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구름조금동두천 0.8℃
  • 구름많음강릉 13.4℃
  • 맑음서울 5.7℃
  • 구름많음대전 4.9℃
  • 구름조금대구 5.0℃
  • 맑음울산 6.8℃
  • 구름조금광주 7.0℃
  • 맑음부산 12.8℃
  • 구름많음고창 5.1℃
  • 구름조금제주 12.0℃
  • 구름조금강화 5.5℃
  • 구름많음보은 1.6℃
  • 흐림금산 3.4℃
  • 구름조금강진군 4.5℃
  • 구름조금경주시 3.9℃
  • 맑음거제 8.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The Numbers] AI 버블 경고에 美 헤지펀드 ‘매그니피센트 세븐’ 지분 대폭 축소…"SW·결제주로 전략적 전환”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3분기 미국 월스트리트 최대 헤지펀드들이 ‘매그니피센트 세븐(Magnificent Seven)’이라 불리는 주요 기술주에 대한 보유 지분을 공격적으로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공지능(AI) 붐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됨에 따른 투자자들의 신중한 전략 변화로 해석된다.

 

Reuters, Cryptopolitan, Morningstar, Fortune에 따르면, 글로벌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는 엔비디아 지분을 약 3분의 2가량 줄여 250만 주로 축소하고, 알파벳 보유량도 50% 이상 줄여 265만주에 머물렀다.

 

첫 9개월 동안 타 헤지펀드를 능가하는 성과를 낸 이 펀드는 아마존 지분도 9.6%, 브로드컴은 약 27% 감축했다. 이외에도 타이거 글로벌 매니지먼트는 메타 플랫폼스 주식을 62.6% 줄였으며, 코튜 매니지먼트 역시 엔비디아, 테슬라, 아마존 보유량을 각각 두 자릿수 퍼센트 비율로 감축했다.​​

 

이 같은 움직임은 시장에서 AI 버블 경고가 고조되는 가운데 나타났다. 브리지워터의 최고투자책임자들은 시장 안정성 위험과 AI 붐의 한계를 투자자들에게 경고하며, 2008년 금융 위기를 예견한 마이클 버리도 엔비디아와 팔란티어에 대규모 공매도 포지션을 취하며 자신의 헤지펀드 폐쇄를 발표했다. IMF와 영국 중앙은행 등도 AI 열풍이 주가 급락과 경기 침체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헤지펀드들은 기술 섹터 전체를 떠난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전자상거래, 결제 부문으로 투자 방향을 전환하고 있다.

 

브리지워터는 어도비, 다이나트레이스, 에츠이 보유를 확대하고, 마스터카드 지분을 190%, 동남아 대표 IT 기업 씨 리미티드를 83% 늘렸다. 타이거 글로벌은 넷플릭스와 후불결제 기업 클라르나에 신규 투자했고, 코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알리바바 지분을 늘리며 다각화를 꾀했다.​​

 

‘매그니피센트 세븐’인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아마존, 메타, 엔비디아, 테슬라는 현재 S&P 500 지수 내 비중이 약 37.4%에 달하며, 이들의 합산 시가총액은 22조 달러를 넘는다. 1999~2000년 닷컴 버블 당시 10대 기업이 S&P 500에서 차지한 27%를 훨씬 상회하는 수준으로, 일부 전문가들은 지나친 시장 집중 위험을 경계하고 있다.

 

반면, 이들 기업은 과거에 비해 훨씬 강력한 수익성으로 높은 밸류에이션을 방어하고 있으며, 향후 2년간 연평균 15%의 이익 성장이 예상된다.​

 

최신 포트폴리오 변화는 AI 열풍의 진폭이 확산하는 가운데, 헤지펀드들이 위험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차세대 성장 기회로 전략적 초점을 조정하는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DSR·LTV도 대감집 머슴에게 '딴세상'…사내대출,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국내 대기업과 공공기관들이 운영하는 사내대출 제도가 ‘부동산 규제 우회 통로’로 급부상하고 있다. 시중은행 가계대출 규제가 한층 강화되면서, 삼성, 현대차, 네이버, 카카오, SK하이닉스, 두나무 등 유수의 기업들은 직원 복지 수단으로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를 대폭 상향·인하하는 추세를 보인다. 특히 두나무는 최근 집값 안정 대책에도 불구, 사내대출 한도를 기존 3억원에서 5억원으로 늘리고 금리 역시 무이자에 가깝게 운용해 ‘역대급 복지’ 논란의 중심에 섰다.​​ DSR·LTV 적용 없는 사내대출, 실제 규모 5년 새 63% 급증 사내대출이 ‘근로복지기금’으로 취급된다는 사실은 돈줄이 막힌 실수요자들에게 큰 매력이다. 회사가 직접 대출을 시행할 경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나 LTV(주택담보인정비율) 등 금융권 규제와 관계없이 한도 산정이 자유롭고, 신용점수에도 영향이 없다. 실제 2020년 연간 대출액은 2조원대에서 2023년 3조392억원까지 63%나 늘었고, 공공기관을 포함한 상위 7개 기관의 사내대출 잔액도 최근 5년간 500억원 이상 증가했다.​ 국내 대표적인 사내복지가 우수한 회사별 사내대출 한도와 금리는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