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3.7℃
  • 흐림강릉 14.3℃
  • 맑음서울 14.5℃
  • 맑음대전 13.4℃
  • 맑음대구 14.6℃
  • 맑음울산 15.2℃
  • 맑음광주 15.9℃
  • 구름조금부산 16.2℃
  • 맑음고창 11.8℃
  • 맑음제주 17.9℃
  • 맑음강화 11.4℃
  • 맑음보은 10.4℃
  • 맑음금산 11.2℃
  • 맑음강진군 12.8℃
  • 맑음경주시 11.0℃
  • 구름조금거제 16.1℃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AI 생산성의 역설"…AI부작용 '워크슬롭’이 직장혁신을 멈추게 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스탠퍼드대학교와 BetterUp Labs가 공동 발표한 연구는 직장 내 AI 도입이 가져온 생산성 향상 기대와 달리, ‘워크슬롭(workslop)’이라는 새로운 문제점이 심각한 생산성 손실을 초래하고 있음을 밝혔다.

 

워크슬롭은 AI가 생성한 작업물이 겉보기에는 완성도 있어 보이나, 실제로는 과제의 핵심을 해결하지 못해 동료들이 한 건당 2시간 가까이 수정해야 하는 부담을 의미한다. 직원의 40%가 AI 도구를 사용한다는 보고가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워크슬롭(workslop)이라 명명한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있는 셈.

 

이 연구는 9월 22일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에 게재됐으며, 산업 전반의 전일제 직원 1150명을 조사한 결과, 40%가 지난 한 달 동안 워크슬롭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스탠퍼드대학교-베터업 공동 연구, Harvard Business Review, MIT 미디어랩 AI 투자 수익 연구를 비롯해 Fortune, Gizmodo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 AI가 생성한 콘텐츠는 "좋은 작업처럼 위장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주어진 과제를 의미 있게 진전시킬 실질적인 내용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연구를 주도한 케이트 니더호퍼(BetterUp Labs)와 제프 핸콕(스탠퍼드 소셜미디어 랩)은 “워크슬롭은 기계가 인지적 부담을 완전히 덜어주는 대신, 그 부담을 공동작업자인 동료에게 떠넘긴다는 점에서 차별적”이라고 설명했다.

 

재정적 손실도 막대하다. 워크슬롭 때문에 한 직원이 한 달에 평균 1시간 56분을 추가로 소비하며, 이는 월평균 186달러의 ‘보이지 않는 세금’을 부과한다. 직원 1만명 규모의 기업에서는 연간 900만 달러 이상의 생산성 손실로 환산된다.

 

워크슬롭이 주로 동료 간(40%), 하위 직원→관리자(18%), 관리자→팀원(16%) 사이에서 발생하며, 전문 서비스 및 기술 산업군에서 특히 빈번하다.

 

 

워크슬롭은 직장 내 신뢰와 협력도 무너뜨리고 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워크슬롭을 받았을 때 응답자의 53%가 ‘짜증’을, 38%는 ‘혼란’을, 22%는 ‘불쾌함’을 느꼈다. 절반 가까운 이들이 워크슬롭을 생산한 동료를 ‘덜 창의적이고, 덜 유능하며, 신뢰하지 못하는 사람’으로 인식했다.

 

또한 3분의 1은 앞으로 해당 동료와의 협업을 꺼릴 것이라 답했다. 한 금융업 근로자는 “문서를 내가 다시 써야 할지, 상대에게 다시 쓰게 할지 아니면 그냥 넘어갈지를 판단해야 하는 딜레마를 겪는다”고 말했다. 소매업계 이사는 “정보 확인과 재조사가 이어지고 여러 회의를 추가로 잡는 등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했다”고 토로했다.

 

한편 MIT 미디어랩의 연구는 2025년에도 95%의 기업이 AI 투자에서 눈에 띄는 수익을 내지 못한다고 발표했다. 스탠퍼드-BetterUp 공동 연구에서는 무분별한 AI 도입과 명확한 가이드라인 부재가 생산성 향상 실패의 주원인으로 지목됐다.

