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바이든 늙어 내가 후보로" 해리스 '딥페이크'…머스크 ‘가짜 영상’ 유포 'AI대선 얼룩’

“바이든 노망에 후보” 해리스 패러디
머스크, X에 조작 언급 없이 영상 공유 물의
이틀 만에 조회 수 1억2700만회 달해
해리스 캠프 “거짓말 원치 않아” 발끈
‘딥페이크’ 선거 악영향 우려 고조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나는 민주당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다. 조 바이든이 마침내 토론에서 노망난 모습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일론 머스크 X(구 트위터) 소유주가 카멀라 해리스 미국 민주당 대선 후보 캠페인 영상을 패러디한 딥페이크 영상을 리트윗해 물의를 빚고 있다.

 

28일(현지시간) 외신들은 "X의 소유주인 머스크가 가짜 게시물을 엄격하게 관리해야 함에도 오히려 가짜 영상을 리트윗하는 데 선봉에 섰다"며 "이는 X 플랫폼 규칙을 명백히 위반한 것이다. X의 소유주가 앞장서 X의 규칙을 무너트린 것"이라고 비난했다.

 

문제의 영상은 해리스의 대선 캠페인 광고를 패러디한 것이다. 원본 영상은 해리스가 "이번 선거에서 우리 각자는 어떤 나라에서 살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직면하게 됐다고 말한 뒤 비욘세의 노래 ‘프리덤’을 부르면서 영상이 시작된다.

 

그러나 패러디 영상은 "나 카멀라 해리스는 조 바이든이 토론에서 마침내 그의 노쇠함을 드러냈기 때문에 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됐다"면서 “나는 여성이자 유색인종으로서 다양성 중시 차원에서 발탁됐다. 만약 당신이 이것을 비판한다면 스스로를 성차별주의자나 인종차별주의자임을 인정하는 것이다"고 말한다.

 

28일(현지시간) 현재 해당 영상 조회 수는 1억2700만회를 넘겼다.

 

머스크는 이같은 문제의 영상에 "대단하다(amazing)"는 멘션을 달아 리트윗했다. 머스크 뿐만 아니라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도 문제의 영상을 리트윗했다.

 

 

민주당 대선 캠프 대변인 미아 에런버그는 성명을 통해 "우리 국민은 머스크와 트럼프의 조작된 가짜가 아니라 해리스 부통령이 제공하는 진짜를 원한다고 믿는다"며 트럼프와 머스크를 싸잡아 비판했다.


미 대선이 100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AI를 활용한 딥페이크(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미지 합성) 콘텐츠가 선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고조하고 있다. 미 대선이 다가올수록 가짜뉴스도 폭증하고 있다.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대한 지지 의사를 수차례에 걸쳐 공개적으로 밝힌 만큼 이번 가짜 영상 게시가 의도적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논란이 커지자 머스크는 28일(현지시간) 뒤늦게 이 딥페이크 영상을 설명한 게시글에서 "놀랍네"를 지웠다. 그리고 "유명한 세계적 권위자에게 확인했는데, 그는 '미국에서 패러디는 합법'이라고 했다"는 내용으로 고쳐 놨다.

 

바이든 대통령이 해리스 부통령을 교체 후보로 지지하자, 해리스 부통령을 두고 ‘미국인이 아니라 인도인’이라거나 ‘해리스는 흑인이 아니다’라는 인신공격용 가짜뉴스가 퍼졌다.
 
여론조사기관 입소스가 지난 6월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의 32%는 자신이 본 뉴스가 가짜뉴스 또는 부정확한 뉴스라는 사실을 나중에야 알게 됐다고 응답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연구원 없애고 엔지니어만" xAI 직함 파격 개편…머스크發 실리콘밸리 조직문화 ‘지각변동’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에서 ‘리서처(Researcher, 연구원)’라는 전통적 직함을 공식적으로 삭제하고, 모든 기술 직원을 “엔지니어(Engineer)”로 통일한다고 선언한 조치가 글로벌 기술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머스크의 결정은 빅테크 업계 내 연구-엔지니어 직함 경계의 폐지라는 최근 조직문화 트렌드와 맞물려 있다. xAI, 연구자와 엔지니어 구분 공식 폐지…”이원화, 실질적 의미 없다” americanbazaar online, ndtv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변화는 xAI 엔지니어 아디트야 굽타가 X(트위터)에 “리서처와 엔지니어를 모집한다”고 공지하자, 머스크가 직접 “이건 잘못된 명칭”이라며 공개적으로 정정한 뒤 즉각 적용됐다. 머스크는 “’연구자’라는 명칭은 본질적으로 2단계 엔지니어링 시스템을 부드럽게 포장한 것”이라며 “이제 모든 기술 인력은 오직 ‘엔지니어’로만 통칭한다”고 밝혔다. 그는 연구자 직함을 “책임이 낮고 허세스러운 학계 용어”라고 비판했고, 실제 스페이스X의 엔지니어링 중심 조직 모델이 혁신 추진에 효과적이었다고 강조했다. AI 산업계, “경계 무너진다”

[빅테크칼럼] 머스크의 뉴럴링크, BCI 임상 영국 '상륙'…뇌신경 혁명 가속에 몸값 90억달러 '돌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뇌신경 인터페이스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칩 임상실험에 착수했다. 블룸버그, 텔레그래프, CNBC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임상은 영국 의료 규제당국의 승인을 득한 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병원(UCLH) 및 뉴캐슬 어폰 타인 병원 NHS 트러스트 등과의 파트너십으로 진행된다. 참가자들은 중증 척수 손상 또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LS) 등으로 전자기기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한 신경계 장애 환자들로, 최대 7명이 대상이다. 뉴럴링크 N1 칩, 머리카락보다 얇은 128개 실로 '생각'을 잡다 임상시험의 핵심인 뉴럴링크 N1 칩은 10펜스짜리 동전 크기 수준이지만, 칩에 연결된 128개의 머리카락보다 얇은 실(threads)이 뇌 속 신경세포에 연결된다. 각 실에는 총 1000개 이상의 전극이 장착돼 뇌에서 발생하는 신경 신호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이를 디지털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오직 생각만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기기의 커서 이동, 타이핑, 심지어 비디오게임 플레이까지 수행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