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9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아마존, '오픈AI 대항마' 앤스로픽에 3조7000억원 추가 투자···빅테크 전쟁 본격화

총 투자금 5조4000억원으로 증가…"아마존 역사상 최대 규모 외부 투자"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vs 앤스로픽, 구글, 아마존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 창업주 제프 베이조스 [방송화면 캡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스로픽(Anthropic)에 27억5000만달러(약 3조7180억원)를 추가로 투자한다고 27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해 9월 12억5000만달러(약 1조6900억원)를 투자한 데 이어 앤스로픽에 대한 총투자는 총 40억달러(5조4080억원)로 늘어났다. 아마존 30년 역사상 최대 규모의 외부 투자다.

 

GPT-5 출시를 앞둔 오픈AI가 최근 영상 생성AI 모델 '소라'를 내놓는 등 경쟁에서 한발 앞서나가자 이에 대한 대응차원에서 앤스로픽과의 연대에 힘을 싣는 모양새다.

 

27일(현지시간) CNBC 등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앤스로픽의 마지막 시장 평가액인 184억달러(24조9000억원)를 기준으로 성사됐다. 아마존은 이번 투자를 통해 앤스로픽의 지분 일부를 소유하게 된다. 이사회에는 참여하지 않는다.

 

앤스로픽은 지난 4일 최신 AI 모델인 ‘클로드3’을 출시하며 "대학생 학부 수준의 지식과 대학원 수준의 추론 능력을 갖췄다"며 "기초 수학 등 업계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클로드 3가 GPT-4와 제미나이 울트라를 능가했다"고 밝혔다.

 

아마존웹서비스(AWS)의 데이터 및 AI 담당 부사장인 스와미 시바수브라마니안은 "생성AI는 우리 시대의 가장 혁신적인 기술"이라며 "앤스로픽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고객 경험을 더욱 향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아마존의 이런 행보는 최근 오픈AI가 AI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며 경쟁에서 앞서간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이뤄졌다. 오픈AI는 최근 최대 1분 길이의 영상물을 생성하는 AI 모델 '소라'를 공개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고품질의 영상물을 만들어내면서 미디어와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큰 변화를 일으킬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오픈AI는 올여름 차세대 LLM인 GPT-5도 내놓을 예정이다.

 

앤스로픽 CI [트위터]

 

한편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앤스로픽은 오픈AI 출신 연구원인 다니엘라와 다리오 애머데이 남매 등 4명의 공동창업자가 2021년 설립한 AI 기술 기업이다. 오픈AI의 대규모언어모델(LLM)인 GPT-4와 구글의 제미나이 등과 경쟁하고 있으며 생성형 AI 챗봇 ‘클로드’를 출시했다. 몇 달 새 구글 등으로부터 투자금 7억5000만달러(약 9700억원)를 유치하며 오픈AI의 경쟁사로 부상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픈AI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이어 가자 구글과 아마존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앤스로픽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중이다. 

 

업계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의 생성 AI 기술 경쟁이 대리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MS는 오픈AI 지분을, 구글과 아마존은  물론 세일즈포스도 앤스로픽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앤스로픽은 지난해 5차례 펀딩을 통해 총 73억 달러를 끌어모았다. 

 

한국기업 SK텔레콤도 2023년 8월 앤스로픽에 1억 달러(약 1300억원)를 투자하고, 다국어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공동개발하는 등 협력하기로 했다.

 

앤스로픽은 AI업계에서 ‘A급기업’으로 분류된다. 지난 5월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주재로 열린 백악관 회의에 구글 모회사인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MS), 오픈AI와 함께 초대됐을 정도로 기술력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앤스로픽은 향후 2년간 대규모 자금을 조달하고 12개 이상의 주요 산업에 진출할 계획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플라스틱 폐기물, 배터리 재료로 변신…"탄소화 기술로 환경·에너지 두마리 토끼 사냥"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적으로 매년 3억9000만톤 이상의 플라스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 중 약 9%만이 재활용되고 있어 플라스틱 폐기물 문제는 심각한 환경 이슈로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첨단 탄소화 기술의 발전으로 폐기된 플라스틱을 차세대 배터리 및 슈퍼커패시터용 고성능 탄소 기반 소재로 전환하는 혁신적 방법들이 속속 공개되면서 플라스틱 문제를 에너지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길이 열리고 있다.​ EurekAlert, sciencedaily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광저우 에너지 전환 연구소의 Gaixiu Yang 박사가 주도한 연구는, 플라스틱에서 탄소를 회수해 그래핀, 탄소 나노튜브, 다공성 탄소 등 다양한 고기능성 탄소 소재로 변환하는 여러 탄화 기술을 총망라했다. 특히 플래시 줄 가열(flash Joule heating) 기술은 킬로그램당 0.1kWh 미만의 낮은 에너지 소비로 밀리초 단위에 폐플라스틱을 고품질 그래핀으로 전환하며, 촉매 없이 혼합된 플라스틱 폐기물로도 가공 가능해 매립 플라스틱 처리에 적합하다.​ 이같은 폐플라스틱 유래 탄소 소재들은 단순히 폐기물 저감 효과에 그치지 않고, 에너지 저장 성능 측면에서도 탁월한 결과를 보여준다