 

연구진은 "AI 활용 유형을 ‘목적성을 지닌 창의적 활용자(파일럿)’와 ‘업무 회피형 사용자인 승객’으로 구분하며, 리더들이 모범 사례를 제시하고 인간과 AI의 작업물 모두에 높은 품질 기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들은 AI 도입이 단순히 기술 도입만으로는 기대했던 생산성 혁신을 보장하지 않으며, 조직문화·교육·프로세스 혁신을 포함한 종합적 전략이 필수임을 시사한다.

 

즉 일부 산업별 맞춤 AI 적용 사례에서는 제한적이지만 생산성 향상 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업계에서는 AI가 실제 업무 효율이나 성과 향상으로 이어지는 데는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AI가 가져올 변화는 혁신 그 자체라기보다 변화의 '과도기'로 보는 시각이 더욱 힘을 얻고 있다. 조직들이 AI 도입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무분별한 기술 도입을 경계하고, 명확한 사용 기준과 질적 평가 체계를 구축하는 한편, 인간과 AI가 상호 보완하는 방식으로 협력하는 조직 문화 조성이 필수적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머스크 1400조원 보상안 통과”…테슬라, 압도적 찬성으로 ‘세계 최강 스톡옵션' 승인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사상 최대 규모의 보상안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2025년 11월 6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본사에서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시가총액 8조5000억 달러 등 초고난도 경영목표 달성 시 머스크에게 1조 달러, 한화로 약 1400조원 상당의 스톡옵션을 지급하는 안이 주주 과반의 압도적 찬성으로 가결됐다.​ 75% 압도적 찬성…노르웨이국부펀드 등 반대 의견 묵살 테슬라 이사회가 상정한 이번 보상안은 주주 약 75%의 찬성을 얻었다. 머스크 본인도 약 13~15%의 보유 지분을 바탕으로 투표에 참여했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와 일부 글로벌 연기금, 대형 자문사 등이 ‘과도한 특혜’라며 반대 의견을 제시했지만, 개인 투자자와 대다수 전략적 주주들의 지지가 결과를 뒤집었다.​ 12단계 목표 고리…“세계 기업 역사상 최강의 인센티브” 보상안은 머스크가 테슬라 경영 목표를 단계별로 차례차례 달성할 때마다, 2035년까지 12단계에 걸쳐 총 4억2300만주(보통주 12% 상당) 스톡옵션을 순차 지급받는 구조다. 경영목표에는 ①시가총액 2조~8조5000억 달러 돌파, ②매년

[빅테크칼럼] '일잘러'가 AI를 만났을 때 '생산성 8배 쑥, 슈퍼인재' 출현... 기업 'HAIR'로 인사체제 '대전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AI와 결합한 고성과자의 생산성이 평균 대비 최대 8배까지 증가하는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25년 현재, 업무 현장에서 AI 활용이 일상화되면서 고성과자들이 AI를 날개 삼아 업무 효율과 창의성을 극대화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전통적인 인적자원(HR)을 탈피해 인간과 AI의 시너지 극대화를 위한 ‘HAIR(Human-AI Resources, 융합 인적자원)’ 관리 체계를 도입하는 등 인재 관리 방식의 근본적 전환을 추진 중이다. 맥킨지앤컴퍼니의 브라이언 행콕 파트너는 “AI를 사용하는 조직 내 고성과자가 평균 대비 8배 이상의 생산성 격차를 만들어내며, 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막대한 기회비용이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미 전통적 HR을 넘어 AI와 인간의 협업 역량을 육성하는 HAIR 체계를 통해 인재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식 근로자의 75%가 이미 AI 도구를 사용하며, 이들이 평균 66%의 생산성 향상을 경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생산성 격차가 벌어지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AI 활용 능력과 숙련도의 차이에 있다. 미국과 유럽의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