민 90% 10만원 소비쿠폰 "잠실주공5단지 주민도 받는다"…아파트 공시가 25억 받고, 30억은 못받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오는 9월 22일부터 대한민국 국민 90%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원씩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된다. 단,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 12억원 초과 또는 금융소득 합계액 2000만원 초과 가구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번 소비쿠폰은 내수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정부의 민생 회복 정책의 일환으로, 1차 때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했으나 2차는 고소득·고자산 가구를 걸러내어 혜택을 집중한다. 정부와 여당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차 소비쿠폰 지급 계획을 발표하며, 가구 단위 선정 기준을 세워 ‘2025년 6월 18일 기준 주민등록표에 등재된 가구원’을 대상으로 한다고 밝혔다. 배우자와 자녀가 주소지가 달라도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돼 있으면 동일 가구로 간주되며, 부모는 별도의 가구로 본다. 맞벌이 등 다소득원 가구는 가구원 수+1명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 합산액 기준이 완화된다. 재산세 과세표준은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비율(주택 60%)을 곱해 산정하는데, 예컨대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전용 82.61㎡ 아파트 공시가격 19억7200만원 기준으로 과세표준은 약 11억8300만원으로 기준선 12억원 미만이어서 2

[랭킹연구소] 이재용 주식재산 18조 돌파 ‘상속 이후 최고치’…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SDS·삼성E&A·삼성화재·삼성전자우 총 7개 보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주식부자 1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주식재산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만에 18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재용 회장이 부친인 고(故) 이건희 회장에게서 주식을 물려받은 이후 가장 높은 평가액이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재용 회장의 주식가치는 9월 11일 기준 18조1086억원으로 평가됐다고 12일 밝혔다.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달 11일 기준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S ▲삼성E&A ▲삼성화재 ▲삼성전자 우선주 이렇게 총 7개의 주식종목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7개 종목에 대한 올해 연초 기준 주식재산 가치는 11조9099억원 수준이었고, 1분기 때인 지난 3월 말에는 12조2312억원으로 12조원대 수준을 보여왔다. 이후 이재명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취임한 지난 6월 4일 기준 이재용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14조2852억원으로 높아졌고, 2분기 때인 6월 말에는 15조2537억원으로 높았다. 대통령 취임 50일 시점인 지난 7월 23일에는 16조2648억원으로 16조원대로 증가했다. 그러다 지난 11일에는 18조5157억원의 가치를

[랭킹연구소] 세계 최고 암 병원 TOP10에 한국 병원 3곳 포함…삼성서울병원·서울아산병원·서울대병원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2026년 세계 최고 전문 병원 순위를 발표한 결과, 암 분야 세계 톱10 병원 중 한국 병원 3곳이 이름을 올려 주목받았다. 삼성서울병원은 미국의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 MD앤더슨 암센터에 이어 3위를 기록했고, 서울아산병원이 4위, 서울대병원이 8위에 올랐다. 이 같은 성과는 한국 의료진의 높은 임상 역량과 첨단 의료기술 도입, 환자 중심 의료 서비스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반영한다. 이번 순위는 암을 포함해 내분비, 소화기, 신경, 비뇨기, 정형외과 등 12개 임상 분야별로 30여 개국 의료 전문가 수만 명의 평가를 토대로 글로벌 마케팅업체 스타티스타와 뉴스위크가 공동으로 집계했다. 암 분야 상위 10곳 병원 중 미국 병원이 4곳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 병원이 3곳, 프랑스·영국·캐나다 병원이 각각 1곳씩 포함됐다. 서울아산병원은 암 이외에도 내분비와 소화기 분야 각각 4위를 차지했으며, 신경·비뇨기·정형외과 등 6개 분야에서 톱10 안에 들며 다방면에서 강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은 암 분야에서 3위를 차지하는 동시에 소화기 5위, 비뇨기 10위권에 올랐으며, 2022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