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11월 초, 전 세계 금융시장은 인공지능(AI) 관련 주식의 급락으로 5000억 달러에 달하는 시가총액이 증발하면서 AI 투자 거품에 대한 우려가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CNBC, Reuters, BBC, Business Insider, Wired에 따르면, 이번 대규모 매도세는 AI 기술에 대한 지나친 낙관론과 막대한 투자금이 결국 지속 불가능한 지점에 이르렀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특히, 미국과 아시아 시장에서 주요 AI기업들의 주가 하락이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반도체 분야의 주역인 엔비디아(Nvidia)는 10월 말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 5조 달러를 돌파하는 기록을 세웠으나, 이후 주가가 약세로 돌아서며 시장 집중 우려와 함께 고평가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현재 엔비디아는 주당순이익 대비 56배, 매출 대비 37배를 기록해 S&P 500 지수의 평균 주가수익비율의 약 4배에 이르는 고평가 상태다.
Loop Capital Markets는 엔비디아의 목표 주가를 350달러까지 상향조정하며 잠재적 시가총액 8.5조 달러 달성을 예상했지만, 이는 현재 평균 애널리스트 목표인 231달러를 크게 웃돈다.
주요 글로벌 기술 대기업들은 이러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AI 분야에 대한 투자를 더욱 확대하는 중이다.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모회사 알파벳, 메타, 아마존 4대 빅테크 기업은 2025년 각각 총 3700억 달러 이상의 자본 지출 계획을 발표하며, 2026년에도 투자가 지속 증가할 전망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매출의 약 45%에 달하는 350억 달러를 데이터 센터 구축에 투자하며 AI 인프라 강화를 주도하고 있으며, 메타는 700억 달러 이상을 AI에 쏟아붓는 등 AI 기반 신성장 동력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그러나 AI 투자 성과에 대한 현실적 평가도 나오고 있다.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의 최신 보고서는 300여개 공공 AI 프로젝트 분석과 52명의 기업 리더 인터뷰를 기반으로, AI 투자를 진행한 기업의 95%가 아직까지 실질적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른바 '워크슬롭(workslop)' 현상으로 불리는, AI가 생성한 업무 결과물이 표면상으로는 유용해 보이나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지지 않는 문제도 지적됐다. 이는 AI가 약속한 효율성 향상과 생산성 증가가 아직은 요원하다는 증거로 해석된다.
시장 조정 신호도 가시화되고 있다. 최근 PHLX 반도체 지수는 단일 거래일에 5000억 달러 이상의 가치를 잃었으며, 이는 AI 테마주와 더불어 전체 기술 섹터의 광범위한 조정으로 연결되고 있다. 그린라이트 캐피탈의 데이비드 아인혼은 현재 AI 기업들의 과도한 가치평가로 인해 향후 대규모 자본의 손실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또한, 베인앤컴퍼니는 2030년까지 AI 관련 기업들이 연매출 2조 달러에 육박하는 규모의 수익을 창출해야만 급증하는 컴퓨팅 수요를 감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현재의 매출 성장 속도는 이 목표보다 약 8000억 달러가 부족할 것으로 예측되어, AI 산업이 대규모 인프라 투자 대비 실질 수익 창출에 상당한 과제를 안고 있음이 드러나고 있다.
이번 AI 투자 거품 우려는 전 세계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증폭시키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기술 대기업들의 공격적 AI 투자 전략과 실질적 수익 실현 간 균형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편, 기술 혁신의 진전과 함께 AI 시장의 장기 성장 가능성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높은 편으로, 향후 AI 기술의 성숙과 비즈니스 적용 사례 확대가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