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 구름많음동두천 9.9℃
  • 구름많음강릉 11.2℃
  • 연무서울 13.1℃
  • 박무대전 11.9℃
  • 구름많음대구 13.8℃
  • 구름많음울산 14.5℃
  • 구름많음광주 14.9℃
  • 맑음부산 15.3℃
  • 구름많음고창 10.7℃
  • 구름많음제주 17.6℃
  • 구름많음강화 10.9℃
  • 구름많음보은 9.3℃
  • 구름많음금산 8.8℃
  • 흐림강진군 12.2℃
  • 흐림경주시 11.5℃
  • 구름조금거제 14.4℃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세계 최초 AI 장관 임명, 알바니아의 반부패·EU 진입 실험…"디엘라 둘러싼 격랑"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알바니아 정부가 세계 최초로 인공지능(AI) 장관 '디엘라(Diella)'를 임명하자마자 의회가 혼란에 빠졌다. 에디 라마 총리의 깜짝 발표 직후 야당 의원들은 책상을 주먹으로 내리치며 강력 항의했고, 국회의장은 단 25분 만에 정부 토론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BBC, ABC News, Hindustan Times, Channel News Asia, Global Government Forum, Transparency International, Al Jazeera 등에 따르면, 디엘라는 알바니아어로 '태양'을 의미하며, 전통 복장을 입은 여성 아바타 형태로 대형 스크린을 통해 "헌법은 봉사기관에 대해 말하지만, 염색체나 살, 피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는다"며 자신이 인간 장관 못지않은 헌법적 가치를 구현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저는 인간 동료들만큼, 어쩌면 더 엄격하게 이러한 가치를 실천한다"고 덧붙였다.

 

야당의 분노와 헌법 논쟁


야당 민주당을 이끄는 살리 베리샤 전 총리는 디엘라의 임명을 두고 "위헌적"이라고 비난하며, 헌법재판소에 이의를 제기할 계획임을 밝혔다. 또 "디엘라로는 결코 부패를 막을 수 없다. 이 임명의 목적은 그저 관심을 끄는 쇼일 뿐"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야당은 의회 표결을 보이콧했지만, 정부 프로그램은 140석 중 82표 찬성으로 통과됐다. 의원들의 비판은 디엘라의 관리·감독주체와 의사결정 투명성, 인간책임의 대체 가능성에 집중된다.

 

반부패 임무와 기술적 장벽


디엘라는 공공 조달과 입찰을 '100% 부패 없는' 방식으로 관리해, 검은돈·권력형 비리에 취약했던 시스템 전반에 혁신을 예고한다.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개발된 디엘라는 이미 e-Albania 플랫폼에서 누적 100만건의 디지털 문서와 민원서비스를 처리한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정부 계약 심사, 자금 흐름 감시, 불법 행위 탐지에 AI 알고리즘을 적용할 예정이다.

 

알바니아는 2024년 기준 투명성 국제 부패지수에서 180개국 중 80위(점수 42점)로, EU 평균(64점)에 크게 못 미친다. 최근 티라나 시장(총리의 측근)이 공공 계약 부패 혐의로 예심 구금 중일 만큼, 시스템 개선 욕구가 높다.

 

EU 진입 전략과 상징성


디엘라 임명은 알바니아의 2030년 유럽연합 가입 목표와 연결된다. 라마 총리가 5월 총선에서 4연속 집권에 성공하며 83석을 확보한 배경에도, EU가 요구하는 '투명성·행정혁신' 과제가 핵심으로 작용한다. 알바니아는 수년간 EU의 '법치국가 보고서'에서 조달·입찰 분야 부패가 반복적으로 지적되어 왔다.

 

이번 AI 장관 실험은 미래엔 AI가 수상직까지도 대신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라마 총리의 개혁 구상과 연결된다.

 

AI 장관의 한계와 우려


현재로선 디엘라의 기술적 세부 기능과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투명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민주적 통제, 오류 발생 시 책임 소재, 인간 권한과 AI 권한의 경계 설정이 과제로 남는다. 야당과 일부 사회단체는 "알고리즘도 인간이 설계한 만큼, 데이터와 시스템 편향에 의한 오류 가능성"과 "실제 감시와 감독 없이 AI에 권한을 위임하는 것의 위험성"을 경계한다.

