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中 공무원 '아이폰 금지' 조치에···애플 시총 253조원 증발 '날벼락'

"中 국유기업까지 아이폰 금지" 조치에 美 기술주 '휘청'

팀쿡 애플 CEO [애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아이폰15 출시를 앞둔 애플이 '중국발 아이폰 금지 태풍' 직격탄을 맞았다. 불과 이틀 사이에 주가가 6%나 떨어지면서 시가총액 1900억달러(약 253조원) 이 증발했다. 

 

블룸버그통신은 7일(이하 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당국이 아이폰 금지령을 국영 기업과 다른 공공기관으로 광범위하게 확대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는 전날 공무원들에게 아이폰을 비롯한 외국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애플 주가는 전일 대비 2.92% 떨어진 주당 177.56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아이폰 금지령' 보도가 처음 나온 전날 3% 이상 떨어진 데 이어 이날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틀 만에 시총은 1897억 달러가 날아갔고 한때 3조 달러를 넘어섰던 시총은 2조7760억 달러로 쪼그라들었다.

 

중국의 규제가 애플을 비롯해 미국 빅테크 전반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에 7일(현지시간) 미 기술주들도 일제히 하락했다. 애플 공급업체인 퀄컴 주가는 이날 7.2% 급락했다. 스카이웍스솔루션(7.35%), 브로드컴(1.75%), 텍사스 인스트루먼트(1.99%) 등 다른 공급업체 주가도 일제히 떨어졌다. 빅테크 주가도 하락했다. 엔비디아는 1.74%, 마이크로소프트는 0.89% 떨어졌다.

 

프랑스 은행그룹 BNP파리바의 그레그 보틀 미국 주식 및 파생상품 전략 책임자는 "기술주의 향방이 곧 미국의 향방"이라며 "(올 들어) 미 증시를 이끌어온 기술주가 휘청이면 미 증시는 매우 어려운 상황에 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당국은 이번 조치와 관련해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를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해당 규제가 얼마나 많은 기업에 적용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중국에는 발전, 항구 건설, 광업, 제조, 교육, 투자 분야에서 수 많은 국유 기업이 있기 때문에 상당한 여파가 예상된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애플에게 중국은 미국, 유럽에 이어 세번째 큰 시장이다. 에플의 전체 매출 가운데 중국 시장 매출이 약 19%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이번 조치가 애플에게는 상당히 심각한 타격이 될 전망이다.

 

번스타인의 토니 사코나기 애널리스트는  "중국이 모든 공무원들로 금지 조치를 확대할 경우 중국의 아이폰 판매가 5%까지 감소할 수 있다"며 "공무원 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도  '중국이 만든 전자제품을 써야 한다'는 신호로 다가온다면 애플에는 더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조치는 미국의 중국 정보기술(IT) 기기 제재에 대한 중국차원의 대응이라는 분석이다. 미국은 앞서 데이터 유출 등 국가 안보를 우려로 미 공무원들의 업무용 기기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했다.

 

여기에 더해 중국 최대 통신장비기업인 화웨이가 지난달 말 출시한 신형 스마트폰 ‘메이트60 프로’의 돌풍도 애플엔 악재다. 미국의 고강도 제재 속에 화웨이는 지난 3년간 5G 스마트폰을 출시하지 않다가 최근 깜짝 출시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