 

디엘라 자신은 의회 연설에서 "나는 인간을 대신하기 위해 온 것이 아니라 그들을 돕기 위해 온 것"이라며, "헌법에 대한 진짜 위험은 결코 기계가 아니라 권력을 쥔 자들의 비인간적 결정임을 상기시키고 싶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일잘러'가 AI를 만났을때 '생산성 8배 쑥, 슈퍼인재' 출현... 기업 'HAIR'로 인사체제 '대전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AI와 결합한 고성과자의 생산성이 평균 대비 최대 8배까지 증가하는 현상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2025년 현재, 업무 현장에서 AI 활용이 일상화되면서 고성과자들이 AI를 날개 삼아 업무 효율과 창의성을 극대화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전통적인 인적자원(HR)을 탈피해 인간과 AI의 시너지 극대화를 위한 ‘HAIR(Human-AI Resources, 융합 인적자원)’ 관리 체계를 도입하는 등 인재 관리 방식의 근본적 전환을 추진 중이다. 맥킨지앤컴퍼니의 브라이언 행콕 파트너는 “AI를 사용하는 조직 내 고성과자가 평균 대비 8배 이상의 생산성 격차를 만들어내며, 이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않으면 막대한 기회비용이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미 전통적 HR을 넘어 AI와 인간의 협업 역량을 육성하는 HAIR 체계를 통해 인재 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 전문가들은 지식 근로자의 75%가 이미 AI 도구를 사용하며, 이들이 평균 66%의 생산성 향상을 경험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생산성 격차가 벌어지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AI 활용 능력과 숙련도의 차이에 있다. 미국과 유럽의 연구

[내궁내정] 입자 가속기, 파스타 요리의 비밀 밝히다 "1L 물에 7g의 소금 최적"…나노구조 분석·AI기반 조리법 '새역사'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과학자들이 입자 가속기와 중성자 산란 시설을 포함한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과학 장비들을 사용해 파스타 조리의 분자적 비밀을 밝혀내 주목받고 있다. 글루텐 프리 제품들이 왜 그토록 완벽하게 만들기 어려운 것으로 악명 높은지를 밝히고 최적의 결과를 위한 정확한 지침을 제공했다는 평가다. 최근 과학기술이 파스타 조리의 비밀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주방 지혜를 뛰어넘는 정밀한 조리법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핵심 연구는 입자 가속기와 중성자 산란 등 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해 파스타의 분자 수준 구조를 분석하는 데 집중되고 있으며, 이 연구들은 실시간 조리 조건과 구조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있다.

[빅테크칼럼] 리플, 5억 달러 투자 유치…기업가치 54조원 돌파하며 글로벌 금융혁신 선도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디지털 자산 및 블록체인 기반 결제 솔루션의 선두주자인 리플(Ripple)이 약 7200억원(5억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 400억 달러(약 54조원)를 공식 인정받았다고 6일 밝혔다. CNBC, 로이터, 비인크립토, 코인리더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번 투자 라운드는 포트리스 인베스트먼트 그룹, 시타델 시큐리티즈, 판테라 캐피털, 갤럭시 디지털, 브레번 하워드, 마셜 웨이스 등 글로벌 주요 기관들이 주도했다. 리플은 앞서 10억 달러 규모의 공개매수를 마친 데 이어 이번 투자를 통해 블록체인 결제 영역을 넘어 스테이블코인, 커스터디, 프라임 브로커리지, 기업 자산관리 등 금융 인프라 전반으로 사업 영역을 빠르게 확장 중이다. 특히 올해 초 인수한 스테이블코인 인프라 기업 레일(Rail)과 자금관리 솔루션 기업 지트레저리(GTreasury)를 기반으로 글로벌 결제 및 기업 금융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리플의 스테이블코인 RLUSD는 출시 1년 만에 시가총액 1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누적 결제 규모는 950억 달러를 넘어서면서 디지털 자산 생태계 내 확고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